방글라데시·베트남 등에 밀려 유엔 인권이사국 첫 낙선2006년 유엔 인권이사회 창설 이후 처음 연임 실패… 충격안철수 "인권변호사 文, 北 인권에 침묵… 국제사회 실망"
  • ▲ 유엔 인권이사회 회의 모습.ⓒ연합뉴스(AP 연합뉴스 자료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 유엔 인권이사회 회의 모습.ⓒ연합뉴스(AP 연합뉴스 자료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우리나라가 유엔 인권이사회 이사국 연임에 실패해 국제적 망신을 샀다. 한국이 이사국에 도전했다 낙선한 것은 유엔 인권이사회가 설립된 2006년 이후 처음이다.

    일각에서는 문재인정부 시절 북한 인권에 침묵하는 모습으로 인해 국제사회의 비판이 커진 탓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우리나라는 지난 11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유엔 본부에서 열린 유엔총회 인권이사회 이사국선거에서 방글라데시·베트남 등에 밀려 연임에 실패했다.

    이날 아시아 국가 이사국 4개국을 정하는 표결에서 방글라데시가 160표, 몰디브 154표, 베트남 145표, 키르기스스탄이 126표를 획득해 이사국에 당선됐고, 한국은 123표로 5위에 그쳐 낙선했다. 한국의 뒤를 이어 아프가니스탄이 12표, 바레인과 몽골이 각각 1표를 얻었다.

    한국은 3연임이 불가한 인권이사회 규정상 2011~13년과 2018~20년 선거에 나가지 못한 것을 제외하고 2006년 유엔 인권이사회 창설 이후 2006~08년, 2009~11년, 2013~15년, 2016~18년, 2020~22년 등 다섯 차례에 걸쳐 이사국을 지냈다.

    하지만 이번에 연임에 실패하면서 오는 12월31일까지만 이사국 역할을 수행한 뒤 2023~25년 임기에는 이사국 자리를 내주게 됐다.

    유엔 한국대표부 관계자는 한국이 5위에 그쳐 처음으로 연임하지 못한 것과 관련 "원인을 분석 중"이라고 했지만, 일각에서는 문재인정부의 북한 인권 경시에 따른 결과라는 비판이 나온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의 해외공관 국정감사차 미국으로 떠난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12일 페이스북을 통해 "이번 탈락은 그동안 대한민국의 외교에 대한 국제적 신뢰가 얼마나 하락했는가를 보여준다"고 개탄했다.

    안 의원은 "워싱턴 정가에서 만난 인사들은 대한민국이 방글라데시·몰디브·베트남·키르기스스탄에 밀린 것이 충격적이면서도 납득이 된다는 반응을 보였다"며 "인권변호사 출신인 문재인 대통령에 국제적 기대가 컸는데 정작 북한 인권에 침묵하는 모습을 보면서 실망이 누적됐다는 얘기"라고 비판했다.

    특히 "문재인정부 시절 북한 인권결의안 공동제안국 불참, 대북전단금지법 강행 등이 부인할 수 없는 사례"라고 지적한 안 의원은 "지난 5년간 민주당정권은 북한과 중국에 대해 굴욕적인 자세로 일관했다"며 "그러면서 유독 일본에 대해서는 당장 외교 단절이라도 할 듯이 감정적인 공세를 쏟아부었다"고 말했다.

    안 의원은 이어 "이런 노선은 한·미·일 안보협력을 원하는 미국의 우려를 샀을 뿐만 아니라, 우방국들 사이에서도 이해할 수 없는 태도라는 평가를 받았다"며 "민주당정권이 망친 외교의 결과가 이렇게 수모로 돌아오고 있는 것이라고 직격했다.

    북한 고위급 외교관 출신인 태영호 국민의힘 의원도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태 의원은 이날 "낙선한 이유는 명백하다. 지난 문재인 정부가 북한 인권 문제에는 내내 침묵하고 대북 굴종 정책을 펴왔기 때문"이라며 문재인정부가 외면한 북한 인권 사례 등을 조목조목 지적했다.

    그는 "문재인 정부는 지난 2019년부터 2022년 4월까지 북한 인권 범죄를 규탄하는 북한 인권결의안에 4년 연속 공동제안국에 불참했다"며 "문재인 전 대통령은 2018년 남북정상회담을 위해 평양을 방문했으나 북한 억류자 송환 문제에 대해선 언급조차 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또 "'김여정 하명법'이라 불리는 대북전단금지법을 강행처리하면서 유엔 인권사무소와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 등으로부터 '인권운동가들의 표현의 자유를 위축시킨다'는 우려와 함께 정부의 공식 답변을 요구하는 서한을 받기도 했다"며 "북한인권문제의 컨트롤타워인 북한인권재단은 민주당이 이사 추천을 거부하면서 6년째 출범조차 못하고 있다"고 개탄했다.

    태 의원은 "이번 낙선으로 대한민국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인권 유린이나 중국의 신장 위구르 지역 소수민족 탄압 같은 국제사회의 인권 문제 논의에 주도적으로 참여할 기회를 잃게 됐다"며 "이것이야말로 외교참사"라고 쏘아붙였다. 이어 "민주당은 정쟁뿐인 친일 공세를 멈추고, 북한인권재단 이사 추천 등 국제사회가 요구하는 공통의 가치인 인권 문제 해결에 동참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유엔 인권이사회는 안전보장이사회·경제이사회 등과 함께 유엔의 3대 핵심 기구로 분류된다.

    우리 외교부는 2024~25년 안보리 비상임 이사국, 2023~25년 인권이사회·경제이사회 이사국 등 3대 핵심 기구의 동시 진출을 노렸던 만큼, 이번 낙선이 뼈아픈 결과라는 반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