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웅 "뉴스버스가 보도 전날 연락… 윤석열과는 관계 없다고 분명히 대답했다"뉴스버스 "처음엔 고발장도 자기가 썼다 하다가 말 바뀌어… 후속보도 준비중"
  • ▲ 지난 5월 국민의힘 당 대표에 출마한 김웅 의원이 서울 마포구 누리꿈스퀘에서 열린 1차 전당대회에서 비전발표를 하고 있다. ⓒ뉴데일리 DB
    ▲ 지난 5월 국민의힘 당 대표에 출마한 김웅 의원이 서울 마포구 누리꿈스퀘에서 열린 1차 전당대회에서 비전발표를 하고 있다. ⓒ뉴데일리 DB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를 둘러싼 '고발 사주' 의혹과 관련해 김웅 국민의힘 의원이 최강욱 열린민주당 의원의 고발장을 만들었다고 인정하면서도 "윤 총장과는 관계없다"고 선을 그었다. 김 의원은 윤 전 총장 부인 김건희씨의 주가조작 의혹이 포함된 고발장에 대해선 "전혀 기억이 없다"고 했다.

    6일 중앙일보는 인터넷 매체 뉴스버스가 보도한 '고발사주' 의혹에 대한 김 의원과의 통화 내용을 공개했다. 이날 중앙일보에 따르면, 김 의원은 뉴스버스 관계자와 '고발 사주' 의혹 최초 보도하기 하루 전날인 지난 1일 오후 9시반 쯤 통화에서 "윤 전 총장에게 요청받고 고발장을 전달한거냐"는 질문에 "그건 그쪽과 연결된건 없다. 윤 총장하고는 전혀 상관없다"고 분명히 답했다.

    "고발장 내가 만들었다. 검찰에서 받은 것 아냐"

    김 의원은 당시 뉴스버스 측에 고발장 작성 주체에 대해서도 당시 대검찰청 수사정보정책관을 맡았던 손준성 검사가 아니라고 부인했다고 한다. 김 의원은 중앙일보에 "그건(고발장) 제가 만들었다"며 "검찰 쪽에서 제가 받은건 아니다. 법리적으로 맞는지 (손준성 검사에게) 한 번 물어봤을 수는 있다"고 설명했다는 것이다.

    김 의원은 중앙일보에 범여권 관계자들의 공직선거법 위반 의혹이 사실이라고도 강조했다. 그는 "제가 제일 먼저 그걸(최강욱 열린민주당 대표 '검언유착'관련 페이스북 글) 발견했을 것"이라며 "공직선거법 위반이다. 심각하다"고 자신했다.

    고발장에 김건희씨의 주가조작 의혹이 포함된 것에 대해서는 "기억이 안난다"고 했다.

    앞서 지난 2일 뉴스버스 측은 김웅 의원과 통화한 녹취록 전문을 공개한 바 있다. 전혁수 뉴스버스 기자는 같은 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김 의원이) 계속 최강욱의 공직선거법 위반에 대해선 내가 초안을 잡았다, 애초에 내 아이디어였다는 얘기를 계속 해서 김건희씨 얘기는 왜 들어갔냐고 물어봤다"며 "그때 (김 의원이) '그건 아마 검찰 측 입장에서 전달된 것 같다'는 말씀을 하셨다"고 주장했다.

    "김건희 고발장 기억 안나… 뉴스버스에도 검찰 입장 추정만"

    그러나 김 의원은 "뉴스버스에 설명한 전체적인 취지는 '잘 모르겠다'는 것"이라며 "김건희씨 관련 부분이 포함된 4월 3일 고발장은 나는 기억이 안난다. 그 문건을 받았는지 어쩐지 잘 모른다"고 설명했다고 중앙일보는 전했다. 김 의원은 6일 성명을 통해 "저는 이 문제를 제기한 바 없고, 실제로 고발도 이뤄지지 않았다"면서 "고발 사주라는 것은 실체가 전혀 없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또 "뉴스버스와의 2차 통화에서도 손 검사나 검찰에서 해당 고발장을 작성했다는 사실을 확인해준 것이 아니라 뉴스버스 측이 그러한 내용이 포함된 문건을 갖고 있다고 하길래 '그건 검찰측 입장이겠지'라고 추정한 것일 뿐"이라고 부연했다고 한다.

    이와 관련해 뉴스버스 측은 중앙일보와 통화에서 "김 의원이 처음에는 윤 총장과는 관계가 없다. 고발장도 전부 자기가 썼다고 하다가 다음 날 윤 전 총장 사모 김건희씨가 포함된 4월 3일 고발장에 대해 물으니 김 의원의 말이 바뀌었다"고 반박했다. 

    뉴스버스 측은 "김 의원은 (두 번째 통화에선) 2차례의 고발(4월3일·4월8일) 중 최 의원이 피고발인으로 적시된 8일 고발장만 작성했다는 취지로 설명한 것"이라며 "김 의원이 작성했다고 말한 8일 고발장조차 사실 검찰로부터 전달받았다고 볼만한 후속 보도를 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손준성 "고발 사주 의혹 사실 아냐"

    한편 고발장을 작성했다는 의혹을 받는 손준성 대구고검 인권보호관은 6일 법조 출입기자단에 "고발 사주 의혹은 사실이 아니다"라는 입장문을 보냈다.

    손 인권보호관은 "고발장을 작성하거나 첨부자료를 김웅 의원에게 송부하였다는 의혹은 전혀 사실이 아님을 다시 한번 말씀드린다"며 "향후 근거 없는 의혹 제기와 이로 인한 명예훼손 등 위법행위에 대하여는 강력한 법적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