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얼미터 여론조사… 방역 측면에선 "도움 된다" 47.0% vs "안 된다" 48.9% '팽팽'
  • ▲ 오세훈 서울시장이 12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코로나19(중국우한폐렴) 방역과 관련해 브리핑을 갖고 있다. ⓒ정상윤 기자
    ▲ 오세훈 서울시장이 12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코로나19(중국우한폐렴) 방역과 관련해 브리핑을 갖고 있다. ⓒ정상윤 기자
    서울시민 10명 중 6명 이상은 업종별로 영업제한시간을 차등화하는 오세훈 서울시장표 '서울형 상생방역'이 민생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4일 발표됐다. 다만, 우한코로나(코로나19) 방역 측면에서는 긍정평가와 부정평가가 팽팽한 것으로 나타났다.

    20대가 '오세훈표 상생방역' 가장 많이 찬성

    여론조사업체 리얼미터가 오마이뉴스의 의뢰로 13일 하루 동안 전국 성인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서울시민 96명 중 62.4%가 '오세훈표 상생방역'이 "민생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했다.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응답은 35.1%였다. 

    서울을 비롯해 인천·경기(긍정 52.1% vs 부정 45.0%), 부산·울산·경남(69.0% vs 28.3%)과 대구·경북(71.1% vs 21.6%), 대전·세종·충청(46.5% vs 34.1%)에서도 민생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응답이 우세했다. 

    다만, 광주·전라(20.8 vs 78.0%)와 강원(31.8% vs 47.0%), 제주(49.0% vs 51.0%)에서는 부정평가가 더 높았다.

    연령별로는 4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오세훈표 상생방역'이 민생 측면에서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응답이 우세했다. 특히 20대에서는 63.2%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했다. 이는 60대(62.6%), 70세 이상(60.7%)보다 높은 수치로, 모든 연령대에서 가장 높았다.

    반면, 40대(긍정 34.4% vs 부정 61.2%)에서는 "도움이 안 될 것"이라는 응답이 더 높았다. 

    보수·중도층도 "민생에 도움 된다" 우세

    정치성향별로는 지지 정당과 이념성향에 따라 평가가 극명하게 엇갈렸다. 국민의힘을 지지하는 이들 중 85.7%가 오세훈표 상생방역이 민생에 도움 될 것이라고 답한 반면, 민주당 지지자는 75.4%가 민생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보수층의 74.6%도 민생 측면에서 "도움 될 것"이라고 답했고, 중도층에서도 긍정평가가 우세(긍정 61.2% vs 부정 33.1%)했다. 다만, 진보층에서는 68.2%가 "도움 안 될 것"이라고 답했다.

    방역 측면에서는 대체적으로 부정평가가 우세했다. 서울시민 96명 중 47.0%만이 "도움 될 것"이라고 답했고, 48.9%는 "도움 안 될 것"이라고 답했다. 연령별로는 20대(긍정 46.1% vs 부정 45.8%)와 70세 이상(긍정 48.0% vs 부정 40.4%)에서만 긍정평가가 우세한 것으로 조사됐다.

    오세훈 서울시, 이번주까지 '서울형 거리 두기 매뉴얼' 수립

    앞서 오 시장은 지난 12일 △유흥·단란·감성주점 및 헌팅포차는 오후 5~12시 △홀덤펍과 주점은 오후 4~11시 △콜라텍과 일반식당 및 카페는 오후 10시까지 업종별 영업시간 규제를 차등화하고, 업주가 신속자가진단키트로 손님들의 우한코로나 감염 여부를 검사하도록 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서울형 상생방역'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서울시의 이러한 계획은 정부의 방역지침과 충돌한다. 13일 화상으로 진행된 국무회의에서 '오세훈표 상생방역'과 관련, 권덕철 보건복지부장관은 "자가진단키트는 보조적 수단"이라고 일축했고, 전해철 행정안전부장관은 자신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2차장임을 강조하며 "협의를 거치지 않으면 방역에 혼선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서울시는 이번주까지 '서울형 거리 두기 매뉴얼'을 완성하고, 다음주에는 시행 방법과 시기 등을 놓고 중대본과 협의를 시작할 계획이다.

    기사에서 인용한 여론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p다. 여론조사 관련 자세한 개요와 결과는 리얼미터 홈페이지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