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 신형 무인기뢰처리기 9세트 전력화…기존 외산장비 대비 성능 우수, 자율항해·복귀 가능
  • ▲ 방위사업청(방사청)은 대양전기공업에서 개발한 ‘무인기뢰처리기-Ⅱ’를 해군에 모두 배치해 전력화됐다고 29일 밝혔다. ⓒ방사청
    ▲ 방위사업청(방사청)은 대양전기공업에서 개발한 ‘무인기뢰처리기-Ⅱ’를 해군에 모두 배치해 전력화됐다고 29일 밝혔다. ⓒ방사청
    해군이 우리나라 기술로 개발한 신형 무인기뢰처리기 9개 세트를 전력화했다. 방위사업청(이하 방사청)은 대양전기공업이 개발한 ‘무인기뢰처리기-Ⅱ’의 해군 전력화가 완료됐다고 29일 밝혔다.

    방사청은 해외에서 도입·운용해 온 노후 무인기뢰처리기를 대체하기 위해 국내 해양로봇 기술을 적용시켜 개발한 무인기뢰처리기-Ⅱ를 도입, 2018년부터 매년 배치해 왔다.

    무인기뢰처리기-Ⅱ는 수중에 기뢰로 의심되는 물체를 식별해내면 원격조종으로 내보낸다. 앞부분에 장착된 소나(음향탐지기)로 수중 목표를 탐색한다. 이후 시각 식별이 가능한 거리까지 접근하면 TV 카메라로 기뢰 여부를 확인한다. 기뢰로 판단되면 제거용 폭약을 설치해 폭발시키거나 바다 속에 연결된 계류삭(홋줄)을 절단해 처리한다.

    해군은 무인기뢰처리기-Ⅱ로 유사시 주요 항만, 해상교통로, 상륙해안 등에 설치된 기뢰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해군은 과거에도 무인기뢰처리기를 사용했다. 그러나 해외에서 도입한 지 오래돼 노후화 되면서 운용에 제한이 생기고 정비 문제도 발생해 신형을 도입하게 됐다.

    방사청은 “기존 외산 장비와 비교하면 운용 시간은 증가했고, 조류 극복 능력도 강화됐다”며 “처리기와 함정 간 연결된 케이블이 끊겨도 자율 복귀가 가능하고 국산이라 후속 군수 및 정비 지원도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기존의 수입산 기뢰처리장비에 대해서 방사청 관계자는 “군 당국 결정에 따라 처리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원호준 방사청 무인사업부장은 “무인기뢰처리기-II의 전력화로 해군의 기뢰제거 능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방사청은 향후에도 해양 무인체계 개발과 전력화를 통해 전력증강은 물론 국가 산업발전에도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국내에서는 기뢰처리기뿐만 아니라 탐색만을 하는 장비도 개발 중이다. 방사청은 지난 9일 LIG넥스원과 약 120억원 규모의 수중자율기뢰탐색체 체계개발 계약을 체결했다. 이 탐색체는 AI(인공지능) 기술을 적용, 수중에서 장애물 회피 등 자율주행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