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기법 추가해 1차 보고서 보완… '부정으로 판세 뒤집혔을 수 있는 지역구' 16개→ 27개로 늘어
  • ▲ 월터 미베인 교수가 내놓은 제2차 4.15 총선 통계분석 보고서 표지. 미베인 교수는 이번 보고서에서
    ▲ 월터 미베인 교수가 내놓은 제2차 4.15 총선 통계분석 보고서 표지. 미베인 교수는 이번 보고서에서 "추가된 분석은 선거부정을 강하게 시사한다"고 주장했다.ⓒ보고서 캡처
    지난 4·15총선 결과에서 부정 징후가 포착됐다는 통계분석 보고서를 발표한 월터 미베인 미국 미시간대 교수가 자신의 주장을 보강한 보고서를 추가로 발표했다. 미베인 교수는 추가 분석 결과 "이번 21대 총선에서 선거부정 의혹이 더 강화됐다"고 주장했다.

    미베인 교수는 지난달 29일(현지시각) '2020년 한국 국회의원선거에서 나타난 부정 의혹 연구(Frauds in the Korea 2020 Parliamentary Election)'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냈다. 이 보고서는 그 전까지 우리나라 일부 네티즌을 중심으로 제기되던 선거부정 의혹을 통계적으로 뒷받침하는 내용이어서 큰 파장을 가져왔다. 

    미베인 교수가 과거 콩고민주공화국과 볼리비아의 선거부정 역시 통계적으로 분석했다는 이력이 알려지자 파장은 더욱 커졌다. 하지만 이 보고서를 두고 국내 일부 학자들 사이에서 이른바 '인풋 데이터 오류(garbage in, garbage out)'라는 지적이 함께 제기됐다.

    지난 9일(현지시각) 발표된 미베인 교수의 2차 보고서는 이 같은 지적을 수용해 원 보고서의 내용을 보완한 것이다. 

    보고서의 제목은 '2020년 한국 국회의원선거에서 나타난 이례적 결과와 부정 의혹 연구(Anomalies and Frauds in the Korea 2020 Parliamentary Election)'다. 

    미베인 교수는 보고서 서론에서 "선거 포렌식 툴킷(Election Forensics Toolkit)과 스파이크 테스트 결과(spikes test results) 등 두 가지 조사기법을 (추가로) 활용했으며 최신 데이터를 반영했다"고 밝혔다.

    이 같은 미베인 교수의 주장은 "한국 총선 결과를 분석해보니 기술에 의한 선거조작 가능성이 확실하게 존재한다"는 결론을 냈던 미국 동아시아연구센터(EARC)의 5월6일자 보고서 결과와 맥을 같이 하는 것이어서 충격적이다. 

    본지는 타라 오 동아시아연구센터 설립자의 논문을 입수해 11일 기사화했다. ▲美 동아시아연구센터의 충격 보고서… "QR 코드 활용한 부정선거, 가능하다" 

    미베인 "분석 기법 추가… 부정선거 의혹 더 강해져"

    미베인 교수는 "이 두 가지 기법을 추가해 분석한 결과 의혹이 더욱 짙어졌다"고 밝혔다. "e포렌식 모델, 선거 포렌식 툴킷, 스파이크 테스트를 종합하면 한국 총선 데이터가 부정하게 조작됐다는(fraudulently manipulated) 것을 강력하게 시사(strongly suggest)하는 이례적 결과가 발견됐다"는 것이다. 

    미베인 교수는 "강력하게 시사한다"는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지난 분석 때보다 의혹을 더 강하게 주장하는 태도를 보였다. 

    이번 2차 보고서 분석 결과가 'e포렌식 모델'을 활용한 분석법을 '더불어민주당에 초점을 맞춘 관측법'과 '지역구별 최다득표 정당에 초점을 맞춘 관측법'으로 나눈 점에서는 1차 보고서와 같았지만, 두 관측법 모두에서 부정행위에 따라 발생된 득표 비율이 달라졌다.

    먼저 '더불어민주당에 초점을 맞춘 관측법'에선 사전투표에서 27.9%가 부정으로 발생했다.(1차 보고서에선 43.1%) 그리고 지역구 당일투표에선 3.04%가 부정으로 발생했다.(1차 때는 3.14%) 또 '지역구별 최다득표 정당에 초점을 맞춘 관측법'에 따르면 사전투표에서는 30.9%(1차 때는 22.6%), 지역구 당일투표에서는 2.73%(1차 때는 0.92%)가 부정으로 발생했다. 

    '부정투표의 규모가 지역구 선거 결과를 바꿀 정도로 큰가'에 관한 분석 결과도 달라졌다. 1차 보고서에서는 16개 지역구에서 그만큼 큰 규모로 부정이 발생했다고 했지만, 2차 보고서에서는 27개 지역구로 확대됐다. 

    또 1차 보고서에서는 16개 지역구 중 민주당 후보 승리 지역이 9곳, 미래통합당 후보 승리 지역이 6곳, 그리고 무소속 후보 당선지역이 1곳이라고 분석했지만, 이번 보고서에서는 부정으로 결과가 달라진 27개 지역구 중 14개 지역구에서 민주당 후보가, 11곳에서는 통합당이, 2곳에서는 무소속 후보가 승리했다고 분석했다.
  • ▲ 미베인 교수가 정훈 교수에게 쓴 메일. '의혹이 더 강해졌다'는 표현이 보인다.ⓒ정훈 교수 제공
    ▲ 미베인 교수가 정훈 교수에게 쓴 메일. '의혹이 더 강해졌다'는 표현이 보인다.ⓒ정훈 교수 제공
    "전략적 행동으로 보기에는 수치가 너무 크거나 너무 작다"

    미베인 교수는 '선거 포렌식 툴킷'을 활용한 분석을 보고서에 추가하며 "이 기법은 선거 결과가 조작됐다는 의혹을 더욱 강하게 해준다(add to the impression)"고 주장했다. 

    보고서에는 "선거 포렌식 툴킷으로 분석한 결과 이런 수치가 자연적으로 발생했다(natural process)고 생각하기 어렵다"며 "데이터(개표 결과)가 조작됐다(artificial)는 것을 의미한다"고 기술됐다. 그는 "스파이크스 테스트에 의해서도 이 같은 분석이 뒷받침됐다"고 밝혔다.

    미베인 교수는 또 선거 포렌식 툴킷을 활용한 분석 결과 "유권자들의 전략적 행동에 따라 나타난 것으로 설명하기에는 너무 크거나 너무 작은 수치가 나왔다"고 주장했다. 이는 1차 보고서에서 언급되지 않은 내용으로, 1차에서 미베인 교수는 "전략적 행동에 따라서도 특이한 통계가 나올 수 있는지 여부가 최근 연구과제"라고만 밝힌 상태였다. 

    '전략적 행동'과 관련, 미베인 교수는 지난 8일 YTN과 화상 인터뷰를 통해 "민주당 지지자들이 사전투표에 결집하는 것과 같은 행위 등을 포괄적으로 가리킨다"고 설명했다. 

    미베인 교수는 이번 추가 분석을 통해 "의혹이 더욱 강해졌다(the suspicious picture is reinforced)"고 말했다. 다만, 이번 보고서에서도 통계분석 결과가 "조작의 결정적 증거(definitive evidence)는 아니며, 추가 조사를 통해 입증돼야 한다"는 견해를 유지했다.

    "한국적 맥락 고려 안 해"… 일부 학자들 여전히 비판

    이번 보고서와 관련해서도 국내 학자들의 비판이 이어졌다. 이병태 카이스트 경영대학원 교수는  페이스북에서 "그의 연구방법론이 일관성(robust)이 없거나 한국의 데이터 속성을 모르고 돌리고 있다"며 "그의 결론이 맞다고 하더라도 통합당이 대패라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고 지적했다. 

    박원호 서울대 정치학과 교수 역시 페이스북을 통해 "이런 집계자료 분석에서는 맥락적 정보가 매우 중요한데 (미베인 교수는) 그것을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