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北회담 진행 안돼 연기… 17일은 김정일 사망일, 18~20일 답방 가능성 없어
  • ▲ 지난 3월 대북특사단으로 김정은을 만난 서훈 국정원장.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지난 3월 대북특사단으로 김정은을 만난 서훈 국정원장.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훈 국가정보원장이 “김정은의 연내 답방은 미국과 북한 간 회담 일정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서훈 국정원장은 지난 5일 국회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김정은 답방과 관련한 내용을 밝혔다. ‘자유아시아방송(RFA)’은 이날 국회에서 나온 ‘김정은 답방설’과 관련한 이야기들을 전했다.

    그는 “김정은 위원장의 연내 서울 답방은 아직 정해진 게 없다”면서 “답방 문제는 美北대화 일정과 연동돼 있어 대화 진행 상황에 맞춰 (김정은 답방 시기가)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서훈 국정원장이 밝힌 데 따르면, 문재인 정부는 당초 제2차 美北정상회담이 10월 또는 11월에 열릴 것으로 예상했다고 한다. 회담이 끝나면 김정은을 초청해 서울에서 정상회담을 가질 계획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美北정상회담은커녕 대화 자체가 진행되지 않아 계획을 지킬 수 없게 됐다고 설명했다.

    국내 일각에서 흘러나오는 ‘김정은 12월 18~20일 사이 답방설’과 관련해서는 “12월 17일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숨진 날이어서 이때 답방할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고 답했다. 

    12월 18~20일 사이에는 답방 가능성 없어

    앤드루 김 美중앙정보국(CIA) 한국임무센터(KMC) 센터장이 판문점에서 김영철과 만나지 못했다는 언론 보도와 관련해 서훈 원장은 “양측이 만나지 않은 것은 사실이지만 당초 만날 계획도 없었다”고 답했다. 그는 “국정원과 CIA는 북한의 누구를 만나는지, 미국의 입장이 무엇인지에 대해 충분히 소통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국회에는 조명균 통일부 장관도 출석했고, 외교부는 자료를 제출했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국회 남북경제협력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김정은 답방에 관한 사항은) 모든 가능성이 열려 있다”면서도 “그러나 지금은 북측과 구체적으로 일정을 논의하고 있는 것은 없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제출한 자료에서 “북한 비핵화에 대한 확신이 들 때까지는 대북제재를 계속 유지해 나갈 방침”이라며 “설령 대북제재 한도 내에서 추진 가능한 남북협력사업이 있다고 해도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협의를 통해 사업별 제재 면제를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