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박계 "박근혜 없는 논의, 앙꼬없는 찐빵"
  • 새누리당의 대선후보 '경선룰(Rule)' 논의기구 구성문제가 장기화될 전망이다.

    최고위원들은 당초 18일 국회에서 회의를 갖고 경선룰 논의기구 문제를 결론 지을 계획이었다.

    하지만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놓고 친박(親朴)계와 비박(非朴)계의 주장이 평행선을 달리면서 엇갈린 입장만 확인하고 말았다.

  • ▲ 새누리당 비박 대선주자 3인방. 왼쪽부터 정몽준 전 대표, 김문수 경기지사, 이재오 의원. ⓒ 연합뉴스
    ▲ 새누리당 비박 대선주자 3인방. 왼쪽부터 정몽준 전 대표, 김문수 경기지사, 이재오 의원. ⓒ 연합뉴스

    황우여 대표의 애매한 태도가 가장 큰 문제였다.

    황 대표는 전날 기자회견에서 "경선룰 논의기구를 최고위원회 산하에 두는 쪽으로 내일 (결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후 진행된 김문수 경기도지사와의 회동에서는 말이 좀 바뀌었다.

    그는 논의기구를 대표 직속기구로 설치해 달라는 김 지사의 제안에 "열린마음으로 임하겠다"고 답변했다. '오락가락' 행보를 보인 것이다.

    결국 황 대표는 18일 비공개로 진행된 최고위원회의에서 논의기구 결정을 다음으로 미루겠다고 했다.

    김영우 대변인의 설명이다.

    "(지도부 사이에서) 의견 차이가 많아 좀 더 시간을 갖고 논의하기로 했다."

    "이날 회의에서 황우여 대표는 TV토론회 필요성도 언급했다." 

    앞서 황 대표는 지난 16∼17일 비박주자인 이재오 의원과 임태희 전 대통령실장, 김문수 경기지사를 차례로 만났다. 정몽준 전 대표는 만남을 거부해 전화통화만 이뤄졌다.

    이들은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 도입과 핵심 쟁점인 경선룰 논의기구를 '당 대표 직속'으로 둘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친박계 최고위원들은 '최고위 산하'를 고수하고 있어 접점을 모색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 "박근혜 없는 논의, 앙꼬없는 찐빵"

    친박계는 경선룰 논의기구를 대표 직속에 둘 경우, 경선판 전체가 흔들릴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반면 비박주자들은 최고위 산하는 사실상 친박 최고위원들 뜻대로 결론날 것이 분명해 중립성과 독립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비박 주자들이 경선룰 논의기구를 대표 직속에 두자는 것은 결국 오픈프라이머리 최종 도입을 위한 수순으로 보인다. 

    갈등 해결의 열쇠를 박근혜 전 비대위원장이 쥐고 있다는 말도 나온다.

    한 비박측 관계자는 "황우여 대표가 (비박주자들과) 연쇄회동을 가졌지만 결국은 성과 없이 끝나지 않았는가. 결국 박 전 위원장이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박근혜 전 위원장이 빠진 논의는 앙꼬없는 찐빵이나 다름없다. 박 전 위원장이 출마를 선언할 때가 돼야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에 관한 갈등이 수습되거나 폭발하게 될 것이다."

    전날 김문수 지사는 황우여 대표에게 "박 전 위원장과 만나고 싶다"는 뜻을 전했다. 이재오 의원 역시 "하루 빨리 박 전 위원장을 만나야 한다"며 같은 목소리를 냈다. 비박주자들이 입을 모으고 있는 만큼 박근혜 전 위원장이 전면에 나서 대화와 협상을 시작해야 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 입 닫은 박근혜…대선 출마 선언 '미정'

    박근혜 전 위원장은 여전히 굳게 입을 닫고 있다.

  • ▲ 새누리당 비박 대선주자 3인방. 왼쪽부터 정몽준 전 대표, 김문수 경기지사, 이재오 의원. ⓒ 연합뉴스

    그는 지난 4월 '오픈프라이머리'가 수면 위로 떠오를 당시 "경기의 룰에 선수가 맞추는 것이지, 선수에게 룰을 맞추는 건 말이 안된다"고 했었다. 비박계의 경선 룰 개정 요구를 단칼에 거절한 것이다.

    이후 박 전 위원장은 경선 룰에 관해서는 입을 닫아 왔다. 본인이 직접 입장을 밝힐 경우 당도 부담을 느끼고 다른 주자들과 설전이 불가피해지기 때문이다.

    당장 캠프를 출범시킬 경우 캠프 차원에서 경선룰 논란에 빠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캠프 구성 시기도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 전 위원장이 아직 경선 캠프의 구성과 출범 날짜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는 게 친박계의 설명이다.

    친박 핵심인 이정현 의원도 정확하게 들은 바가 없다고 했다.

    "정확하게 들은 바는 없지만, 여러가지 여건과 상황이 되면 할 것이다. 경선이 두 달도 안 남은 시점에서 룰 협상을 할 수는 없다."

    한 정치권 관계자는 박근혜 전 위원장의 이러한 행보와 관련해 다음과 같은 전망을 내놨다.

    "박근혜 전 위원장이 기존 당헌·당규에 따라 8월 경선에 시계를 맞추고 대선 레이스를 소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