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위 일각 `정권공신ㆍ당대표 출신인사 용퇴론' 공개 제기친이 "친이는 무조건 자르겠다는 거냐..상황지켜보면서 대응"
  •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박근혜)의 출범과 동시에 고강도의 전방위 쇄신이 예고되면서 여권 전체가 술렁이고 있다.

    비대위가 첫날부터 `디도스 파문'과 관련한 최구식 의원의 자진탈당 권유, 국회의원 회기 중 불체포특권 포기 등 예상을 뛰어넘는 1차 결과물을 내놓자 당 소속 의원들은 선수나 계파에 관계없이 "불가피한 조치"라고 긍정평가하면서도 향후 쇄신의 칼날이 어디로 향할지 모른다며 바짝 긴장하는 기색이 역력하다.

    특히 일부 외부 비대위원들이 공공연하게 `이명박 정부'와의 차별화 필요성을 제기하고, 더 나아가 당 대표 출신 인사들을 포함한 현 정부 실세들의 `용퇴'까지 주장하고 나서 논란이 일고 있다.

    더욱이 내년 4월 총선을 겨냥한 공천 물갈이가 친이(친이명박), 친박(친박근혜)계 가릴 것 없이 무차별적으로 단행될 가능성이 높아 벌써부터 다선 의원들을 중심으로 볼멘소리도 터져 나오고 있다.

    이 때문에 당 쇄신, 특히 향후 공천 물갈이 과정에서 당이 내홍에 휩싸일 공산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비대위는 매주 한 차례 파격적인 쇄신안을 제시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외부 비대위원들은 28일에도 "당을 완전히 뜯어고치겠다"며 쇄신에 대한 `결기'를 보였다.

    김종인(전 청와대 경제수석) 비대위원은 이날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747 공약'(연평균 7% 성장, 소득 4만달러 달성, 선진 7개국 진입)은 허구로, 이미 실현 불가능한 목표로 판명난 것"이라고 각을 세웠다.

    이상돈(중앙대 교수) 비대위원은 "현 정권의 공신이나 당 대표를 지낸 사람들이 `우리 책임 아니다'라고 하는 것은 정치적 도의가 아니다. 그 사람들을 그대로 두고 쇄신을 하면 누가 믿겠느냐"며 정권 핵심인사 물갈이론을 거듭 제기했다.

    이는 사실상 이상득 이재오 의원을 비롯해 현 정부에서 여당 대표를 지낸 인물까지 쇄신의 사정권에 둔 발언으로 보인다. 이명박 정부 들어 박희태 국회의장, 정몽준 안상수 홍준표 의원이 차례로 당 대표를 지냈다.

    이에 대해 당사자들은 일단 말을 아끼는 분위기다. 자칫 섣부른 대응이 논란을 부추길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친이계 한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무조건 청와대와 차별화하고 친이 인사들을 자르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했고, 다른 의원은 "노골적으로 계파갈등을 부추기는 것 아니냐. 분란을 조장하는 행위는 비대위의 할 일이 아니다"고 비판했다.

    또 다른 친이계 의원은 "일단 이상돈 비대위원 발언의 진의를 확인해 봐야한다. 박 비대위원장의 뜻인지 어떤지 확인해 보고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향후 상황전개에 따라 구주류 친이계가 조직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취지로 보인다. 일각에선 와해된 친이계가 이번 일을 계기로 다시 모일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하고 있다.

    한 친박 중진의원은 "미리 가이드라인 같은 것을 제시해서는 안 된다. 자기 생각을 거르지 않고 마음대로 말하는 것은 적절치 못하다"면서 "개인 생각을 비대위 생각처럼 하는 언행은 절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비대위 구성을 둘러싼 불만도 제기되고 있다.

    수도권 출신 한 의원은 "김종인 이상돈 비대위원은 원래부터 박 비대위원장과 친한 인사들로, 비대위가 마치 자문단 같다. 비대위가 `박근혜 추대위'가 돼서는 안 된다"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한 쇄신파 의원은 "지난번 의원총회 발언자 중 어느 한 명도 예외 없이 `박근혜 구원등판'을 얘기했는데 이제 와 자문단이니 뭐니 비판하고 흔들고 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면서 "이 문제가 계파갈등으로 가서는 절대 안 된다"고 말했다.

    전여옥 의원을 비롯한 일부 의원들은 이날 김종인 비대위원이 지난 1993년 안영모 당시 동화은행장한테서 2억1천만원을 받은 혐의로 구속됐던 점을 지적하며 자질 문제를 거듭 제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