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7개 공공기관 지방이전계획 승인 모두 마무리내년부터 이전지역에 총 16조8천억원 투자집행
  • 지방으로 이전하는 공공기관 이전계획이 모두 승인을 마쳐 내년부터 이전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국토해양부는 28일 한국정보화진흥원 지방이전계획이 지역발전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승인됨에 따라 총 147개 공공기관 지방이전계획이 모두 승인 완료됐다고 밝혔다.

  • ▲ 국토부가 지방이전 공공기관의 이전승인 절차가 모두 마무리돼 내년부터 본격적인 이전이 시작된다고 밝혔다. 사진은 이전 선도기관인 한국전력 산하 전력거래소의 모습.ⓒ뉴데일리 편집국
    ▲ 국토부가 지방이전 공공기관의 이전승인 절차가 모두 마무리돼 내년부터 본격적인 이전이 시작된다고 밝혔다. 사진은 이전 선도기관인 한국전력 산하 전력거래소의 모습.ⓒ뉴데일리 편집국

    가장 늦게 확정된 한국정보화진흥원은 대구혁신도시로 일괄 이전하되 교육∙연수기능은 제주혁신도시에 배치해 대구본사 337명, 제주 교육∙연수 34명 등 인원과 청사부지를 마련한다.

    또한 국토부는 발주요청 중인 8개 기관 포함해 현재 63개 기관이 사실상 착공해 지방이전이 가시권에 들어왔다고 설명했다.

    당장 올해 도로공사와 한국전력 등 선도기관을 포함해 31개 이전기관이 10개 혁신도시에서 모두 착공식을 열었다.

    이를 통해 혁신도시 유상공급부지 2,733만㎡중 작년보다 17.9%P가 늘어난 61.6% 1천685만㎡의 분양이 완료됐고 이전기관 부지는 95.9%, 주택용지는 60% 등이 분양을 마쳤다.

    10개 혁신도시 부지조성사업 역시 순조로운 것으로 파악되는데 올 연말까지 80%가 조성되며 혁신도시별 진입도로나 상수도 등 기반시설의 경우 70%까지 마무리된 상태다.

    따라서 국토부는 내년부터 이전지역에 총 16조8천억원을 투자, 부지조성과 진입도로 등 기반시설 공사를 마치고 모든 이전기관 청사를 착공해 선도기관부터 이전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진입도로, 상수도 등 기반시설은 국고지원비 5년차 2천억원, LH∙지방공사 등 혁신도시 사업시행자를 통해 4조원이 집중 투자될 것으로 보인다.

    이전기관들의 청사건축비는 9조원으로 단계적으로 투입되며 사업초기 공급예정인 아파트 2만9천호와 22개 학교건설을 통해서도 모두 3조6천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된다.

    참고로 내년까지 완공예정인 제주의 국토해양인재개발원 공정율은 60%, 경북소재 우정사업조달사업사무소 공정율은 33% 광주전남 우정사업정보센터는 28%의 공정율을 보이고 있다.

    또한 국토부는 혁신도시를 녹색도시로 조성, 지역성장 거점으로 육성한다는 방침아래 청사 건축시 지역 건설업체가 40%이상 참여토록 지역의무 공동도급제가 적용된다고 강조했다.

    현재 관계법령에 따르면 지역의무 공동도급제는 오는 2013년말까지 연장돼 지역 건설업체를 비롯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직접 기여할 수 있을 전망이다.

    한편 이전기관 청사는 에너지 효율 1등급과 보다 강화된 녹색건물로 건축하는 동시에 국고지원을 통해 ‘초에너지 절약형’ 청사를 건축하여 녹색성장을 선도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