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11 테러를 주도한 알-카에다의 지도자 오사마 빈 라덴이 기습공격을 편 미군에 사살되면서 생포할 수는 없었는지에 대한 궁금증이 일고 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1일(미국 현지시각) 빈 라덴 사살을 발표하는 TV생중계 자리에서 "나는 취임 직후 리언 파네타 중앙정보국(CIA) 국장에게 빈 라덴 생포 또는 사살을 알-카에다와 전쟁에서 최우선 순위로 하도록 지시했다"고 말했다.

    이처럼 생포 혹은 사살이라는 두 가지 선택지가 있었다는 점에서 생포가 아닌 사살로 마무리된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는 것이다.
    특히 오바마는 이날 미 정보당국이 지난해 8월 빈 라덴의 파키스탄 내 은신처에 관한 믿을 만한 단서를 확보하고 추적해왔으며 지난주 빈 라덴 제거 작전을 단행할 충분한 정보가 확보됐다고 판단해 작전 개시를 승인했다고 설명한 점도, 생포가 불가능하지만은 않았을 것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미국의 대테러전에서 오사마 빈 라덴과 함께 양대 공적 중 하나였던 사담 후세인 전 이라크 대통령의 경우 2003년 생포돼 이라크 특별재판소에 넘겨졌었다. 그는 이후 사형을 선고받고 2006년 교수형에 처해 졌다.

    이같은 차이는 일단 미군의 기습작전에 대한 저항 여부에 따라 갈린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발표에 따르면 빈 라덴 측은 미 대(對) 테러부대 헬기가 이날 새벽 파키스탄의 거처에 접근하자 로켓식 유탄 발사기를 발사하며 격렬하게 저항했고, 빈 라덴은 그 후 양측간 총격전 과정에서 사살됐다.

    반면 외딴 농장의 참호에 숨어 있던 후세인은 체포 과정에서 총알 한 발 발사되지 않을 정도로 이렇다 할 저항을 하지 않았다.

    결국 빈 라덴의 경우 체포 과정에서 치열한 교전이 수반됐기 때문에 미군과 민간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살이 불가피하지 않았겠느냐는 것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처음부터 사살 쪽으로 기울지 않았겠느냐는 관측도 나온다.

    빈 라덴을 생포했을 경우 재판 등 신병처리 과정에서 국내외적 논란이 일 수 있고, 빈 라덴을 따르는 이슬람 급진세력의 반발과 공격이 거세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2003년 9.11 테러범 칼리드 셰이크 모하메드가 체포돼 미국 관타나모 수용소에 수감되자 알-카에다가 그를 석방시키기 위해 영국과 프랑스, 독일 등에서 동시 다발 인질극을 벌이기 위한 훈련을 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 바 있다.

    특히 올해가 9.11 테러 10주년이라는 점에서 빈 라덴의 체포는 반미 지하드(성전)에 불을 지필 수 있다는 우려도 작용했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