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지하화 통합개발 추진협의체 출범식 개최전국 16개 시·도, 공공·연구기관, 철도기술·도시개발·금융 등 참여8년만에 유휴철도부지 관리방안도 재정립
  • ▲ 철도지하화 노선.ⓒ서울시
    ▲ 철도지하화 노선.ⓒ서울시
    서울 등 주요 지방자치단체의 철도지하화 밑그림이 공개됐다. 서울은 경부선 등 6개 구간의 약 72㎞ 구간으로, 상부공간은 대규모 개발을 통해 대기업 등을 유치한다는 구상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전국 16개 광역 지자체장과 함께 4일 서울 용산구 드래곤시티호텔에서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추진협의체 구성 및 출범식'을 열고 향후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철도지하화는 윤석열 대통령의 공약이다. 지난 2월 교통 분야 민생토론회에서는 이를 '교통 분야 3대 혁신 전략' 중 하나로 삼고 서울을 비롯한 지역철도도 포함해 추진하겠다는 의사를 내비쳤다.

    이날 서울시가 공개한 검토구간은 지상철도 71.6km로, 경부·경인·경의·경원·경춘·중앙선이 대상이다. 용산역~도봉산역(26.1km)까지가 가장 길고 온수역~구로역(5.8km)이 가장 짧다.

    용산역~금천구청역 구간(19.5km)은 한강 밑을 지난다. 강남권은 지상철도가 다니지 않는 만큼 별도 노선은 없다.

    한편 경기도는 경부·경인·경의·경원·경춘·중앙·경강·안산선 등 총 8개 노선 약 360km다. 다른 지역보다 철도지하화 구간이 긴 만큼 도내 기초지자체들과 경기연구원 등이 구체적인 지하화 구간을 정한다.

    인천은 인천역~구로역(27km)까지 철도지하화를 검토한다. 경인선 전체 중 인천시 구간은 인천역~부개역(13.9km) 노선이다.

    이날 공개된 전국 철도지하화 노선들은 지자체 연구용역을 통해 자체 구상 중인 일종의 가안이다. 향후 국토부의 '철도지하화통합개발 종합계획' 검토과정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앞서 서울시 도시공간본부는 유휴철도부지 관리방안을 새로 수립하고 코레일과 국가철도공단에 통보했다. 서울시의 유휴철도부지 관리방안이란 철도부지 개발계획 수립의 준거 기준으로, 유휴부지를 주변지역과 정합성을 유지하는 등 체계적인 개발을 도모하기 위해 이 같은 관리방안을 만들었다.

    유휴철도부지는 철도운영에 지장을 주지 않고 철도 외 용도로 개발 가능한 모든 철도부지와 공간을 의미한다. 서울시엔 이런 유휴철도부지가 철도역사부지(46개소), 유휴부지(10개소) 차량기지(24개소) 등 전체 80개소, 6.2㎢로 여의도 면적(2.9㎢)의 두 배 이상에 달한다.

    시는 이번 관리방안 변경을 통해 유휴철도부지 역할과 개발 '미래상'을 처음으로 정립했다. 과거엔 대중교통 거점이었던 철도부지는 미래 '도시활동의 복합거점'으로서 역할과 위상이 변화한 점을 반영했다. 유휴부지가 서울시의 주거상업업무 중심지로서 역할이 바뀌었다는 점이다.

    서울시가 유휴철도부지 관리방안을 대대적으로 손질하면서 정부에서 합동으로 추진 중인 철도지하화 사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시 차원의 개발방향이 수립되면서 철도 유휴부지 개발과정에서 사업방향과 예측가능성을 크게 높였기 때문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사업 토지를 관리하는 기관의 입장에서 관리방안 재정립은 사업주에게 개발의 방향과 '시그널'을 먼저 제시한 것"이라며 '무계획적 철도부지 개발을 지양하고 서울시의 구상에 맞게 청사진을 그려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