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담 일자 합의 못해…북한 비핵화 조치와 대북제재 해제 합의가 최고 난제”
  • ▲ 지난해 6월 싱가포르에서 열린 미북 정상회담 당시 김정은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뉴데일리 DB.
    ▲ 지난해 6월 싱가포르에서 열린 미북 정상회담 당시 김정은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뉴데일리 DB.
    “2차 미북 정상회담을 베트남 다낭에서 열자”는 미국 측의 제안을 북한이 받아들였다고 일본 <아사히 신문>이 3일 보도했다. 신문은 “다만 회담 일시는 합의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신문은 2차 미북 정상회담에서 비핵화 조치를 원하는 미국과 대북제재 즉각 해제를 원하는 북한 간의 합의가 핵심 사안일 것으로 내다봤다.

    <아사히 신문>은 남북관계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이 같은 내용은 북한이 한국 측에 알려줬다”고 설명했다. 소식통은 “김정은은 당초 2차 미북 정상회담 장소로 판문점이나 평양을 희망했다”며 “반면 미국은 양국에게 부담이 되지 않는 동남아시아를 희망했다”고 설명했다. 미국의 의사에 따라 몽골과 베트남이 2차 미북 정상회담 장소 후보지로 꼽혔지만 기온 문제 때문에 결국 베트남이 낙점됐다는 설명이었다.

    미국과 북한은 회담을 베트남에서 여는데 합의한 뒤에도 다른 뜻을 보였다. 북한은 자국 대사관이 있는 하노이를 원했고, 미국은 경호 등의 문제로 다낭을 원했다. 이때 중국 측이 김정은에게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말고 회담을 여는 게 좋다”고 조언하면서 최종적으로 다낭에서 회담을 갖기로 합의했다.

    <아사히 신문>은 “북한은 2017년 2월 김정남 씨 암살에 베트남 여성을 끌어들여 베트남 정부와 관계가 악화되기도 했지만 지난해 비공식적으로 사과를 했고, 이후 관계가 정상화됐다”고 설명했다.

    신문은 이어 “지난 1월 김영철 북한 통일전선부장이 미국을 방문했을 때 새로운 비핵화 조치에 대한 약속 없이 대북제재의 즉각 해제를 요구했다”면서 2차 미북 정상회담에서도 북한 비핵화 조치와 대북제재 해제가 가장 중요한 주제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신문에 따르면,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는 당초 4일 북한 김혁철 전 스페인 주재 대사와 접촉해 실무협상을 하려 했지만 북한 측이 2일까지도 답변을 내놓지 않았다. 소식통은 “북한이 트럼프 미국 대통령만을 협상 상대로 인정하기 때문에 사전 합의를 피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추측했다.

    또한 신문은 한국이 2차 미북 정상회담이 열린 뒤 3월 말 또는 4월 초에 김정은을 서울로 초청, 남북정상회담을 개최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