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대북 원유공급 중단' 中에 요구, 긴장감 고조… 보름 남은 방중에 적신호
  • ▲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9일 북한의 미사일 도발 직후 NSC 전체회의를 주재하는 모습. ⓒ청와대 제공
    ▲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9일 북한의 미사일 도발 직후 NSC 전체회의를 주재하는 모습. ⓒ청와대 제공

    북한은 도발을 멈추지 않고 있고, 미국은 중국을 향해 '원유 공급 중단'이라는 최후통첩을 날렸다. 12월 중순 방중을 앞둔 문재인 대통령에게는 더이상 선택지가 남아 있지 않아 보인다.

    청와대는 이번 문 대통령의 방중을 통해 동북아 군사적 위기를 타개할 묘수를 찾겠다는 입장이지만, 날로 험악해지는 긴장 속에서 답답한 상황은 계속되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30일 오전 기자들과 만나 "이날 시진핑 주석과 문 대통령이 전화통화할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앞서 윤영찬 청와대 국민 소통수석은 지난 29일 브리핑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다음 달로 예정된 중국 방문을 통해 시진핑 주석에게 더욱 강력한 역할을 해달라고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미국·일본과 통화했지만, 중국과의 통화는 당분간 없다는 의미다.

    지난 29일 북한은 '레드라인'에 가까운 미사일 도발을 감행했다. 우리 정부는 북한 미사일 도발을 '장거리탄도미사일'로 규정했고, 미국과 일본은 'ICBM 미사일'로 규정했다. 문 대통령의 레드라인은 핵을 완성해 ICBM 미사일에 장착하는 것이라고 했다.

    한·미·일 3국은 북한 도발에 긴밀하게 움직였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 일본 아베총리, 문재인 대통령은 각각 당일에 통화했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30일 중국 시진핑 대통령에 대북 원유 공급 중단을 촉구했다.

    니키 헤일리 유엔주재 미국대사는 "모든 유엔 회원국들은 북한과의 외교·교역 관계를 단절해야 한다"며 "만약 전쟁이 난다면, 이는 어제 목격한 것 같은 (북한의) 공격적인 행동 때문일 것"이라고 단언했다.

    이에 문 대통령의 고심도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오는 12월 중순 방중을 앞두고 있다. 시진핑 주석과 회담을 통해 사드 보복·북핵 문제의 해법을 이끌어내야 하지만, 북한의 도발로 미국과 중국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최대한의 압박을 강조하는 미국과 중국의 커진 역할 속에 쓸 수 있는 카드가 현실적으로 많지 않은 상황이다.

    이런 맥락에서 본다면, 문 대통령의 '미국 선제타격' 언급 역시 현재의 답답한 상황을 우회적으로 토로한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지난 29일 "북한이 상황을 오판하여 우리를 핵으로 위협하거나 미국이 선제타격을 염두에 두는 상황을 막아야한다고 문 대통령이 강조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