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전혁 한나라당 의원은 4일 자정을 기해 자신의 홈페이지에 게시된 교원단체가입 명단을 내리기로 결정했다.

    조 의원은 3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더는 버틸 힘이 없다"며 "내일 자정을 택한 이유는 그만큼이 내가 책임질 수 있는 이행강제금의 한계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는 "더욱이 국가에 납부하는 벌금도 아니고 한해 백억원이 넘는 조합비를 쓰고 있는 귀족노조에 바칠 이유는 더더욱 없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 ▲ 한나라당 조전혁 의원 ⓒ연합뉴스
    ▲ 한나라당 조전혁 의원 ⓒ연합뉴스

    조 의원은 "명단 내리는 것을 결정하면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이 이렇게 무력한가'라는 자괴감에 몸서리쳤다"며 "이번 경우 법원으로부터 국회의원의 직무와 소신을 사전검열 당했고, 어마어마한 이행강제금에 국회의원을 떠나 한 개인으로서 양심의 자유가 결박당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고 토로했다.

    그는 "전교조 참 대단하다"고 혀를 내두른 뒤 "진즉 인정했지만 투쟁력 하나만은 가히 세계 최고라고 할 수 있다. 전교조-민주노총-민노당으로 연결되는 정치전선,전교조-좌파시민사회단체의 끈끈함…게다가 최근 민주당까지 가세하고 있으니 이제부터 전교조를 누가 건드리겠느냐"고 반문했다.

    이어 "내게서 뺏은 이행강제금을 무상급식에 사용한다구요? 무상급식 문제가 선거이슈인 것은 전교조 아니라 천하가 다 아는 일"이라며 "전교조가 이런식으로 정치색을 드러내니 비판받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돈 전투'에서 일단 졌다고 고백한다"면서 "전교조와의 분쟁으로 압박을 받은 일선학교의 많은 교원,학부모에게 나의 싸움은 일종의 대리만족이었을 것이다. 더 못 버텨드려 죄송하다"고 토로했다.

    조 의원은 "워낙 재산이 없어 내 동산 부동산에서 가져갈 것이 없을 것이고, 세비에서 차압해봤자 한달에 300~400만원 정도일 것이지만 친구나 친척,선배에게 빌려서라도 내 발로 갖다드리겠다"고 말을 마쳤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김효재, 정두언, 진수희,박보환 의원 등이 동석했다. 전교조 명단 공개에 동참했던 김 의원을 비롯한 자당 의원 10여명은 조 의원의 결정과는 별개로 명단을 계속 홈페이지에 공개할 방침을 밝혔다. 김 의원은 "조 의원의 명단공개에 2차로 뒤따른 우리는 앞으로 법원의 판단이 있기 전까지 명단 공개를 계속할 것"이라며 "우리 뒤에는 일부 좌편향된 선생님들에 지지말라는 수많은 학부모와 학생들의 응원이 있다. 우리는 명단을 내리지 않고, 조 의원이 최초로 꽂은 깃발을 이어갈 것"이라고 했다.

    정 의원도 "전교조에 대체 무슨 프라이버시를 침해받았느냐고 물으니 답이없다"며 "우리나라 어떤 분야도 평가를 안 받는 곳이 없는데 유일하게 교사 집단만 퇴출이 없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전교조가 교원평가를 앞장서서 반대하고 있는데 참교육으로 시작한 게 이익.정치단체로 전락했다"고 개탄했다.

    조 의원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강제이행금이 총 1억 2000~5000만원 정도 된다"고 밝혔다. 조 의원은 "친구나 친척들에게라도 빌려서 전교조에 직접 갖다 주겠다"며 "명단공개를 갖고 전교조 측에서 선거이슈화 하려고 한다고 주장하던데 오히려 전교조 측이 이슈로 이용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그는 "전교조와의 큰 싸움이 시작됐다"며 "내가 선봉에 설테니 국민께서 참여해 주실 것을 당부드린다"고 강조했다.

    이날 현재까지 조 의원의 전교조 명단 공개에 지지를 보낸 사람들의 후원금은 약 2800만원에 이른다고 한다. 그러나 조 의원은 "선거법상 이 후원금을 정치자금으로 사용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밝혔다. 그는 "내 재산이라고 해봤자 인천에 아파트 보증금이 전부인데 이것을 (전교조에)전부 다 내면 내 재산은 제로가 될 것"이라며 "이번 투쟁을 하면서 '정치도 돈 좀 있어야 하겠구나' 싶었다. 더 버티지 못해 죄송하다"며 눈시울을 붉히기도 했다.

    앞서 서울남부지법 민사합의51부(판사 양재영)은 지난달 27일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소속 교원명단을 자신의 홈페이지에 공개한 한나라당 조전혁 의원을 상대로 공개를 즉각 중단하지 않으면 하루에 3000만원씩 전교조에 지급해야 한다며 강제이행금을 부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