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종합지원책 발표… 드러나지 않은 고립은둔청년 발굴곽금주 서울대 교수 "묻지마 범죄 예방에도 효과 있을 것"
  • ▲ 지난 4월 24일 고립청년 공간 ‘두더집’을 방문한 오세훈 서울시장이 청년 당사자들의 사연과 의견을 청취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 지난 4월 24일 고립청년 공간 ‘두더집’을 방문한 오세훈 서울시장이 청년 당사자들의 사연과 의견을 청취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서울시는 지난 4월 고립은둔청년 종합지원대책을 발표한 뒤 사업을 신청한 1078명 중 502명의 청년이 현재 프로그램을 지원받고 있다고 18일 밝혔다.

    또한 서울시는 스스로 고립은둔 상태라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는 청년을 찾아내기 위해 여러 기관과 협력해 발굴체계를 구축·운영하고 있다. 주민센터, 통·반장,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등과 연계해 고립은둔 당사자를 발굴하고 가족이나 지인도 상시 상담·의뢰할 수 있도록 상담센터도 운영 중이다.

    이러한 발굴체계 운영을 통해 사업 대상자로 신청하거나 유입된 청년은 228명으로 전체 참여 신청자의 21.2%에 이른다. 발굴된 청년은 서울시가 개발한 '청년 사회적 고립 척도'를 기반으로 1 대 1 면담을 거쳐 △활동형 고립청년 △활동제한형 고립청년 △은둔청년으로 분류된다. 이들에게는 각 유형과 개인의 성향을 고려한 특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활동형 고립청년에게는 사회로 다시 나아가기 위한 힘을 키울 수 있도록 대인관계 형성, 조직 적응력 향상, 일 역량 향상, 일 경험 프로그램 등을 제공한다. 활동제한형 고립청년을 대상으로는 사례관리를 기반으로 수집된 자기성장계획서를 토대로 개별 목표를 성취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맞춤 사례관리, 일상활력, 자기이해 프로그램 등을 제공한다.

    은둔청년의 경우 기초생활 밀착관리를 통해 일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관계 회복, 신체 회복, 정서 회복, 심리상담, 공동생활 등을 제공한다. 서울시는 올 연말까지 고립은둔청년을 대상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차질 없이 지원할 예정이며, 올해 성과와 사례를 분석 평가해 내년도 개선 과제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 ▲ 서울 고립은둔청년 지원 사업 흐름도. ⓒ서울시 제공
    ▲ 서울 고립은둔청년 지원 사업 흐름도. ⓒ서울시 제공
    "고립청년, 정확한 수부터 파악해야… 사회와 연결시키는 것이 중요"

    서울시의 이러한 고립은둔청년 지원책은 최근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묻지마 범죄' 예방에도 긍정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등산로 성폭행·살인범 최윤종을 비롯해 흉기난동을 벌인 조선과 최원종, 또래 여성을 살해한 정유정도 고립은둔생활을 했다.

    모든 고립은둔청년을 잠재적 범죄자라고 생각하는 것은 분명 옳지 않다. 그러나 고립은둔청년 중 일부가 가지고 있는 사회적 불만을 희석시키려면 그들을 사회로 불러내 상담 및 지원해줘야 한다는 데는 이견이 없다.

    전국의 고립청년은 적게 잡아도 20만~30만 명으로 추정되지만, 보건복지부는 지난달에야 뒤늦게 실태조사에 나섰다.

    곽금주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는 본지와 통화에서 "고립은둔청년들은 혼자 있는 시간이 많기 때문에 폭력성이 짙은 인터넷 커뮤니티나 게임 등에 쉽게 노출된다"며 "그렇게 내재된 분노와 피해의식이 폭발하면 자칫 범죄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곽 교수는 이어 "흉악범죄로까지 이어진 뒤에도 대중의 관심은 경찰의 치안 대책이나 사후 처벌에만 쏠릴 뿐 고립은둔청년들의 회복 및 지원 등 사회적 대책 마련은 뒷전"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곽 교수는 "고립은둔청년을 돕기 위해서는 우선 이들의 정확한 수를 파악하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며 "그렇게 파악된 고립은둔청년들에 대한 지원 방안을 꾸려서 그들을 사회와 연결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