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민식 "자유를 지키기 위해 헌신한 분들께 포상할 수 있게 돼 뜻깊게 생각"
  • ▲ 윌리엄스 선생과 부인 앨리스 바튼 ⓒ국가보훈부
    ▲ 윌리엄스 선생과 부인 앨리스 바튼 ⓒ국가보훈부
    국가보훈부가 한국광복군의 한·영 연합작전을 도운 미국인 프랭크 얼 크랜스터 윌리엄스 선생과 만세시위에 앞장섰던 통영 기생 함복련 선생 등 100명을 독립유공자로 포상한다.

    건국포장 대상자인 윌리엄스 선생은 1908년 미국 선교사로 입국해 충남 공주에서 영명학교를 설립한 후 30여 년간 교장으로 재직하며 학생들에게 민족의식을 고취하고, 1943년 인도 전선에서 한국광복군 인면(印緬)전구공작대 대원에게 영어를 가르치며 한국 독립의 불씨를 살리고자 애썼다.

    선생이 설립한 영명학교는 유관순 등 다수의 독립운동가를 배출했다.

    선생은 1940년 조선총독부로부터 추방당할 때까지 32년간 다수의 독립운동가를 배출한 영명학교 교장으로 재직했다.

    대통령표창을 받는 함복련 선생은 1919년 4월 경남 통영에서 사회적으로 천대받던 기생 신분이었음에도 동료 기생들과 함께 통영 중심부인 부도정 장터에서 만세시위에 앞장서 거족적 독립운동인 3·1운동의 열기가 통영 전역에 확산하는 데 기여했다.

    선생은 1902년생으로, 1919년 만세시위 참가 당시 18세에 불과했다.

    사회적으로 천대받던 신분인 기생의 만세시위 참여는 경남 통영뿐만 아니라 평남 평양, 황해 해주, 경기 수원 등 예기조합(藝妓組合) 또는 권번(券番)이 있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발생했다. 이는 3·1운동이 나이와 계층을 불문한 거족적 독립운동이었음을 보여줘 선생의 포상에 의미를 더한다.

    이와 함께 △3·1운동 1주년인 1920년 3월 일본 신사를 훼손한 남상홍 선생(대통령표창) △부산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 재학 중 광주학생운동을 지지하는 동맹휴교를 주도한 박재선 선생(대통령표창) △경남학도 전력증강 국방경기대회에서 민족차별적 편파 판정을 일삼은 일본인 장교 노다이 겐지를 응징한 김영조 선생(애족장) △중국 상하이에서 친일파 수괴인 상해조선인민회 회장 이갑녕을 처단한 김현수 선생(애국장) 등 광복절을 계기로 모두 100명에게 독립유공자 포상이 이뤄진다.

    이번에 포상되는 독립유공자는 건국훈장 30명, 건국포장 5명, 대통령표창 65명이며 포상자 중 생존 애국지사는 없고, 여성은 13명이다.

    건국훈장·포장과 대통령표창은 제78주년 광복절 중앙기념식장과 지방자치단체가 주관하는 기념식장에서 후손들에게 수여된다.

    박민식 보훈부 장관은 "제78주년 광복절을 맞아 조국 독립은 물론 '자유'라는 인류 보편적 가치를 지키기 위해 헌신한 분들께 독립유공자 포상을 할 수 있게 되어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국권 상실이라는 엄혹한 상황 속에서도 오직 나라를 되찾겠다는 일념으로 온몸을 바친 선열들의 고귀한 생애와 정신이 우리 후손들에게도 온전히 계승될 수 있도록 선양하는 것은 물론, 앞으로도 한 분의 독립운동가라도 더 찾아내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