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오후 추모 공간 마련 놓고 3시간가량 추모객-경찰 대치동료 교사들 "건물 안 적절한 공간 마련해 달라… 마음 아프다"분향소 대치 관련, 불만 터져나오기도… "추모 현실에 속상해"교육부 차관도 현장 방문 후 애도… "학습권·인권, 균형점 필요"
  • ▲ 20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이초등학교 교정 내에 마련된 임시 추모 공간에서 추모객들이 헌화를 하고 있다. ⓒ배정현 인턴기자
    ▲ 20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이초등학교 교정 내에 마련된 임시 추모 공간에서 추모객들이 헌화를 하고 있다. ⓒ배정현 인턴기자
    서울 서초구 서이초등학교에서 새내기 교사가 극단적 선택을 해 지역사회에 큰 충격을 주고 있는 가운데, 유족과 시민들의 애도의 물결이 이어지고 있다. 합동분향소에는 분향객의 발길이 쉴 새 없이 이어졌고, 국민들의 애도 메시지도 밀려 들었다.

    20일 오후 3시 20분께 서이초 입구에선 교내 추모공간을 마련해달라는 시민들과, 교문을 개방하지 않는 학교 측 간에 충돌이 발생하기도 했다.

    학교 앞은 이 곳을 찾은 동료 교사들의 행렬로 발 디딜 틈 없었다. 교문 앞 인도에 100m 이상 길게 줄을 서 기다렸던 교사들은 연신 "문 열어라, 줄을 제대로 서고 있는데 왜 막냐"라며 소리쳤지만 학교 측에서 교내 진입을 막아달라는 신고를 받은 경찰이 이를 막아서면서 대치 상황이 이어졌다.

    한 남성 조문객들은 "왜 우리를 막냐, 교육청의 지시냐, 교장의 지시냐"며 따져 물었고, 또 다른 조문객도 "이러다 사고난다, 경찰이 왜 흐름을 방해하느냐"며 목소리를 높였다. 서이초 입구 안팎을 경찰이 막으면서 오히려 조문객의 순환이 끊기고 행렬이 막힌 모양새였다.

    이에 경찰은 "안쪽에서 분향소를 마련하고 있다. 조금만 기다려달라"고 외쳤고, 오후 6시가 되자 분향소가 준비되고 교문이 열렸다. 약 3시간 가량 이어진 대치상황은 이렇게 종료됐다.

    검은색 옷을 입고 하얀 국화를 들고 온 추모객들은 차분하게 질서를 지키며 고인을 애도하는 추모 편지를 남기고 헌화했다.

    분향소엔 하얀 탁자 앞에 두 눈을 감은채 손을 모은 사람도 있었고, 눈물을 쏟아내며 손으로 입을 가로막은 사람도 있었다.

    한 추모객은 "제 친구가 교직에 있어 남일 같지 않아 추모를 하러 왔다"면서 "젊은 선생님이 짧은 생을 피지 못하고 지게해서 미안하고 원통하다"며 눈시울을 붉혔다.

    또 다른 현직 교사는 "부디 그곳에선 편하셨으면 좋겠다"며 "선배교사들이 지켜주지 못해 미안한 마음이 크다"고 눈물을 삼켰다.

    하지만 분향소에 대한 불만도 터져 나왔다. 한 조문객은 "이렇게 몇 시간이나 기다렸는데 사진도 없고, 이름도 없고 아무것도 없이 달랑 흰 책상 하나를 분향소라고 설치했다"며 울분을 터뜨렸다. 그러면서 "이럴거면 왜 몇 시간 동안 들여보내지 못했고 분향소 공간을 마련중이라고 말한지 모르겠다"며 경찰에 불만을 토로했다.

    분향소를 찾은 한 교사 A(27)씨도 "학생들은 안전 사고로 죽으면 교실 안에서 추모하는데, 교사는 왜 밖에서 해야하는지 모르겠다"며 "들어가지도 못하게 했던 추모 현실에 너무 속상하다"는 심정을 전했다.
  • ▲ 장상윤 교육부 차관이 20일 오후 교사가 교내에서 극단적 선택을 한 서울 서초구의 한 초등학교를 방문하고 있다. ⓒ임준환 인턴기자
    ▲ 장상윤 교육부 차관이 20일 오후 교사가 교내에서 극단적 선택을 한 서울 서초구의 한 초등학교를 방문하고 있다. ⓒ임준환 인턴기자
    한편 이날 오후 5시 30분께 장상윤 교육부 차관은 서울 서이초를 찾아 교권 침해 문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장 차관은 교문 앞에 국화꽃을 내려놓고 짧은 묵념을 한 뒤 고인을 추모하고 유족에게 애도의 뜻을 표했다.

    그러면서 "학교 현장에서 학습권이나 학생 인권만 너무 강조하다 보면 선생님들이 위축되고 아동 학대 신고로도 많은 민원을 제기 받는다"며 "정부에서 정당한 교육 활동을 확실히 보호하는 제도를 갖춰주는 게 가장 근원적 방법"이라고 말했다.

    나아가 "교권은 너무 위축돼 있고 나머지는 너무 과잉보호되고 있다"며 "교권과 학생의 학습권·인권이 균형점을 찾을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