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단일화 꼬리표'에… "단일화는 3당 때 얘기" 선 그어"전당대회 나와야"… 장고 돌입한 나경원 향해선 출마 촉구
  • ▲ 국민의힘 당권주자인 안철수 의원이 지난 11일 오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서울시당 신년인사회에서 건배사를 하고 있다. ⓒ이종현 기자
    ▲ 국민의힘 당권주자인 안철수 의원이 지난 11일 오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서울시당 신년인사회에서 건배사를 하고 있다. ⓒ이종현 기자
    국민의힘 차기 지도부를 선출하는 전당대회의 레이스가 본격화하고 있는 가운데,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16일 당대표후보 단일화에 선을 그었다.

    국민의힘이 이번 전당대회부터 결선투표제를 도입한 만큼, 선거 시즌 때마다 '단일화'라는 꼬리표가 붙는 안 의원이 직접 단일화 가능성을 일축한 것이다.

    안철수 "결선투표제는 단일화 가능성 배제하는 것"

    안 의원은 이날 YTN 라디오 '뉴스킹 박지훈입니다'와 전화 인터뷰에서 진행자가 '단일화 징크스'를 언급하자 "이번에는 그런 일은 없을 것이라고 자신 있게 말씀 드릴 수 있다"고 장담했다.

    안 의원에게는 선거 때마다 '단일화'라는 꼬리표가 따라붙는다. 최근의 단일화 사례를 꼽으면 2021년 4·7서울시장보궐선거에서 오세훈 당시 서울시장후보와 단일화를 했고, 지난해 치러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윤석열 당시 대통령후보와 단일화를 이룬 바 있다.

    이 외에도 ▲2011년 서울시장보궐선거에서 박원순 당시 시장후보와 단일화 ▲2012년 대통령선거에서 문재인 당시 대통령후보와 단일화 등의 사례가 있다.

    안 의원은 이와 관련해 "단일화는 3당 때 이야기"라며 "3당일 때는 1·2당 중에서 한쪽이 1등이 되면 '어떻게 해야 되는가' 고민해서 단일화한 적도 있고 끝까지 간 적도 있지만, 지금은 거대 양당 중 한쪽에 속해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안 의원은 '결선투표제' 도입으로 인해 단일화 가능성이 배제됐다는 의견이다. 그는 "추가적으로 결선투표제가 도입됐다"며 "결선투표제는 단일화 가능성을 배제하는 투표"라고 강조했다.

    국민의힘은 이번 전당대회부터 과반 득표자가 나오지 않을 경우 1위와 2위를 대상으로 다시 투표를 진행하는 '결선투표제'를 도입하는 내용의 당헌 개정안을 의결한 바 있다.

    다만 안 의원은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 나경원 전 의원과의 '수도권 연대' 가능성과 관련 "결선투표에서 떨어진 의원들은 각자 '나는 누구를 더 지지하겠다' 이렇게 말씀을 하게 될 것"이라며 여지를 뒀다.

    그러면서도 안 의원은 "일단은 각자 자기의 장단점들을 충분히 대중에게 어필하면서 경쟁해야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 ▲ 국민의힘 당권주자인 김기현(왼쪽부터), 안철수, 조경태 의원이 지난 1일 오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2023 국민의힘 신년인사회에서 참석자 인사말을 듣고 있다.ⓒ연합뉴스
    ▲ 국민의힘 당권주자인 김기현(왼쪽부터), 안철수, 조경태 의원이 지난 1일 오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2023 국민의힘 신년인사회에서 참석자 인사말을 듣고 있다.ⓒ연합뉴스
    한편 안 의원은 당권 도전 여부를 두고 장고에 들어간 나경원 전 의원이 전당대회에 나와야 한다고 촉구하기도 했다.

    안 의원은 "사실 (전당대회 투표 비율이) 당원 100%로 되면서 일반 국민의 관심이 많이 줄어버렸다. 그렇게 되면 당으로서는 잃는 것이 많다"며 "아무래도 막상막하의 경쟁자들이 많아지면 그만큼 전당대회가 흥행이 될 것이니까 나오면 좋겠다고 말씀 드린 것"이라고 해명했다.

    또 다른 당권주자인 김기현 의원과 '윤핵관(윤석열 대통령 핵심 관계자)'인 장제원 의원의 '김장연대'를 향해서는 "본질이 영남 연대"라고 비판했다.

    안 의원은 "다시 영남 쪽만 모이게 되고, 더 문제는 '여기에 줄을 안 서면 공천을 못 받을 것'이라는 공포정치가 사실은 본질에 가깝다"고 꼬집었다.

    안 의원은 오는 18일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170V 캠프' 명칭으로 당대표 출정식을 열 계획이다. 그는 이와 관련해 "(내년 총선에서) 170석 (확보)하겠다는 뜻"이라며 "수도권 70석, 수도권 빼면 약 100석으로 전체 170석이 목표"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