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14일 동남아 두 번째 방문지 인도네시아 발리서 '세일즈 외교'尹, 한인 기업인과 오찬→B20 서밋→인니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대통령실 "인니 대통령과 투자, 공급망, 방산 등 협력방안 논의"
  • ▲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13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발리 응우라 라이 국제공항에 도착, 환영공연을 지켜보고 있다.ⓒ연합뉴스
    ▲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13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발리 응우라 라이 국제공항에 도착, 환영공연을 지켜보고 있다.ⓒ연합뉴스
    동남아시아를 순방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등 참석차 두 번째 방문지인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세일즈 외교'에 집중한다.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은 14일 오전(현지시각) 발리에 마련된 한국 프레스센터에서 브리핑을 통해 ▲한인 기업인 간담회 ▲'B20 서밋' 기조연설 ▲한·인도네시아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참석 등 윤 대통령의 '경제' 관련 일정을 소개했다.

    최 수석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발리의 한 호텔에서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한인 기업인들과 오찬을 겸한 간담회를 갖고 코로나19로 인해 겪었던 기업인들의 노고를 격려하는 한편, 이들의 애로 및 건의사항을 청취하고 해결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최 수석은 "참석자들은 인도네시아의 규제로 인해 물품 수입이 제한을 받는 등 기업활동에 어려움이 많다는 호소에서부터 우리 정부의 기업 지원정책이 해외 현지 기업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폭을 넓혀 달라는 의견까지 허심탄회하게 현장의 목소리를 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 수석은 이어 "ICT·바이오·사이버보안 등 새롭게 떠오르는 첨단 산업분야 기업인들이 인도네시아의 미래를 열고 있는 이야기도 들려줄 것으로 기대된다"며 "윤 대통령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우리 정부와 해외 기업인들은 '원팀'이며 현지에서 기업활동을 더욱 잘할 수 있도록 든든히 지원하고 응원하겠다는 메시지를 전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어 이날 오후 2시쯤 발리 누사두아 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B20 서밋'에 참석한다. B20은 2010년 '서울 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출범한 G20 회원국의 경제계 리더들이 모이는 회의체다.

    윤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글로벌 복합위기 극복을 위한 기업의 역할, 그리고 디지털 전환 시대의 글로벌 협력'을 주제로 기조연설에 나선다.

    연설문에는 '이번 글로벌 복합위기는 과거와는 달리 수요 측 요인보다는 공급 측 충격이 크게 작용했다고 진단하고, 위기에 대응하는 해법 역시 과거 정부 주도의 정책대응에서 민간이 주도하는 공급 측 혁신이 돼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민간 중심 공급 측 혁신의 핵심은 '디지털 전환'으로 꼽힌다.

    최 수석은 "윤 대통령은 지난 9월 뉴욕에서 새로운 디지털 질서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글로벌 논의를 제안했다. 이에 뉴욕대는 카이스트와 함께 지난 10월 디지털 거버넌스 포럼을 발족했다"며 "이번 B20 서밋에서도 윤 대통령은 '기업 간 협력의 장'인 B20에서의 글로벌 디지털 질서 논의를 제안하면서 한국정부가 새로운 디지털 질서 구축을 위한 G20 차원의 논의를 주도할 것임을 강조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마지막 일정으로 오후 6시30분쯤 누사두아 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한·인니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 조코 위도도 인니 대통령과 함께 참석할 예정이다.

    최 수석에 따르면, 양국 정상은 행사 전 환담에서 양국 간 투자, 공급망, 방산 협력 등 다양한 경제협력 프로젝트를 논의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 수석은 "이번 라운드테이블은 윤 대통령이 한·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에서 밝힌 '인도-태평양전략'과 '한·아세안 연대 구상'을 통해 한·아세안 관계를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하자고 공식 제안한 이후, 아세안 국가와 첫 번째 경제협력 행보라는 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최 수석은 그러면서 "한·아세안 간 개방적이고 호혜적인 지속가능한 연대와 협력이 가능하려면 먼저 기존에 베트남 등에 집중된 경제협력을 모든 아세안 국가들로 넓히고 공급망 강화 등 당면한 과제 대응뿐 아니라 디지털 전환, 녹색성장 등 아세안의 경제구조 전환의 동반자로서 연대와 협력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