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서울연구원 "'압사'는 장래 서울시가 관심가져야 할 신종 도시재난"2020년에도 "데이터 분석 통한 전조감지, 조기 예·경보체계 구축해야" 경고
  • ▲ 서울시 중구 서울시청 외부 전경. ⓒ정상윤 기자
    ▲ 서울시 중구 서울시청 외부 전경. ⓒ정상윤 기자
    지난달 29일 유례없는 압사사고로 150명이 넘는 사망자가 발생한 '이태원 참사'와 관련, 서울시에 사고 책임을 묻는 목소리가 강해지고 있다. 

    지난 6년간 전문가들이 신종 도시재난으로 '압사'를 경고, 대응 방안을 제시했음에도 제대로 된 안전대책을 세우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서울연구원이 지난 2016년 발간한 '신종 대형 도시재난 전망과 정책방향' 보고서를 보면, '압사사고'는 장래 서울시가 관심을 둬야 할 주요 신종 또는 대형 도시재난으로 명시돼 있다. 

    보고서는 압사사고가 △공연시설 △체육시설 △대형쇼핑시설 △지하철역 △각종 행사장·집회장 등 한정된 공간에 많은 사람이 밀집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 최근 문화축제·공연·경기·집회 등이 늘어남에 따라 사고의 발생 잠재성은 더 높아지고 있다고 예고했다. 각별한 관심을 둬야 할 것이라고도 강조했다. 

    서울연구원, 2016년 이어 2020년에도 '압사사고' 경고

    그러면서 보고서는 과거 발생한 세 가지 압사사고를 예로 들었다. 

    먼저 1992년 2월에는 '뉴키즈온더블록' 공연장에서 10대 소녀들이 무대 앞으로 쏠리면서 1명이 사망하고 40명이 부상당했다. 

    또 1960년 1월 서울역에는 귀성객들이 좁은 계단에 무질서하게 몰리며 31명의 사망자와 41명의 부상자가 초래됐다. 2006년 3월에는 잠심롯데월드에 할인기간을 맞은 입장객들이 몰려들며 35명이 부상을 당했다.

    그러면서 압사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대응책으로 △전방 보행진행상황 확인 가능한 CCTV 설치 △'천천히 걷기' 캠페인과 '스몸비족' 위험경고 안전표지판 설치 △변화 감지 가능한 계단 디자인 개선 등을 제안했다.

    또 서울연구원은 4년 뒤인 2020년에도 같은 제목의 보고서를 발간해 대응방안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재난 대응을 위한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전조감지와 조기 예·경보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며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상시 재난전조 감지 등을 예로 들었다. 

    해당 보고서들은 모두 박원순 전 서울시장 재임 당시 발간됐다. 

    신상영 서울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핼러윈에 이태원 인구 집중은 예상됐던 만큼 선제적으로 위험에 대한 경고를 주지 못한 점이 아쉽다"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