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전문가들과 긴급좌담…"다른 나라 인구 2~5배 백신 선구매할 때 우리나라는 뭐했나"
  • ▲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우측에서 두번째)가 15일 긴급좌담을 갖고 문재인 정부의 백신 미확보 사태를 지적했다.ⓒ국민의당
    ▲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우측에서 두번째)가 15일 긴급좌담을 갖고 문재인 정부의 백신 미확보 사태를 지적했다.ⓒ국민의당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우한코로나(코로나19) 백신 미확보 사태에 따른 정부의 '안정성 신중론' 해명과 관련, "코로나 종식 선언과 백신 접종, 문재인정부가 국민을 속이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안 대표는 지난 15일 오후 전병율 전 질병관리본부장, 최재욱 고려대 예방의학과 교수, 최연숙 국민의당 의원 등과 '정부의 코로나 방역대책 이대로 좋은가'라는 주제로 긴급좌담을 갖고 현황과 대책을 논의했다.

    "비용절감과 안정성 신중론? 말도 안 되는 변명에 국민 속이는 일"

    토론회에서 안 대표는 "정부 설명이 '돈 아끼려고 늦췄다' '안전성이 확인된 다음에 다른 나라들 맞은 다음 보고하겠다' 이런 것들인데, 다 말이 안 되는 변명"이라며 "국민을 속이는 일"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안 대표는 "백신이라는 것이 효능이 100%는 아니기 때문에 다른 나라들이 전체 인구의 거의 2배에서 5배 정도로 선계약을 하고 있는 것"이라며 "그런데 우리나라는 그나마 정부에서 말한 대로 다 계약하더라도 4400만 명분으로 다른 나라에 비하면 한참 모자라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게다가 "승인을 받더라도 내년 중반 정도로 (백신 접종이) 예상이 되니까 오히려 맞을 수 있는 시기가 굉장히 늦춰진다는 것을 뜻한다"는 것이다.

    안 대표는 문재인정부의 '백신외교' 무능을 영화 <컨테이젼>에 비교하며 '암시장' 기승, '테러' 위험도 불가능한 현실이 아니라고 경고했다.

    "文정부, 백신 미확보 및 부작용 관련 국민 불안 해소하는 지혜 필요"

    <컨테이젼>은 9년 전 개봉한 영화지만, 바이러스 전염과 확산 과정, 거짓정보 양산, 도시 봉쇄, 사재기 현상, 불안과 공포로 인한 인간의 폭력성 등의 내용을 담아 현재 우한코로나 상황에서 자주 화자하는 영화다.

    "<컨테이젼> 영화를 보면 정말 재수가 없으면 1년 후에나 (백신을) 맞을 수 있으니까 그걸 어떻게든 구하려고 암시장으로 가거나 테러를 한다든지 이런 일들이 벌어지는 장면들이 기억이 난다"고 회고한 안 대표는 "이런 부분들도 정부가 대비하고 전문가들의 협상 테이블을 만들어서 투명하게 알리는 지혜가 필요한데 정말로 아쉽다"고 지적했다.

    안 대표는 "우리나라 법에 감영병예방법을 보면 백신을 맞아서 부작용이 생기면 국가가 거기에 대해서 책임진다는 것이 나와 있다"며 "불안해하는 국민들에게 제대로 잘 설명하고 소통하는 지혜가 정말 무엇보다 필요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사회적 거리 두기, 더 이상 효과 없어" 전문가들 한목소리

    이날 안 대표와 긴금좌담을 가진 전병율 전 본부장은 "우리 정부는 국민들에게 다른 나라와는 다르게 선구매에 대한 청사진을 하나도 제시하지 못했다는 점은 우리 국민들에게 코로나19에 대한 불안감을 초래할 뿐 아니라 경제에도 막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며 K방역 홍보에 열을 올리다 정작 백신 확보는 불투명한 정부의 안일함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최재욱 교수는 "이런 3차 대유행에 대해서 가깝게는 한 달 전, 멀게는 몇 달 전부터 전문가가 계속적으로 경고하고 준비해야 한다고 했다"며 "그럼에도 준비와 전망 부분이 거의 무대책, 소홀하게 진행됐다"고 꼬집었다.

    최 교수는 '거리 두기 격상 조치' 예고와 관련해서도 "현재 코로나19 사회적 거리 두기는 더 이상 효과가 없다"면서 "정부·민간·산업계, 의료계가 모두 모여 '백신확보단' TF 등을 구성해 백신 확보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