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차 신청율 각 1.8%·1.9% 불과… "정부 긴급돌봄 안심 못해" 학부모들 정부대책 외면
  • ▲ 우한 코로나(코로나19) 확산에 전국 모든 학교의 개학이 3주간 연기되고, 어린이집 휴원도 2주 연장되면서 맞벌이 부모들의 고민이 커졌다. ⓒ정상윤 기자
    ▲ 우한 코로나(코로나19) 확산에 전국 모든 학교의 개학이 3주간 연기되고, 어린이집 휴원도 2주 연장되면서 맞벌이 부모들의 고민이 커졌다. ⓒ정상윤 기자
    “돌봄교실도 집단 감염이 우려되는 환경인 데, 아이를 맡기기 불안한 건 마찬가지죠.”

    우한 코로나(코로나19) 확산에 전국 모든 학교의 개학이 3주간 연기되면서 맞벌이 부모들의 고민이 커졌다. 아이들을 맡길 곳이 마땅치 않아서다. 정부는 긴급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부모들은 ‘집단 감염’을 우려해 이를 외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7일 교육부에 따르면, 3~5일까지 긴급돌봄 2차 수요조사를 벌인 결과, 전체 초등학생 272만1484명 가운데 5만 2284명(1.9%)의 학부모가 긴급돌봄을 신청했다.

    1차 수요조사 때보다 신청자가 소폭 늘었지만, 여전히 저조한 수치다. 1차 때는 4만8656명(1.8%)이 긴급돌봄을 신청했다. 이마저도 실제 참여율이 2일 신청자의 절반(48.7%)에도 못 미쳤다. 결국 전체 초등학생의 0.87%만이 긴급돌봄을 이용한 것이다.

    2일 긴급돌봄 이용 초등생, 전체의 0.87%

    학부모들이 긴급돌봄 이용을 꺼리는 가장 큰 이유는 ‘집단 돌봄’에 따른 감염 우려 때문이다. 혹시라도 자녀를 돌봄교실에 맡겼다가 집체교육 과정에서 위험한 상황에 처할지 모른다고 걱정하는 것이다.  

    경기도 부천의 한 학부모는 “휴가를 더 쓸 수 없는 상황이라 급히 시댁에 아이를 맡겼다”며 “돌봄 서비스도 집단으로 이뤄지는데 사실 학교나 돌봄교실이나 아이 안전 환경에 큰 차이가 있는지 모르겠다. 주변의 많은 맞벌이 부모들은 돌봄교실 대신 양가 부모님께 도움을 청한다고 하더라”고 말했다.    

    초등학생 1학년 딸을 둔 학부모 김모 씨는 “맞벌이 부부인데 양가 부모님들도 멀리 계셔서 아이를 맡기기 어려운 형편”이라며 “그래도 아이를 집에 혼자 둘 수 없어 긴급돌봄을 신청했지만 거기서 감염되진 않을까 계속 신경이 쓰인다”고 말했다. 

    전문가들도 돌봄교실 환경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내놨다. 정선아 숙명여대 아동복지학과 교수는 "집단 돌봄 서비스에 학부모들이 아이의 안전을 걱정하는 건 당연하다"며 "돌봄 환경을 당장 개선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고, 불가피한 상황이 아니라면 집에서 자율돌봄을 실시하는 게 최선"이라고 조언했다.

    이종배 공정사회를 위한 국민모임 대표는 “집단 감염을 막기 위해 개학을 연기했으면서 정작 정부의 보육대책은 집단돌봄 뿐”이라며 “이 역시 집단 감염의 위험성이 크고 맞벌이 부부를 위한 실질적인 대책도 아니다. 돌봄 환경도 방역이 최우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긴급돌봄 운영시간 '오후 7시'까지 연장

    한편 교육부는 이날 기존 5시까지였던 긴급돌봄 운영시간을 오후 7시까지 2시간 연장하기로 했다. 맞벌이 부부의 퇴근 시간 등 현실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일자 운영 원칙을 개선한 것이다. 

    이에 따라 다음 주부터는 유치원·초등학교에서 개학 전 2주간 오전 9시부터 오후 7시까지 긴급돌봄을 운영한다. 점심 도시락도 제공된다. 어린이집에서는 오전 7시 30분부터 오후 7시 30분까지 긴급보육을 제공한다. 

    현재 코로나19 확산으로 전국 모든 학교의 개학은 오는 23일로 3주 미뤄진 상태다. 휴원 중인 전국 어린이집도 23일에 다시 문을 열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