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제107회 이승만포럼… 북송된 9만여 명 중 북한주민 2% "북송문제, 한·미·일 도덕적 책임"
  • ▲ 제107회 이승만 포럼 강연 중인 이주천 전 원광대학교 사학과 교수. ⓒ이기륭 기자
    ▲ 제107회 이승만 포럼 강연 중인 이주천 전 원광대학교 사학과 교수. ⓒ이기륭 기자
    "재일동포 북송 1세대 대부분이 북한에서 한을 품은 채 사망했다."

    이주천 전 원광대학교 사학과 교수는 21일 오후 서울 정동제일교회 아펜젤러홀에서 이승만학당 주최로 열린 제107회 이승만포럼 주제강연 '재일동포 북송 60주년과 이승만의 대일외교'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 전 교수는 지난해 12월 재일동포 북송 60주년을 맞아 일본에 다녀온 경험을 토대로 강연을 진행했다. 그는 "이번에 일본을 방문하면서 (재일동포의) 북송이 사기였으며, 낙원의 조국 북조선으로 돌아가자는 선전선동이 사기극이자 거짓놀음이었음을 재확인했다"며 "왜 이승만 정부는 재일동포의 북송을 막지 못했나"라고 질문을 던졌다.

    이 전 교수는 "외교신인 이승만 대통령이 어떤 대일외교를 펼쳤는지 등의 문제의식은 그의 대일외교에 대해 다시 한번 깊이 생각하는 계기가 됐다"고 이날 강연 이유를 설명했다.

    200만 재일 동포 중, 60만이 일본에 잔류

    이 전 교수에 따르면, 당시 재일동포들은 일본이 태평양전쟁에서 패하면서 서둘러 귀국을 희망했다. 해방 이후 재일동포는 200만 명가량이었으나, △일본 정부가 1000엔의 입국료를 받은 것 △피폐한 남한의 경제적 사정 등이 겹치며 귀국을 꺼리는 분위기가 가중돼 약 60만 명이 일본에 잔류하게 됐다.

    북송은 북한 중앙당과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 간의 긴밀한 관계에서 만들어진 작품이라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이 전 교수는 "조총련의 주요 인사들은 방북했고, 대남공작의 후방기지로서 충실한 역할을 수행했다"며 "북송은 1959년부터 1984년까지 계속됐는데 총 9만3336명이 북한으로 이송됐고, 이 중 북한 출신은 단 2%에 불과했다"고 비난했다.

    이 전 교수는 또 "북한이 북송을 원한 이유는 △노동력 해소 △재일동포를 통한 해외 물자 및 기술 보급수단 확보 △일본과 국교정상화 모색 △남한에 대한 우월성 확보 등이 밑바탕에 깔려 있었다"며 "당시 김일성이 일본정부에 '북한은 배상문제를 철회하고 귀국비용의 일체를 부담한다'고 말하는 등 적극적인 시그널을 보내기도 했다"고 밝혔다.

    이승만 대일외교의 특징은 반일이었다. 당시 이승만 전 대통령의 비전과 목표는 대한민국이 일본과 대등한 경제력과 군사력을 보유하는 것이라고도 했다.

    이 전 교수는 "당시 동북아에서 급변한 미국의 대일정책과 이승만의 대일외교는 마찰할 수밖에 없었다"며 "이승만은 반일감정의 여론을 적절하게 잠재우지 못했고, 최후에 믿었던 미국의 거중조정(국제분쟁에서 제3자가 평화적으로 조정하는 일)도 거절당하면서 대일외교가 무참하게 실패하고 말았다"고 풀이했다.

    "이승만 대일(對日)외교의 특징은 반일(反日)"

    그러면서 북송문제는 한국·일본·미국 정부 3자의 도덕적 책임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승만 정부는 국내의 반일감정에 편승해 대안 없이 북송을 반대했고, 일본은 경제적 실리를 취하기 위해 무조건 북송에 찬성했다는 설명이다. 또 미국은 이승만 정부에 대한 비협조와 무관심으로 일본의 북송정책에 편승했다고 봤다.

    그는 "아직도 생을 마감하지 않은 북송 1세대가 북한에서 죽지 못한 삶을 살고 있다면, 2세대는 북으로 보낸 기성세대를 원망하고 있을 것"이라며 "그들의 한을 풀어주기 위해서라도 북송 60주년에 남겨진 과제를 재음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강연을 맡은 이주천 전 교수는 원광대학교 교수협의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원광대학교 대학원 교학부장을 지냈다. 또 뉴라이트 전국연합 공동대표로 활동 중이며, 애국정책전략연구원장을 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