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원자력학회가 9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정부의 밀어붙이기식 탈원전 정책을 비판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국가 에너지 정책에 대한 범국민 공론화의 장을 요구했다. (왼쪽부터 심형진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 송종순 조선대 원자력공학과 교수, 김학노 한국원자력학회장, 김명현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 방광현 한국해양대 기계공학부 교수)

    다음은 이날 발표한 성명서 전문이다.
  • 정부의 밀어붙이기식 탈원전 정책, 정치적 가치가 아닌 국가 실익이 우선이다.
    -탈원전 정책을 포함한 국가 에너지정책에 대한 범국민 공론화의 장을 요구한다-

    한국원자력학회는 국내 원자력기술 분야 산·학·연 5천여 전문가들이 참여하고 있는 대표적인 학술단체로서 현 정부의 국가에너지전환 정책에 대해 심도 있고 성숙한 범국민적인 공론화의 장이 절실하게 필요하다는 점을 천명한다.

    지난해 10월, 공론화를 통해 신고리 5·6호기 건설 재개가 결정되었고 신중한 탈원전 정책 시행이 요구되었으나, 정부는 독선적인 에너지전환정책을 시행하면서 원자력 전문가를 배제한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확정하였고, 이후 월성 1호기를 조기 폐쇄하고 신규원전 부지 고시를 무효화하는 일방적인 행정 조치를 강행하고 있다.

    월성 1호기의 경우, 5,900여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모든 노후 설비를 교체한 실질적으로는 새 원전과 다름없는 원전이다. 성급하게 결정하는 과정을 지켜보며, 대통령 선거 공약의 시행을 위해 모든 다른 고려 사항들이 무시된 것이 아니었나 의심하게 된다.

    신규원전 부지를 무효화 하고 신규원전 건설 계획을 백지화한 것에 대해서도 매우 우려하는 바가 많다. 주민 동의하에 확보한 신규 원전 부지를 주민의 동의없이 일방적으로 해제해도 되는지 염려가 된다. 향후 양일의 일자리 수만개가 사라지고, 600여 중소기업으로 구성된 원전 기자재 공급망 및 원자력산업 생태계의 붕괴가 염려된다. 그로인해 가동 중인 원전의 안전성에 위협이 되지 않을까 염려가 된다. 또한 최근의 조치로 우리나라에 매우 유리한 21조원 규모의 사우디아라비아 원전 수주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고 판단한다.

    지난 겨울에 10회나 남발된 급전 지시, 원전 가동률 저하로 인한 한전과 한수원의 대규모 적자 및 이로 인한 전기료 인상 압박 등이 이제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부작용은 산업 전체의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것이라는 어두운 전망들도 나오고 있다. 특히 국가 주력 산업인 반도체·철강·디스플레이·화학·태양광 판넬 등 전력을 많이 사용하는 산업부문은 그 기반이 뿌리째 흔들릴 것으로 예상되고, 탈원전 정책의 부작용은 10년 정도 이후에는 걷잡을 수 없는 전기 공급 불안정 및 고비용 문제를 초래할 것이라 예상된다.

    우리는 일련의 조치들이 정책적 과실로 드러나고, 국민혈세의 낭비로 이어지고, 정치적 혼란을 야기하는 상황을 불러 올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이에 하루빨리 국가 에너지정책에 대한 논리적이고 과학적인 재검토 과정이 필요하다고 보아, 다음과 같이 요구한다.

    하나, 정부는 우리에게 맞는 미래지향적인 에너지수급계획 재정립을 위해 범국민공론화의 장을 마련하라.

    하나, 정부는 지난 6월 15일 개최된 한국수력원자력주식회사 이사회의 결정을 원천 무효화하고 신한울 3·4호기를 포함한 신규원전 건설을 예정대로 추진하라.

    하나, 정부는 국내 원전산업생태계의 생존과 직결된 해외수출을 위하여 1차적으로 사우디 원전 수주의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최대한의 지원과 노력을 경주하라.

    하나, 수요자와 에너지전문가가 함께 참여하는 위원회를 구성하고, 전력에너지 문제를 대통령 공약 시행에 몰입하는 독선적인 정부에만 맡기지 말고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정책 시행이 되도록 노력하라.

    2018. 7. 9.

    한국원자력학회 회원 일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