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쿄=연합뉴스)  도쿄에서 한일관계 개선을 도모하기 위해 열린 한일협력위원회 합동 총회가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한국 비하 발언을 했다는 일본 주간지 주간문춘(週刊文春)의 보도 여파로 파행했다.

    한일협력위원회 합동총회 참석단의 일원으로 일본을 찾은 서병수 새누리당 의원 등 한국 국회의원 7명 전원은 15일 아베 총리가 '한국은 어리석은 국가'라고 언급했다는 주간문춘의 보도와 관련, 항의 차원에서 행사를 거부했다.

    이들은 도쿄 제국호텔에서 개최된 합동총회 행사 중 오전 개막식만 참석하고 나서 일본 의원들과의 오찬과 총회는 불참했다.

    또 "주간문춘의 기사는 한일관계 악화를 초래하는 것으로서 이에 심각한 우려를 표명한다"며 "일본 정부가 기사 내용이 한일관계에 미치는 부정적인 파장을 충분히 인식해 사실 관계를 즉시 밝히고 책임 있는 조치를 취하라"고 성명을 발표했다.

    주간문춘은 14일 발매된 최신호에서 아베 총리가 "중국은 어처구니없는 국가지만 아직 이성적인 외교 게임이 가능하다. 한편, 한국은 단지 어리석은 국가"라는 말을 했다고 아베 총리 주변의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아베 총리가 연일 한국과의 관계가 중요하고 정상회담을 원한다는 발언을 하는 가운데 보도된 것이고 취재원과 발언 시점이 특정되지 않아 진위, 배경 등을 놓고 논란이 일었다.

    사태가 악화하자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그런 말을 할 리가 없다"며 보도 내용을 부정했다.

    스가 장관은 "사실에 기반을 두지 않은 것으로 생각한다"며 "일본 측으로서는 그런 일이 있을 수 없다고 생각하고 냉정하게 대응하고 싶다"고 말했다.

    의원들은 일본 정부의 해명이 있고 나서 총회의 '뒤풀이' 성격인 환영 리셉션에는 참석했다.

    이날 개회식에 아베 총리와 한일협력위 일본측 신임 회장인 아소 다로(麻生太郞) 부총리 등 일본 정부의 1,2인자가 모두 참석한데서 보듯 일본 측은 이번 행사를 한일관계 개선을 위한 분위기 조성의 장으로 활용하려 했다. 그러나 결국 진위가 확인되지 않은 주간지의 보도로 인해 행사의 취지가 크게 퇴색했다.

    협력위원회는 행사 파행에도 총회의 결과로 결의문을 채택해 한일 관계의 회복을 위한 노력을 촉구했다.

    이들은 결의문에서 한국·중국·일본의 3국 정상회담이 지연되는 것에 우려를 표명하고 될 수 있으면 빨리 개최하라고 제안했다.

    또 핵실험을 비롯한 북한의 움직임에 우려를 표명하고 한국과 일본 정부가 북한을 개혁개방 노선으로 인도하도록 협력할 것을 촉구했다.

    환경오염이나 에너지 등 문제 해결을 위해 한중일 3국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하고 2020년 도쿄 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각계가 힘을 모으기로 했다. 내년도 총회는 서울에서 열기로 했다.

    1969년 발족한 한일협력위원회는 양국의 국회의원, 재계 인사, 문화계 인사 등이 참여해 양국간 협력방안 등을 논의하는 기구로, 논의 결과를 각국 정부에 제언하는 역할도 한다.

    당초 지난 5월 도쿄에서 합동총회를 개최할 예정이었지만 당시 아베 총리의 역사인식 관련 문제 발언 등으로 양국관계가 급격히 악화하자 회의를 미뤘다가 다시 일정을 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