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정부가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 국유화에 강력하게 반발하는 중국을 설득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일본 정부는 외교력을 총동원해 센카쿠 국유화와 상관없이 실효지배를 강화하지 않고 현상을 유지하겠다며 중국에 자제를 촉구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지난달 28일 외무성의 야마구치 쓰요시(山口壯) 부대신(차관)을 베이징에 보내 중국 지도부에 센카쿠 국유화 방침을 설명하고 이해를 구했다.

    야마구치 부대신의 방중에 맞춰 일본의 일부 언론은 중국 정부가 센카쿠의 현상 유지를 위해 일본에 상륙·조사·개발 금지 등의 3조건을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이를 일본이 수용할 경우 중국은 센카쿠의 국유화를 문제삼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중국 정부가 지도부 교체를 앞두고 영토 문제로 인한 일본과의 외교 갈등을 피하려 한다는 관측도 잇따랐다.

    일본 정부도 중국이 싫어하는 대표적 우익 정치인인 이시하라 신타로(石原愼太郞) 도쿄도 지사가 요구한 센카쿠 대피항 건설과 상륙조사 등을 거부, 중국을 '배려'하는 모습을 보였다.

    일본 정부는 도쿄도가 센카쿠를 매입하면 이시하라 지사가 공격적으로 실효지배 강화 조치를 취할 수 있고 이럴 경우 중국과의 갈등이 증폭될 수 있기 때문에 국유화가 '평온하고 안정적인' 센카쿠 관리를 위해 바람직하다는 논리를 폈다.

    일본 정부는 중국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 어선 대피시설 구축과 무선 중계 기지 설치 등의 실효지배 강화를 유보하기로 했다.

    하지만 중국은 일본 정부의 센카쿠 국유화 자체가 실효지배를 강화하는 것으로, 용인할 수 없다고 반발했다.

    지난 9일 블라디보스토크 APEC 정상회담에서 후진타오 국가주석이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총리를 만나 센카쿠 국유화를 강도 높게 비판한 뒤 중국의 공세는 한 층 거세졌다.

    중국 지도부는 정권 교체를 앞두고 있는데다 반일(反日) 시위가 계속되는 등 일본의 센카쿠 국유화에 대한 국민 감정이 악화하는 상황에서 유연하게 대응할 경우 '후폭풍'을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반발이 예상외로 격렬하자 일본 정부는 지난 11일 예정했던 센카쿠 매입 예산 지출을 위한 각의를 연기하는 방안도 검토했으나 중국에 영유권에 대한 '잘못된 신호'를 줄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강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 정부 내에서는 센카쿠를 국유화한 뒤 실효지배 강화 조치를 하지 않을 경우 중국의 반발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애초 상황 판단에 문제가 있었던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왔다.

    일본 정부는 외교력을 총동원해 실효지배 강화 조치 유보 등의 센카쿠 현상 유지 방침을 중국 측에 설명하고 있다.

    11일에는 스기야마 신스케(杉山晋輔) 아시아대양주 국장을 베이징에 파견해 중국을 설득했다.

    정부 대변인인 후지무라 오사무(藤村修) 관방장관은 회견에서 '센카쿠 국유화'라는 말을 아예 쓰지않고 '개인 소유자로부터 임대하고 있는 섬을 취득했다'는 표현을 썼다.

    후지무라 관방장관은 "양국의 국민감정을 자극하는 어려운 상황이 있다면, 오해와 예기치않은 사태를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중국에 자제를 호소했다.

    겐바 고이치로(玄葉光一郞) 외무상도 "작금의 사태로 일중 간의 안정적 발전이 저해돼서는 안 된다"면서 "서로 허심탄회한 의사 소통을 시도해야 한다"고 대화를 강조했다.

    그러나 중국 측이 센카쿠 국유화의 철회를 요구하며 군사적, 경제적, 외교적 압력을 강화하고 있어 일본의 입지는 갈수록 궁색해지고 있다.

    일본 정부는 독도 문제는 국제사법재판소 제소 등으로 한국에 강공을 취하되 센카쿠 문제는 중국을 자극하지 않고 조용하게 간다는 전략이지만 전혀 먹혀들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