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核실험 없이 核보유는 얼마든지 가능하다! 
      
     북괴(北傀)의 '핵무기 소형화'는 시간문제
    金泌材    
      
     ‘핵무기 개발에 핵실험이 필수적’이라는 우리 사회 일각의 주장은 현대적 핵개발에 대한 무지(無智)의 소산(所産)으로 진실과는 거리가 먼 분석이다.
     
     과거 남아공은 1993년 핵포기를 선언하고 자진 해체하기 전까지 이스라엘의 원조를 받아 6기의 핵무기를 제조-보관했다.
     
     이스라엘의 경우도 핵실험 없이 100~300기의 핵탄두를 보유하고 있는 사실을 감안할 때 핵실험의 유무(有無)가 핵보유의 결정적 변수가 되지는 않는다.
     
     파키스탄의 핵무기 개발 책임자인 칸 박사는 20KT 정도의 소형 핵탄 개발에는 핵실험 없이 수십 회의 고폭실험(高爆實驗) 만으로 핵개발이 가능하다고 언급한 바 있다. (주지하다시피 파키스탄의 핵무기는 중국과 북한의 지원으로 핵개발에 성공한 케이스다.)
     
     칸 박사는 또 1999년 방북 때 산속에 뚫은 터널에 보관돼 있던 소형 핵무기 3기와 기폭(起爆)장치 등을 봤으며, 소형 핵무기는 미사일 탑재가 가능한 것이었다고 증언했다.
     
     고폭실험은 핵실험의 전 단계로 분열성 핵물질을 주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소총의 방아쇠 역할을 하는 중성자(中性子) 발생장치, 중성자 발생장치를 감싸고 있는 핵물질, 핵물질을 감싸고 있는 중성자 반사체(反射體), 중성자 반사체를 감싸고 있는 고폭화약 및 뇌관장치 등 전체체계에 대한 유기적 반응상태를 관찰하기 위한 예비 핵실험이다.
     
     그러므로 핵무기 개발에 있어 핵실험이 반드시 필요한 것이 아니라 고폭실험과 같은 간이 모의실험만 실시하면 핵개발에는 문제가 없다.
     
     북한은 지금까지 130~140여회의 고폭실험을 실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북한은 해방 후 이승기 서울대 공대학장을 데려가 핵개발을 시작하고, 1960년 핵 연구 단지를 조성, 황해북도 평산-금천 등지에서 고순도의 '3호 광석'(우라늄)을 탐사-채굴하는 등 핵개발의 역사도 매우 길다.
     
     그 결과 1989년 무기급 플루토늄을 추출했고, 1992년 '평양 101연구소'는 저온에서 핵분열을 일으킬 수 있는 '저폭뇌관'(低暴雷管) 개발에 성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핵탄두 폭발시 통상 3만도 이상의 고온에서 핵분열이 일어나지만 그보다 훨씬 낮은 저온(低溫)에서 핵분열을 일으킬 수 있는 '저폭뇌관' 개발에 성공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고폭실험만 실시하면 핵무기 개발이 가능한데 ‘왜 많은 국가에서 핵실험을 실시하고 있는가?’하는 의문이 생긴다. 이유는 개발무기의 위력, 특성 등에 대한 정확한 정보의 획득, 즉 개발무기에 대한 신뢰성 확보를 위해서이다.
     
     핵무기는 화재, 이동시 충격, 각종 점화장치 및 전기배선 부분의 전기발생 문제점 등에 대한 철저한 확인이 필요하다. 실제 사용을 위해서는 비밀번호 입력에 의한 안전해제, 발화준비, 발화 등의 3단계 명령이 수행되어야 하므로 다양한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안전장치에 대한 확인 목적으로 핵보유국은 주기적으로 핵실험을 실시한다.
     
     과거 2차대전시 미국이 개발한 핵무기는 장입된 핵물질의 10% 정도만 핵분열(연소)되었지만 지금의 핵개발 선진국은 장입 핵물질의 50% 정도를 연소할 수 있도록 하는 설계능력 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장전 핵물질의 연소 효율성은 핵실험 실시 횟수와 비교된다고 할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은 “북한이 정말 핵무기 기술을 보유하고 있을까?”라는 의구심을 가지고 있다. 핵무기 기술은 첨단기술이 아니라 50년대 이미 모든 원리가 밝혀진 기술이다.
     
     원자로 기술과 핵무기 기술은 동일하다. 즉 동일한 분열 핵물질을 사용하여 원자로는 3년 정도의 장기간에 걸쳐 핵분열이 일어나도록 작동시키는 반면, 핵무기는 백만분의 1초 정도의 짧은 시간에 핵분열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분열시간의 조절기술에 불과한 것이다.
     
     과거 미국은 맨해튼 프로젝트에 의한 핵무기 개발 시 설계된 모형에 대한 핵계산을 현대와 같은 대용량의 슈퍼컴퓨터로 계산하지 않았다. 수기식(手技式)계산으로 개략적(槪略的)인 계산을 통해 핵무기를 설계했지만 특이한 문제점은 없었다. 미국은 또 플루토늄탄이 완성된 후 2년 만에 ‘수소폭탄’(水素爆彈) 개발에 성공했다.
     
     북한도 이미 80년대부터 자체 기술로 영변의 5MWe 원자로를 설계-가동하고 있다. 그러므로 어떠한 모형의 핵물질에 대해서도 정확히 묘사, 계산 가능한 핵계산 코드를 보유하고 있을 것으로 판단되므로 핵무기 개발에 필요한 기술상의 문제점은 없는 것으로 봐야 한다.
     
     여러 가지 이설(異說)들이 있을 수 있으나, 컴퓨터 기술이 발달한 오늘날 핵실험의 필요성은 과거에 비해 상당부분 감소됐으며, 컴퓨터 시뮬레이션만을 가지고도 핵무기를 유지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 대다수 과학자들이 동의하고 있다.
     
     대량파괴무기(WMD)란 핵무기, 생-화학무기, 그리고 이들을 표적까지 운반할 수 있는 수단인 미사일 등의 무기를 지칭한다.
     
     북한은 이미 핵무기를 보유했고, 그 대상은 남한이다. 북한의 핵무기 소형화는 시간문제일 뿐이다. 설령 핵 소형화가 이뤄지지 않았다 하더라도 생-화학무기, 그리고 미사일 공격을 통해 얼마든지 남한을 아수라장으로 만들 수 있다.
     
     대한민국이 정상적인 국가라면 북한 핵능력의 실체를 사실을 알리고, 미국의 한반도 핵 재배치 및 대응핵개발(자체 핵무장)을 논의하는 것이 정상일 것이다.
     
     김필재 기자 spooner1@hanmail.net
     
     [관련기사] 북한의 '초(超)소형 핵무기'와 서울 불바다의 실체
     2010년 11월06일자 보도
     
     2002년 헬기 추락사고로 사망한 알렉산더 레베드 장군은 구(舊)소련 붕괴 과정에서 엄청난 양의 핵물질과 미사일 기술이 북한-이란-중국 등으로 유입됐다고 폭로한 바 있다.
     
     푸틴의 정적(政敵)으로 유력 대통령 후보였던 레베드는 사고 발생 전 미(美)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구(舊)소련이 보유했던 소형 핵무기 가운데 100여기 가량이 분실됐다고 밝혔다.
     
     그동안 소형 핵가방은 미국과 러시아만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수년 전 부터 미국의 군사안보관계 전문가들은 ‘제2의 9.11테러가 핵 테러가 될 것’이라고 예견해왔다.
     
     테러의 목표가 미국의 워싱턴이 될지 뉴욕이 될지, 아니면 서울이 될지는 알 수 없다.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은 5일 핵무기 위협 대상으로 테러리스트 단체를 비롯, 북한-이란 등을 ‘최대의 핵 위협국’으로 지목하고, 이들 국가에‘서류 가방 크기의 핵무기’(a suitcase-size nuclear bomb)가 유입됐을 수도 있다고 밝혔다.
     
     클린턴 장관은“지금은 핵 정보와 기술 전문가들이 (핵정보 및 기술을) 시장에서 판매를 할 수가 있으며, 핵기술 이전을 차단하기가 매우 어려운 환경이다. 미국은 북한을 비롯, 여러 국가에 핵기술을 판매한 파키스탄에 대해 상당히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지난 4월 워싱턴 핵 안보정상회의에서 많은 핵 밀거래 차단 사례들이 논의됐다”고 언급하면서 “특히 구(舊소)련으로부터 흘러나온 핵물질 유출-거래 시도가 있었고 여러 구매자들이 있었다. (이는) 심각한 우려 대상”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서류가방 크기 핵무기는 킬로톤(kt) 규모의 충격으로 수만 명의 인명을 사망시키지는 않더라도 해당 지역 일대를 오염시키고, 테러공포에 휩싸일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최고의 테러 수단이 될 수 있다”고 클린턴 장관은 우려를 표명했다.
     
     클린턴 장관은 “북한은 핵 정보, 기술을 지난 수년 동안 지속적으로 추구하며 핵실험을 실시했고, 지금도 무기 역량 증강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 매우 위험한 상황”이라며 “이 때문에 우리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실현하려 한다”고 강조했다.
     
     클린턴 장관의 발언은 북한 핵문제의 ‘빙산의 일각’에 지나지 않는다.
     
     기자는 아주 가까운 장래에 북한의 미(未)공개 군사력이 속속 ‘오픈-클로즈 트랙’(open-close track)을 통해 공개될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서 문제는 북한의 핵배낭 보유에서 끝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
     
     90년대 소련에서는 정권붕괴가 임박해지자 우크라이나, 카자크스탄, 벨로루시 등에 배치했던 소련의 전술 및 전략핵무기(SS-18, SS-19, SS-24, SS-25) 가운데 80 내지 100여기가 무정부상태 혼란 속에서 분실되거나 도난당했다.
     
     김정일이 핵물질과 탄도 미사일 기술을 헐값 획득할 수 있는 이 같은 ‘절호의 기회’를 놓쳤을 리가 없다. 즉 북한에는 현재까지 알려진 것보다 훨씬 더 많은 핵물질이 있다고 봐야 한다. 이는 장차 우리에게 엄청난 도전으로 다가올 것이며, 군(軍)대북작전 계획이 전면 수정되어야 함을 뜻한다.
     
     북한과 같은 신생 핵보유국의 경우 핵물질에 대한 안전관리가 허술하다.
     
     만에 하나 북한 급변사태가 발생해 북한 전역이 무정부상태가 되면 핵무기 및 핵물질에 관한 정부통제가 와해될 것이다. 이 혼란 중에 핵무기와 핵물질의 일부가 알-카에다와 같은 테러조직에 팔리거나 그들 손에 넘어갈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경제가 파탄난 북한은 재정조달과 정정권유지 차원에서 중-단거리 미사일을 밀수해왔으며, 사정이 급박해지면 핵물질과 핵무기마저 내다 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죽기 아니면 살기로, 이판사판식 정권안보를 고수하려는 북한지도부는 핵을 가진 위협은 물론 핵무기 장사까지 마다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누군가 북한의 핵전략을 ‘한(恨)의 핵전략’이라고 했다. 3백만의 북한 동포들을 굶겨 죽여 만든 핵무기란 뜻이다. 북한 독재정권은 김정일이 죽어도 절대 핵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
     
     대한민국 주도의 자유통일이 늦어지면 연방제 적화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 같은 전대미문(前代未聞)의 위협에 대한민국은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김필재 기자 spooner1@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