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이탈주민(탈북자)들로 구성된 사회적 기업이 올해 안으로 30개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통일부 관계자는 3일 "서울시, 미소금융재단 등과 협력해 금년 중으로 북한이탈주민 사회적 기업 30개를 설립해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회적 기업이란 일반회사처럼 영업활동을 하면서 취약 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창출된 이익은 사회적 목적에 재투자하는 기업을 가리킨다.
    현재 노동부, 보건복지부, 서울시 등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선정된 탈북자 관련 사회적 기업은 모두 17곳이다.
    노동부로부터 사회적 기업으로 공식 인증받은 곳은 2008년 개업한 박스 생산업체인 메자닌 아이팩을 비롯해 메자닌 에코원(블라인드 생산), ㈔탈북문화예술인총연합회(문화.예술사업) 등 3곳이다.
    또 열매나눔재단, 새터민회, 하나여성회 등 14곳은 지난해 말부터 서울시, 보건복지부로부터 예비 탈북자 기업으로 선정돼 노동부로부터 정식 인준 절차를 준비하고 있다.
    통일부는 사회복지법인인 열매나눔재단을 통해 민간단체들이 탈북자들을 고용하는 사회적 기업으로 선정될 수 있도록 컨설팅 등을 통해 지원하고 있다.
    아울러 통일부는 저신용자 금융지원재단인 미소금융중앙재단이 탈북자를 고용하는 사회적 기업에게 지원하는 대출금을 지난해 40억원에서 올해 60억원으로 증액하고 지원범위도 기존 인증기업에서 예비 사회적 기업까지 확대했다고 밝혔다.
    통일부 관계자는 "사회적 기업은 탈북자들이 우리 사회에 정착하는데 큰 도움이 되는 만큼 앞으로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