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천안함 침몰사건 원인에 대한 조사결과가 나오는대로 중국과 러시아, 일본에 대해 이를 공식 설명하고 향후 대응과정에서 협조해줄 것을 요청할 것으로 26일 알려졌다.
    현재 6자회담 관련국 가운데 미국 만이 직접 조사단을 보내 우리 정부와 합동조사를 진행 중이며 중국과 러시아, 일본은 별도의 조사단이나 참관인을 보내지 않고 있다.
    정부 고위소식통은 "현실적으로 중국과 러시아 등이 조사과정에 참여하기는 어려워 보인다"며 "정부로서는 조사가 끝나면 이번 조사에 참여하지 않은 관련국들에게 결과를 설명하고 협조를 요청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이어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결정적 물증을 수집.확보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소식통은 한.미가 중국에 대해 특별참관단을 보내도록 요청할 가능성이 있다는 일부 관측에 대해 "고려해볼 수는 있지만 현시점에서 중국이 조사과정에 관여할 가능성이 높지 않다"며 "정부가 추후 조사결과를 중국측에 설명하는 방식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부는 천안함 사건이 북한의 소행으로 드러날 경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회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이를 위해서는 상임이사국(P5) 지위에 속하는 중국과 러시아의 협조가 중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정부는 함체인양이 완료되면서 사고원인 규명작업이 속도를 냄에 따라 금주부터 외교, 국방, 통일 등 외교.안보부처를 중심으로 향후 대응방안에 대한 세부 검토작업을 진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위성락 평화교섭본부장을 반장으로 하는 외교통상부 천안함 사건 대책반은 지금까지 수차례의 회의를 거쳐 가상의 대응 시나리오에 대비한 연구작업을 마무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고위당국자는 "가능한 경우의 수에 대한 대강의 검토작업이 마무리된 상태"라며 "상황에 따른 취사선택이 가능하도록 준비했다"고 설명했다.
    외교부는 이번 사건이 북한의 소행으로 드러날 경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부 ▲한.미 연합방위태세 강화 ▲우방국과의 협조관계 강화 등 세갈래의 방향에서 검토작업을 진행 중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