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회창 자유선진당 총재는 "북핵을 억지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은 강력한 군사력 뿐"이라고 강조하며 "좌파정권 10년 동안 북한의 위험성을 평가절하했다"고 지적했다.

    이 총재는 29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창당 1주년 기념 내외신 합동 기자회견을 열고 "북핵 위협에 대해 군사력 억지라는 것은 단독으로 북핵에 맞서겠다는 것이 아니라, 한미동맹이라는 골간 위에서 일본이나 기타 다른 나라와 연계하면서 한반도 안보를 지켜야 한다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이 자리에서 지난 10년 간의 대북 정책을 비판했다. 이 총재는 "북한이 핵무기를 개발한 위험천만한 국가됐는데도 좌파 정권 10년동안 (남한내)친북 좌파세력은 북한 위험성을 애써 무시하거나 평가절하해 왔다"고 지적했다. 그는 "돈과 쌀을 주면 북한이 변하고 핵을 포기할 것이라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논리는 북한이 핵무기 실험을 강행하면서 거짓임이 드러났다"면서 "북한의 경제적 의존도를 통해 핵 억지력을 확보하겠다던 노무현 정부도 실패하기는 마찬가지"라고 평했다.

    대북비방전단(속칭 삐라)에 대해서 이 총재는 "삐라를 풍선으로 보내는 것 자체를 막아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 총재는 "남북관계에서 북한과의 관계를 원활히 하기위해 정부가 시민 단체에 자제 요청을 할 수는 있으나, (삐라는)표현의 자유"라고 말했다. 다만 이 총재는 "삐라 안에 북한 돈을 넣는 것이 만에 하나 법에 저촉된다면 그 부분은 해서는 안된다"고 선을 그었다.

    대선 후보 시절부터 고수돼 왔던 '법과 원칙'을 중시하는 이미지를 지닌 이 총재에게 용산 참사 '과격시위'에 대한 질문도 쏟아졌다. 이 총재가 사건을 지휘한 김석기 경찰청장 내정자의 사퇴를 촉구하는 입장을 나타내자, 일본 산케이 신문 구로다 가쓰히로 서울지국장은 "이 총재의 용산참사 평가가 개인적으로 불만이다. 물론 철거민 보호는 필요하나, 외국에서 보면 (농성자들이)법과 질서를 외면했다는 비판이 나온다"며 "촛불시위도, 국회 폭력도 그렇다. 한국은 아직까지 법 질서가 확립 안됐다는 느낌"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이 총재는 "농성자들이 경찰에 화염병과 구슬을 던지고, 새총을 쏘는 행위를 묵인하거나 잘됐다고 보는 게 아니다. 위법은 처벌돼야 한다"고 선을 그은 뒤 "문제는 불법 사태라고 보고 아무렇게나 진입해선 안된다는 것이다. 불법시위를 신속하게 진압하고 성과를 올리는 것으로 끝났다고 하는 것은 '개발독재식 사고'"라고 꼬집었다. 그는 "재발 방치 대책을 세워야 올바른 통합"이라며 "선진당은 따뜻한 정치와 경제를 펼치기 위해 우보천리(牛步千里)하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이밖에 이 총재는 '강소국 연방제' 개헌을 위해 지방선거 연기를 제안하고 국회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국회의원 숫자를 30% 감축하자는 내용을 주요 골자로 연설했다.

    이날 회견은 박선영 선진당 대변인이 사회를 맡았고, 내외신 기자들과 말레이시아 핀란드 온두라스 미국 우즈베키스탄 대만 벨기에 라오스 호주 등 주한 외교사절들도 참석했다. 오전 11시쯤 시작된 회견은 예정시각을 넘긴 12시 30분쯤 끝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