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의 정계복귀설이 최근 정가를 뜨겁게 달구고 있다. 가장 큰 이해관계자인 한나라당의 차기 대선주자들은 곧바로 '이회창 정계복귀 반대'입장을 피력하며 이 전 총재의 움직임에 브레이크를 걸었다.

    강재섭 대표 역시 이 전 총재의 정계복귀를 반대했고 한나라당내 다수가 이 전 총재의 최근 움직임에 부정적인 견해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미 이 전 총재의 정계복귀는 기정사실화 됐다는 관측이 높다. 이 전 총재가 자신의 정계복귀 설에 대해 "나는 대권보다도 국민의 자유와 자유의 정신을 무시하는 좌파정권이 다시 집권하지 못하게 하는 게 나의 일"이라고 일축했지만 당내에선 이 전 총재의 '강연정치'를 사실상 정계복귀로 받아들이는 분위기가 크다.  

    이재오 최고위원의 경우 이 전 총재의 정계복귀에 대해 '환영'한다는 입장까지 밝혔고 홍준표 의원 역시 복귀에 대한 명분만 충족된다면 가능하다고 말해 최근 확산되는 이회창 정계복귀설을 더욱 증폭시켰다.

    이성권 의원도 23일 일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어떤 식의 모양새를 취할지가 문제지 사실상 정계복귀로 봐야한다"고 밝혔다. 이 전 총재가 자신의 정계복귀설에 손사래를 치고 있지만 이 의원은 "아니라고 해도 받아들이는 입장에선 단순 행보라기 보다 정치적인 움직임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반박했다.

    이 의원 역시 이 전 총재의 정계복귀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지만 "이 전 총재의 영향력과 파괴력은 아직 무시하지 못할 만큼 크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 전 총재가 복귀할 경우 당의 대권구도에 큰 변화가 올 수 있고 박근혜 전 대표와 이명박 전 서울특별시장간의 균형이 깨질 경우 이 전 총재가 '킹 메이커'가 아닌 '킹'이 되려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 의원은 "최근 최병렬 서청원 홍사덕 등 구정치인들이 다시 움직이고 있고 각 대선주자 진영에서 이들을 어떻게 활용할 지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아직 이들의 영향력이 있다는 것인데 이 전 총재의 영향력과 파괴력은 이들보다 더 크기 때문에 각 대선주자진영에선 이 전 총재를 놓고 고민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당의 외연확대 측면에선 이 전 총재의 정계복귀가 크게 도움되지 않을 것이라 예측했다. 또 국민정서에도 부합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 의원의 설명이다. 실제 23일 발표된 여론조사에서도 국민의 절반 이상이 이 전 총재의 정계복귀를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BS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리얼미터에 의뢰, 지난 21일 전국 19세 이상 성인남녀 632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 이 전 총재의 복귀에 찬성한다는 의견은 27.3%인 반면 반대한다는 의견은 52.4%나 됐다. 이번 조사는 전화조사 방식으로 이뤄졌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9%P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