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경찰, 민노총 본부 등 전국 12곳 강제수사A씨, 2016~2019년 매년 해외서 공작원 접선 의심국힘 "민노총이 왜 주한미군 철수 외쳤는지 이해"
  • ▲ 18일 오후 국정원이 압수수색 중인 서울 영등포구 민주노총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사무실 입구에서 경찰이 압수수색 종료 때 손팻말 시위를 하려는 노조원들을 막아서고 있다. ⓒ연합뉴스
    ▲ 18일 오후 국정원이 압수수색 중인 서울 영등포구 민주노총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사무실 입구에서 경찰이 압수수색 종료 때 손팻말 시위를 하려는 노조원들을 막아서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 간첩단 지하조직 사건을 수사 중인 방첩당국이 18일 오전부터 전국 12곳 안팎에 대한 동시다발 압수수색을 전개함에 따라, 제주와 경남 창원에서 촉발된 간첩단 사건이 전국적으로 확대될 조짐이다.

    국가정보원에 따르면 국정원은 이날 경찰청과 합동으로 △서울 중구 정동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본부 사무실과 △영등포구 보건의료노조 사무실 △전남 담양군에 위치한 기아자동차 광주공장 전 노조 간부 자택 △제주시 봉개동의 평화쉼터 등을 압수수색했다.

    방첩당국은 △민주노총 본부 국장급 간부 A씨와 △민주노총 산하 보건의료노조 간부 B씨 △민주노총 산하 금속노조 광주전남지부 소속 전 간부(기아차 광주공장 관계자) C씨 △세월호 제주기억관 운영위원장(평화쉼터 대표, 민주노총 산별노조 전 간부) D씨 등의 국가보안법(8조 회합·통신 등) 위반 혐의가 짙다고 보고, 법원에서 영장을 발부받아 이들의 자택과 사무실, 주거주지, 차량 등을 집중 수색했다.

    방첩당국은 현직 민주노총 간부인 A씨의 경우 2016년부터 2019년까지 매년 해외에서 북한 공작원을 만나 공작금을 받는 등 교류를 해온 것으로 보고 있다.

    JTBC 단독보도에 따르면 A씨는 2016년 9월 베트남 하노이, 2017년 9월 캄보디아 프놈펜, 2018년 9월 중국 광주, 2019년 8월 베트남 하노이 등에서 북한 공작원과 접선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2017년 9월 캄보디아 프놈펜에서는 A씨 외에도 보건의료노조 간부 B씨와 전 금속노조 간부 C씨 등 3명이 각각 혼자서 북한 공작원을 만난 것으로 전해졌다.

    방첩당국은 A씨가 북한 측과 금전 및 불상의 내용물을 거래했을 가능성도 수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2016년 8월 중국 북경에서 A씨가 수사기관의 추적을 따돌리고 모처로 이동했는데, 이후 북한 공작원이 A씨가 들고 있던 같은 보스턴 백을 들고 북한으로 돌아갔다는 것이다.

    같은 해 9월 베트남에서는 A씨가 북한 공작원 아들의 오토바이에서 검정색 물건을 받아들고 귀국해 국내 환전소에서 1만달러를 환전한 사실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방첩당국은 A씨 등 4명의 반정부·이적 활동이 최근 논란이 된 제주의 'ㅎㄱㅎ', 경남 창원·진주의 '자주통일 민중전위(북한 연계 지하조직 총괄 조직)'와는 별개의 사건이나, 해외에서 은밀히 북한 공작원과 접촉하고 조직을 결성하는 수법은 대동소이한 것으로 보고 있다.

    방첩당국은 압수수색 대상 중 일부가 중국으로 출국하려는 움직임을 보여 이날 전격적으로 강제수사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방첩당국의 압수수색 사실이 보도되자, 박정하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북한의 지령을 받고 간첩 활동을 벌인 지하조직의 실체가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며 "민주노총도 간첩 조직에 연결돼 있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변인은 "민주노총은 그간 노동자의 권익 보호가 아니라 주한 미군 철수, 대통령 퇴진 등 정치 구호, 반정부 구호를 외치는 데만 혈안이었다"며 "철저한 수사를 통해 민노총 지도부가 왜 노동자가 아닌 북한 김정은 정권의 희망 사항을 대변해왔는지 그 이유가 명백히 밝혀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반면 한상진 민주노총 대변인은 "국정원이 수백명의 병력을 동원해 한편의 '잘 짜인 그림'을 그리려 하고 있다"며 "윤석열 정부 이후 공안 통치의 과거로 회귀하는 부분이 상당히 보여진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