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개 자치구 총 39곳 신청… 기존 미추진 9개구서 모두 신청반지하·상습침수지역 등 우선 검토… "시장 안정화 위해 최선"
  • ▲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4월 14일 서울시 중랑구 면목동 모아타운 시범사업지 현장을 방문하고 있다. ⓒ강민석 기자
    ▲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4월 14일 서울시 중랑구 면목동 모아타운 시범사업지 현장을 방문하고 있다. ⓒ강민석 기자
    서울시가 노후 저층 주거지의 열악한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오세훈표 모아타운' 추가 공모 결과, 19개 자치구에서 총 39곳이 신청했다고 7일 밝혔다. 

    모아타운은 신·구축이 혼재돼 대규모 재개발이 어려운 노후 저층 주거지를 하나의 단위로 모아 대단지 아파트처럼 주택을 공급하는 정비 모델이다. 

    주차난 등 저층 주거지의 고질적 문제를 해소하고 무분별한 개별사업으로 발생하는 나홀로 아파트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주목받는다. 

    상습침수지역·반지하주택 밀집지 우선 검토

    이번 공모 결과는 앞서 상반기에 실시한 첫 공모(14개 자치구 총 30곳 신청)보다 많은 규모다. 시는 노후하고 열악한 저층 주거지를 실질적으로 속도감 있게 정비할 수 있는 모아타운에 높은 관심이 반영된 것으로 봤다. 

    또 이번 공모에는 현재 모아타운 사업이 추진되고 있지 않은 9개 자치구(용산·광진·동대문·성북·은평·영등포·동작·관악·강남)에서 모두 신청해 25개 전 자치구에서 모아타운 추진 의지를 확인했다.

    시는 오는 10월 중으로 사전 적정성 검토와 전문가 선정위원회를 거쳐 대상지를 최종 선정·발표할 계획이다. 

    특히 침수에 취약한 반지하 주택을 순차적으로 없애 나가기 위해 상습 침수 또는 침수 우려 지역과 반지하 주택이 밀집한 지역을 우선적으로 선정 검토할 예정이다.

    '오세훈표 모아타운' 대상지, 10월 최종 선정

    자치구에서 검토해 제출한 신청서를 바탕으로 대상지를 대상으로 정량적 평가와 소관 부서의 사전 적정성 검토를 거친다. 모아주택 집단 추진 여부(20점), 모아타운 대상지 취지 부합 여부(60점), 정비 시급성(20점), 가점(10점) 등을 평가해 70점 이상인 공모 신청지를 선정위원회에서 검토한다. 

    시는 대상지로 선정되는 지역의 모아타운 관리계획 수립 비용을 내년 초 자치구에 배정해 계획 수립이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행정지원할 예정이다. 

    유창수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모아주택·모아타운은 건축물 노후, 좁은 골목, 주차장 및 녹지 부족 등 저층 주거지의 열악한 주거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대안이 될 것"이라며 "빠르고 효과적인 주택정책 운영 및 지원을 통해 서울의 주거환경 개선과 주택 공급 확대를 통한 시장 안정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