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2 대선 화두는 '원칙과 신뢰의 정치'가 맞다.

    박근혜 전 대표가 정치생명을 걸고 설익은 오픈프라이머 이슈에 정면으로 부딪힌 힘인 '원칙과 신뢰(약속)의 정치'는 과연 어떤 것인가? 이것이 결국 빛을 발할 것인가?

    새누리당 대선 출마 레이스가 공식적으로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대표 주자인 박근혜 전 대표가 서민과의 교감이 가능한 영등포 타임스퀘어 광장에서 18대 대선출마를 공식적으로 선언했다. 이재오 정몽준 의원은 장고 끝에 불출마를 선언했지만, 흥행의 마지막 보루인 김문수 경기지사도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 그 외 김태호 의원과 안상수 전 인천시장도 출마했다.

    이번에 비박 빅3가 오픈프라이머를 내세우며 경선룰에 불을 지핀 것은 이슈 창출이라는 관점에선 긍정적 요소도 있었지만, 잘 살펴보면 아쉬운 부분이 많았던 것도 사실이다. 찻잔 속에 태풍 정도 밖에 안되었다는 말이다. 최소 1~2년 전부터는 이슈화 했어야 하며 경쟁력을 키우지 못한 자신들의 허물도 한 몫했다고 볼 수 있다.

    필자도 완전국민 경선제는 아니더라도 보완된 경선룰을 합의하는게 낫지 않겠냐는 생각을 했던게 사실이다. 하지만, 박 전 대표는 원칙을 지킨다는 신뢰의 정치에 방점을 찍으며 자신을 내 던졌다. 초강수이자 국민들에게 이성적 판단을 구한 것이다. 그 속엔 원칙과 약속을 지킬 '진심'도 내포되어 있다.

    '원칙'이란 말 속에는 '기본과 일관성'이란 단어가 반드시 자리잡고 있다. 정치 전문가들 조차 이번 비박 빅3의 오픈프라이머 주장을 거들며 실효성이 있음을 주장하는 자가 많았다. 하지만, 그 전문가들은 자신들의 동조가 원칙과 기본의 중요성을 현실론과 바꿔치기하는 우를 범하고 있음을 잘 알고 있다. 슬며시 흥행이란 현실론과 바꿔치기 하고 있었던 것이다. 개혁을 외치면서도 현실의 썩은 벽을 넘지 못하는 이중성이 돋보이는 순간이다.

    이번에 불출마를 선언한 정몽준 이재오 의원은 박 전 대표를 두고 '불통'이란 말로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하지만, 두 분은 이것을 알아야 한다. 전화질이나 하고 거래를 하고 좋은 말을 해야만이 그것이 소통이라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우리가 아는 소통과 야합은 종이 한 장 차이다. 소위 '오바마케어'라고 불리는 미국의 건강보험 개혁 법안이 얼마 전에 연방대법원으로부터 합헌 결정을 받은 일이 있었다. 총 9명의 대법관 중에 보수성향(공화당)은 5명이어서 위헌결정이 내려질 것으로 보여 오바마에 결정적 정치적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되었다.

    하지만 평소 오바마와 정치적 앙금이 채 가시지도 않고 있던 존 로버츠 대법원장이 합헌이란 결정적 역할을 해줌으로써 미국만이 가질 수 있는 정치적 성숙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선진국 중 유일하게 민간보험업계에 국민의 의료보장을 맡기고 있는 미국의 기형적 의료보험 체계를 잘 아는 로버츠 대법원장의 대승적 결단이 아닐 수 없는 것이다.

    오바마와 존 로버츠가 그 합헌 결정 이전에 그 어떤 대화의 창구도 갖지 않았던 점을 감안하면, 결국 '원칙'이란 밑바탕에 서로가 공감한게 사실이 아닐까 한다. '원칙'이란 것은 이성적 합리적인 자라면 무리없이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그 소통의 무기는 '원칙'이란 묵시적 합의였다. 정치인의 합리적 자기개혁은 모든 정치의 우선이다.

    이번에 오픈프라이머를 주장하는 근간에는 '흥행'이란 말이 철저히 도배되었다. 하지만, 예로 드는 노무현의 대선 승리에 '흥행'카드가 어느 정도 일을 저지른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게 다가 아니요 핵심은 아니라는 사실을 잘 알아야 한다.

    경선흥행이란 것을 처음 체험해 보는 국민들의 들뜸도 있었지만, 노무현 후보가 경선흥행을 통해 후보확정이 되었던 이후에 지지율은 하락세를 못 면했던 것을 잘 알 필요가 있다. 그럼 무엇이 노무현을 승리자로 만든 것일까! 그건 한마디로 말해서 시대의 흐름이었다. 물론 네거티브성 '김대업의 병풍사건'이란 확실한 지원카드도 있었지만 말이다. 결국 새로운 카드를 찾는 국민의 열망이 무언가 다를 것 같은 노무현을 선택하게 만든 힘이었던 것이다.

    다시 말해 '흥행'은 꼼수요 겉치레라는 것이다. 쪽집게 과외로 한방을 바라는 식이다. 우리의 미래를 위해선 이제는 지양(止楊)해야 할 잔치의 전형이다. 이는 국민을 향한 하나의 도구일 뿐이지 결코 전체가 될 수 없다. 박 전 대표가 정치 생명을 거는 초강수를 두었다는게 바로 이점이다.

    누구나 좋아하고 인정하는 '흥행카드'를 그는 과감히 버렸다. 자신이 생명처럼 밀고 오던 '원칙과 신뢰의 정치'에 그 어떤 흠집도 내지 않으려 했다. 국민들이 결국 알아 줄 것이란 강력한 믿음이 있다. 노정권과 합의했던 세종시의 원안을 고수하려 할때 많은 우파들이 반발했었다. 이명박 정부가 좀 더 현실적 플랜으로 새로운 개념의 세종시를 건설하고자 했을때, 박 전 대표가 현 정부에 손을 들어줄 수도 있었다 하지만, '원칙과 신뢰의 정치'를 철저히 고수했다. 결국 이러한 결단이 그의 정치적 생명력의 근간이 되고 있다.

    또한 여론조사에서 선두를 달리는 박 전 대표가 '경선흥행'을 지향한다고 반드시 플러스가 된다고도 볼 수 없다. 1+1이 2가 아니고 -2가 될 수도 있다. 국민의 정치적 성숙이 그 해답이다.

    국민이 변했다. 이성적으로 냉철해지고 있다.

    우리 국민들은 겪지 않으면 인정을 안하지만, 일단 한번 체험을 해보고 나면 그것의 득실의 운을 결코 잊지 않는다. 성숙의 길을 걷는 순간이다. 누구에게나 민주당의 승리로 예상됐던 4.11총선....하지만, 한미FTA 등 정책에 있어 일관성 없고 오직 권력쟁취에만 신경쓰던 안하무인식 민주당의 처신은 결국 국민의 심판을 받고 말았지 않는가! 실망으로 점철된 미덥지 못한 좌파정권도 겪었고 이제는 진보당의 부패상과 종복적 성향을 잘 파악하게된 국민들은 새로운 패러다임을 이끌 지도자를 찾기 위해 이성의 안테나를 돌리고 있는 것이다.

    그럼, 2012년의 화두는 무엇이 될 것인가를 고민해 보자.

    저축은행 비리를 보면 앞으로의 국민 선택의 방향을 잘 가늠해 볼 수 있다. 우파든 좌파든 촘촘히 엮여 있는 비리의 골은 결국 '원칙과 신뢰의 정치'라는 정위치로 돌아가야 함을 잘 말해주고 있다. 대통령이 원칙의 정치를 고수한다면 정치는 옆으로 세지 않을 것이며 국민들은 더욱 편해질 것이 분명하다. 원칙과 신뢰의 정치에 야당도 결국 따라오지 않을 수 없으며 불통은 소통으로 자연스럽게 변할 것이다. 성숙한 국민이 힘이다.

    모든 것이 원칙으로 돌아가야 할 대한민국이다. 대학생 등록금 부담 문제를 풀 해법으로 대학 구조조정이란 선결과제도 중요한 조치겠지만, 결국 근본적인 것은 원칙과 기본이 바로 서는 사학으로의 회귀가 그 해답인 것이다. 그 중심에 정치가 있고 그 정치의 중심에 지도자의 의지가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신라시대에 줄곧 폐단이 되오던 식읍 녹읍제도에 대한 신문왕의 개혁이 경덕왕 시대에 이르러서는 결국 월봉제에 불만을 품고 있던 귀족들의 압박에 무릎을 꿇고 마는 사건은 신라 천년이 망하게 되는 결정적 원인이 된 역사적 사실이다. 이는 원칙과 약속의 이성적 정치를 돌부처처럼 고수하며 밑바닥부터의 개혁을 통해 멀고 긴 장래를 볼 줄아는 지도자가 계속 이어져야 한다는 반증이다. 하지만, 그 시작을 하는 지도자가 아직 없는게 현 대한민국의 현실이자 아픔이기도 하다. '경선흥행'이란 한방을 믿으며, '서민','행복'을 말로만 들먹이는 무늬들 판이다.

    2012년 대선화두는 이제 '원칙과 신뢰의 정치'요, 그리하여 '내꿈이 언제든지 이루어질 수 있는 국가 건설'이다. 원칙과 약속을 생명처럼 실천하는 지도자, 그 원칙론을 지지하는 냉철한 국민의 합작이야말로 우리의 미래요 밥줄이다. 이리 치이고 저리 내던져진 대한민국 국민을 진심으로 안아줄 2012 대선의 분명한 패러다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