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분리 국감 차질, 세월호 명분 앞세운 야권 인사들, 사회 갈등 혼란 가중
  • ▲ 통진당 이정희 대표,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정청래 의원이 세월호 특별법 제정 촉구 단식농성에 동조 하고 있다. ⓒ정재훈 기자
    ▲ 통진당 이정희 대표,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정청래 의원이 세월호 특별법 제정 촉구 단식농성에 동조 하고 있다. ⓒ정재훈 기자

     

     

    [내란선동-대선불복-막말정치]
    구태의 용사들이 다시 뭉쳤다.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주장하며 개별적 단식 농성을 벌이고 있는 야권이 
    25일을 기점으로 집단 강경투쟁에 돌입할 태세여서 
    여의도에 짙은 전운(戰雲)이 감돌고 있다.

    특히 [단식 정치]에 나선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의원을 필두로,
    통진당을 포함한 야권이 합세할 기미를 보이고 있어
    긴장감은 더욱 고조되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원내대표는 25일 의원총회에서, 
    여야와 유가족이 참여하는 3자협의체 구성을 주장하면서
    "만약 새누리당이 거절할 경우 총력투쟁에 돌입하겠다.
    오늘까지 기다리겠다"고
    엄포를 놨다. 

    자신들의 뜻을 관철하기 위해
    극단적인 자해 행태인 단식 농성은 물론,
    전면 장외투쟁 등 길거리 정치를 재개하겠다는 것이다. 

    제1야당 내 최대 계파인 친노(親盧) 진영의 수장인 문재인 의원은
    이미 지난 19일 광화문 광장에서 단식을 시작했고,  
    [막말 논란] 초강경파인 정청래 의원도 단식 농성에 합류했다. 

    내란음모 혐의로 파문을 일으킨 통진당,
    통진당의 분파인 정의당도
    단식 농성에 가세했다. 

    [또 하나의 야권연대]가 형성된 것이다. 

    통진당 의원단은 청와대 앞에서 21일부터 단식에 돌입했고,  
    이정희 대표와 최고위원을 비롯한 당원 5,000명이 참석하는
    대규모 동조 단식에도 나서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 ▲ 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원내대표가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원내대표실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해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원내대표가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원내대표실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해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야권의 일부 의원들이 '단식 정치가'로 변모하는 분위기 속에 
    극단적인 방식의 정치행위들로 인한 국회 마비 사태가 장기화되고 있다. 

    특히 새정치민주연합의 보이콧으로
    올해 처음 실시될 예정이던 국회의 분리 국감이 사실상 무산됐다. 

    박범계 원내대변인은 이날 국회 브리핑 이후, 
    [내일로 예정된 국정감사는 어떻게 되는 것이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국감은 지금 하지 않더라도 예전에 했던 10월 국감이 있다.
    3자 협의체 제안이 거절되면 끝까지 싸우겠다는 대답으로 대신하겠다"고 주장했다. 

    [국회 일정 보이콧] 수순밟기에 나선 것이다.

    실제로 새정치연합은 이날 의원총회에서 
    [당 차원의 강력한 투쟁 방안]과 관련해   
    장외투쟁 및 일정 보이콧 등을 놓고 의견을 조율한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새정치민주연합의 기류와 당론이
    원내에서 대화를 통한 타협점을 찾기 보다는, 
    장외 단식으로 혼란을 부추기고 있는 문재인 의원 등
    강경파에 의해 좌지우지되고 있는 셈이다. 

    다만 새정치연합 내부에서도 
    구체적 장외투쟁을 놓고 강경파의 '불사론'과 온건파의 '불가론'이 대립하고 있어 
    계파투쟁이 재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태다. 

    야당의 한 중진 의원은
    당내의 장외투쟁 논란과 관련, 
    "단식을 막아야 할 야당 의원들이 단식에 앞장서며 혼란을 부추기고 있다. 
    장외투쟁 등으로 정국을 마비시킬 것이 아니라 대화와 협상으로 해법을 찾아야 할 때"라고
    비판했다.

    세월호 특별법 제정 명분을 내세우며
    사회 갈등과 혼란을 야기하는 일부 야권 세력들로 인해
    국민을 위한 국회가 제 구실을 못하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