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병만 정글의 법칙과 '북한'

    '선택'과 '필수'의 삶의 차이

    신준식 /뉴포커스

    주말 예능 중 '김병만의 정글의 법칙'이라는 프로그램이 있다.
    오지를 탐험하면서 현지에 적응해가는 일상에 스토리를 담아 풀어내는 형식의 예능이다.
    시청률 또한 높게 유지되면서 주말 예능의 강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들이 찾는 곳은 대개 극한의 체험을 할 수 있는 곳이다.
    예컨대 시베리아 혹은 무인도와 같은 곳이다. 그들이 경험하는 극한의 조건은 살을 에는 듯한 추위가 될 수도 있고, 불씨를 지피기 위한 피나는 노력의 체험일 수도 있다.
    혹은 참을 수 없는 배고픔이나 타는 듯한 갈증같은 본능적인 체험일지도 모른다.

     그런데 이런 '정글의 법칙'이 이미 일상 생활이 된 곳도 있다.
    바로 북한이다.

     정글의 법칙 출연진이 하루하루 지내면서 '오늘은 뭘 먹고 버텨야 하나?'에 대한 고민을 하는 것처럼 북한 주민들도 같은 생각을 한다. 
    다른 점은 예능 출연진은 '선택'이고, 북한 주민은 '필수'라는 점이다.

     정글의 법칙 팀은 몸에 이상이 생기면 즉시 의료팀이 진찰을 하러 달려온다.
    더불어 먹을 것을 구하지 못할 경우에는 촬영을 포기할 수도 있다.
    '시베리아편'이 그러했다. 생존과 관련된 더이상의 촬영이 불가능해지자 근처에 부족과 만나 생활하는 장면이 나온다. 이것은 예능 속 "출연진"이기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그렇지만, 북한의 일반 주민들에게는 그 어떤 카메라도 없다.
    '연출'이 아닌 '실제상황'인 것이다.
    배고픔에 허덕여도 쳐다봐주는 사람이 없고,
    몸이 아파 쓰러져도 달려와주는 의료진이 없다.
    그들에게 '연출'이라는 특혜가 주어졌다면,
    평양을 제외한 지방의 대다수 도시들에서는 '당장 그만둔다'라는 말이 나왔을 것이다.

     정글의 법칙 출연진은 3주간의 혹독한 촬영을 마치고 귀국하면 높은 출연료와 더 나은 생활이 보장된다. 그들이 정글 속에 기꺼이 몸을 던지는 것 또한 시청자에게 재미와 감동을 주기 위한 것도 있겠지만 그에 상응하는 댓가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북한 주민들에게는 힘든 시기를 거쳐도 누구하나 '표창'을 주는 법이 없다.
    '고난의 행군'이라는 배고픔의 긴 터널을 무사히 빠져나와도,
    결국 더 큰 시련이 기다리고 있는 것이 북한 주민이다.

    3주간의 힘든 촬영을 마친 정글의 법칙 출연진에 비해 북한 주민들은
    3년, 혹은 30년, 그보다 더 긴 세월의 일상을 다큐로 살아가고 있는 셈이다.

     정글의 법칙의 인기 중에는 '일회성'이 한 몫을 하게된다.
    어떤 누구도 평생동안 시베리아에서 예능 체험을 하라고 말을 한다든가
    혹은 일생동안 사람이 없는 무인도에서 지내라고 한다면 수락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끝"이 있다는 것을 알기에 예능이 예능으로써 재미가 있고, 감동이 배가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북한 정글의 법칙은 끝이 없다.

    태어날 때부터 죽기 직전까지 삶의 고통과 고난 속에서
    하루 뒤를 걱정하며 살아가는 것이 북한 주민이다.
    나무 숲이 우거진 오지가 아닌데도,
    현기증이 날 정도의 뜨거운 사막이 아닌데도,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무인도가 아닌데도 불구하고
    이 지구촌 진짜 '정글'은 북한에 있다.
    [국내최초 탈북자신문 뉴포커스=뉴데일리 특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