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 충격 하중 최소화 해 관절 보호하며 보행 효과 극대화서울대병원·국립재활원·양산부산대병원·원주기독병원 등 도입지식경제부·보건복지부, ‘재활로봇시범사업’을 통해 로봇 설치
  • 사람의 도움 없이도 보행 재활치료를 받을 수 있는 로봇이 국내에 본격적으로 도입된다.

    뇌졸중이나 척수손상으로 보행기능을 잃은 환자들의 회복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지난 20일 ‘보행로봇재활치료센터’를 개소하고 뇌졸중이나 척수손상 등으로 보생기능을 잃은 환자들의 재활치료에 보행로봇을 이용하기 시작했다고 26일 밝혔다.

    서울대병원을 비롯해 국립재활원, 양산부산대병원, 원주기독병원 등은 지식경제부와 보건복지부의 재활로봇시범사업을 통해 보행로봇을(각각 1대) 설치했다.

    보행로봇은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다발성 경화증, 척수손상 등에 의한 신경계 손상 및 탈조건화 등으로 인해 정상적으로는 걷기 힘든 환자들의 보행 훈련에 투입된다.

    보행로봇은 환자의 몸통과 고관절, 무릎, 발목을 움직여 보행이 가능하도록 제어해 주며 로봇의 센서는 환자분의 생체신호를 탐지해서 인공 관절부가 두 다리를 움직이게 한다.

    환자의 다리 관절에 모듈화 된 관절부를 장착해 관절에 걸리는 충격 하중을 최소화함으로써 관절을 보호하면서도 보행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보행 패턴은 미리 프로그램화돼 환자들이 체계적이고 반복적인 재활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환자가 움직이지 못하는 상태가 계속되면 보행기능을 잃어버릴 수 있다. 따라서 보행로봇은 보행기능 회복에 필요한 중추신경계의 제어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마비된 근력을 회복시켜 주며 관절운동을 통해 구축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보행로봇은 환자의 신체 크기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며 관절 간 길이도 조절 가능하다. 고관절에서 슬관절까지는 350~480mm, 슬관절에서 족관절까지는 353mm~483mm까지 조절할 수 있다.

    보행속도는 0.3~3km/h이며 키는 155cm에서 최대 200cm, 체중은 최대 100kg의 환자까지 균형을 잃지 않게 지지하며 보행 재활치료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