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 보수 진영은 지난 두 차례의 대통령 선거에서 패했습니다. 영원할 것만 같았던 보수의 지배가 끝나고 연이어 반대 진영에 정권을 뺏긴 것은 다른 요인도 있었지만 ‘보수의 분열’ 탓이 컸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또 다시 보수를 분열시키는 일이 일어났습니다. 바로 이회창 씨의 출마입니다. 이회창 씨는 ‘보수로의 정권 교체’가 불안하다는 명분으로 한나라당을 탈당하고 출마를 강행했습니다. 다른 이유를 대기도 했습니다만, 무엇보다도 이명박 후보의 실용주의 노선을 문제 삼았습니다.

    그래서 이회창 씨는 지금 논란이 되고 있는 이명박 후보의 문제가 말끔히 해소된다 하더라도 중도하차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금 여권의 상황이 지리멸렬하다 하더라도 이회창 씨의 완주는 여권의 정권 연장에 힘을 보태주는 길밖에 되지 않습니다.

    이회창 씨의 부당성에 대해서는 새삼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이번 대선 역시 ‘보수의 분열’로 보수의 정권 탈환에 적신호가 켜지고 있다는 위기의식은 비록 이회창 씨의 출마로 촉발되었습니다만, 비단 이것만은 아니라는 데 문제가 있습니다.

    여권은 한나라당 경선이 끝난 8월 20일 이후 이명박 후보에게 타격을 주기 위해 끈질기게 공작을 진행해 왔습니다. 국제 사기꾼 김경준을 선거일을 한 달 앞두고 귀국시키는 데 모종의 역할을 했을 것이라는 의구심을 지울 수 없는 상황입니다. 모든 의혹의 제기는 위조 전문가 김경준이 만든 위조 문건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김경준은 최고 무기징역형에 처할 수도 있는 중대 범죄자입니다. 따라서 그 가족으로서는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무슨 짓을 못하겠습니까! 김경준의 누나, 부인이 나선 데 이어 이제 김경준의 모친이 한국에 와 ‘눈물의 기자회견’을 할 예정입니다. 순진한 우리 국민들이 ‘설마 나이 드신 어른까지 거짓말을 할 것인가’라는 생각을 가질 수도 있습니다.

    그동안 진보 혹은 친여 매체들은 이명박 후보의 의혹과 관련하여 여권의 주장 혹은 김경준 가족들의 얘기를 거의 여과 없이 보도해 왔습니다. 결과적으로 여권의 의도가 효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사실 여하는 검찰에 의하여 밝혀질 것인데도, 이렇게 수개월 동안을 상대의 일방적인 주장 중심으로 보도해 왔습니다.

    그렇다고 보수 매체들이 이 비정상적인 상황으로부터 자유롭다고 하기 어렵습니다. 여기에 이회창 씨의 출마로 보수가 분열되어 있어 이명박 후보와 이회창 씨 사이에서 양비론으로 일관하고 있습니다. 특히 일부 보수 성향의 인터넷 매체는 노골적으로 이회창 씨 편을 들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명박 후보의 공격에 있어 진보 혹은 친여 매체들보다 더 심하게 하고 있습니다.

    이명박 후보는 지금 사방으로부터 협공을 당하고 있는 셈입니다. 적들의 공격이 거세지면 한나라당 내부가 뭉치는 것이 너무나 당연한데, 한나라당은 여전히 느슨하기만 합니다. 정권 교체를 나의 일로 받아들이지 않는 분위기마저 있습니다.

    아주 민감한 내부 문건이 언론에 나가고, 후보를 옹호해야 할 일부 핵심 당원들 중에서도 허튼 소리를 예사롭게 내뱉는 일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 절체절명의 고비에서 한나라당이 보여주고 있는 모습은, 심하게 표현해서 전쟁터의 장병들이 아니라 소풍 온 행락객 그 자체입니다.

    남은 기간 적들과 여기에 부화뇌동하는 사람들의 발악이 더욱 기승을 부릴 것입니다. 지금까지는 후보의 경쟁력 하나만으로 유지해 왔습니다. 이제부터는 정권 교체를 열망하는 당원과 지지자들이 나서야 할 때입니다. ‘이에는 이, 눈에는 눈’이라는 강한 투쟁력으로 뭉쳐야 합니다. ‘생즉사 사즉생’의 각오로 '저들'의 그 어떤 도발에 대해서도 단호하게 분쇄해야 합니다. 우리에게는 ‘적 아니면 동지’밖에 없습니다. “열정은 전염된다”는 말처럼 핵심 당원들의 열정을 사방팔방으로 전파해야 합니다. 이런 때일수록 내부의 단결이 중요합니다.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습니다.”

    보수의 분열로 또 다시 패한다면 우리는 영원히 역사의 죄인이 될 수밖에 없음을 가슴 속에 새깁시다. 본격적인 싸움은 지금부터입니다. 당신의 선택이 대세를 가를 것입니다.

    <객원 칼럼니스트의 칼럼은 뉴데일리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