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FA 조선족 소식통들 “北노동당 중앙·군 외화벌이 업체는 건재”
  • 2016년 3월 3일 中단둥 해관(세관)에 도착해 짐을 내리는 北보따리상. 최근 중국 당국의 대북제재 강화로 이런 영세 무역상들은 곤경에 처했다고 한다. 하지만 北노동당이나 군 소속 외화벌이 업체들의 무역은 별 지장이 없다고 한다.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016년 3월 3일 中단둥 해관(세관)에 도착해 짐을 내리는 北보따리상. 최근 중국 당국의 대북제재 강화로 이런 영세 무역상들은 곤경에 처했다고 한다. 하지만 北노동당이나 군 소속 외화벌이 업체들의 무역은 별 지장이 없다고 한다.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중국 기업들이 북한과의 거래를 잇달아 취소하면서 영세한 규모의 北외화벌이 일꾼들이 곤경에 처했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이 지난 20일 현지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자유아시아방송’과 접촉한 中단둥시의 조선족 중국인 소식통은 “中단둥은 中-北무역의 대표적인 중심지로 北외화벌이 업체가 가장 많이 몰려있는 곳으로, 중국의 대북 정책변화를 가장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지역”이라며 현지 분위기를 전했다.

    이 조선족 중국인 소식통은 “최근 중국 정부의 대북제재로 인해 중국 무역상들이 이미 약속한 거래까지 일방적으로 취소하고 있어 중국에서 활동하는 北외화벌이 회사들이 어려운 처지에 놓여있다”고 전했다고 한다.

    이 소식통은 “오랫동안 가까이 지내던 北무역 간부가 요즘은 만나는 것 자체를 피하고 있다”면서 “기계 부속 수입을 위해 中무역상과 계약까지 체결했는데 중국 측에서 일방적으로 거래를 취소해 곤경에 처했다고 한다”고 전했다.

    조선족 중국인 소식통은 “최근 중국회사와 북한 무역상 간의 거래가 눈에 띠게 줄었다”며 “北중앙당이나 군 소속의 대규모 외화벌이 업체 일꾼들은 그나마 형편이 좀 낫지만, 개별 기관이나 지방 당 소속 외화벌이 업체 간부들은 요즘 밥값도 없어 중국 무역상과 상담도 못할 지경”이라고 주장했다고 한다.

    ‘자유아시아방송’과 접촉한 中단둥의 다른 소식통은 “요즘 중국과 북한 세관을 통과하는 차량들이 현저히 줄어들어 北외화벌이 일꾼들의 어려운 처지를 짐작할 수 있다”면서도 “하지만 중국과 북한 간 무역이 완전히 중단된 것은 아니고, 민생 목적의 식품, 농산물, 생필품 거래는 계속되고 있다”고 주장했다고 한다.

    이 소식통은 “그런데 소규모의 생필품 무역마저 중앙당이나 군 소속 외화벌이 업체가 독점하고 있어, 개별 기관 외화벌이 일꾼들은 생계비조차 마련하지 못해 전전긍긍하고 있다”고 주장했다고 한다.

    ‘자유아시아방송’ 소식통들이 전하는 말을 보면, 얼핏 중국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를 성실히 이행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이들이 전하는 소식 가운데 北노동당 중앙과 북한군 소속 외화벌이 업체들이 대부분의 무역을 점유하고 있다는 부분이 있다.

    이는 중국이 북한 주민들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지역 외화벌이 업체나 개인 무역은 엄격히 규제를 하지만 북한 김정은이 배후에 있는 거래는 오히려 봐주고 있는 듯한 인상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