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제의 신간>
    어느 노 정객과의 시간 여행
    우암(友巖) 김재순이 말하는 한국 근현대사

  • 김재순 · 안병훈 대담 | 150*220 392쪽 양장 | 값 20,000원
    2016.6.20 발행 | ISBN 978-89-6523-708-2  03810 | 기파랑

     드라마 같았던 삶의 궤적

    7선 국회의원이며 제13대 국회의장(1988∼1990년)을 역임한 우암(友巖) 김재순(金在淳)의 일생을 대담 형식으로 정리한 책이다. 지난 5월 17일 93세를 일기로 별세한 그는 안병훈(安秉勳) 도서출판 기파랑 대표(前 조선일보 대표이사 부사장)와 대담을 나누며 ‘원로 정치인’이자 월간 <샘터>를 창간한 ‘특출한 문화인’으로서의 자신의 발자취를 회고했다. 따라서 이 책은 그가 마지막으로 남긴 유고(遺稿)에 필적한다.
    책에는 그의 긴 정치 역정에 담긴 숱한 비화(秘話)가 소개된다. 가령 한일국교정상화를 앞두고 일본 정계의 막후 실력자인 세지마 류조(瀬島龍三)를 당시 한국의 2인자로 꼽히던 김종필(金鍾泌)에게 소개했다거나, 또 육영수(陸英修) 여사 사후 박정희(朴正熙) 대통령의 재혼을 권하는 세지마의 당부를 청와대로 들어가 직접 전했다는 이야기 등은 세상에 처음 알려지는 사실들이다. 언급된 내용을 요약해보면….

    〔이토추상사(伊藤忠商社)에 들어가 세지마 류조와 친해진 평양상업학교 2년 선배 임노춘(林魯春)으로부터 김재순에게 연락이 왔다. 세지마가 한국에 와서 JP(김종필)를 만나고 싶어 하는데, 다리를 놓아달라는 것이었다. 이렇게 해서 JP와 세지마가 충무로3가에 있던 대원호텔에서 만난다. 1965년 6월의 한일 국교정상화는 두 말할 것도 없고, 1962년 11월 ‘김종필-오히라 메모’가 작성되기 이전부터 JP와 세지마가 이미 아는 사이였고, 둘 사이에 ‘큰 거래’가 이루어졌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바로 그 세지마 류조가 육영수 여사 서거 후 박정희 대통령의 재혼 문제를 김재순에게 당부했다. 청와대에 들어가 박 대통령에게 세지마의 말을 전했더니 대통령이 “나보다 정 의장 먼저 가라고 그러세요”라고 답했다. 그때 정일권(丁一權) 국회의장도 홀아비로 지내고 있었던 것이다. 김재순이 “세지마의 뜻이 워낙 간곡합니다”고 했더니 박 대통령이 잠시 침묵하다가 “근혜 때문에…”라면서 말끝을 흐렸다고 한다.〕

     표리부동(表裏不同)의 정치판과 ‘토사구팽(兎死狗烹)’

    1993년 2월 김영삼(金泳三) 대통령이 취임한 지 한 달여 뒤, 주돈식(朱燉植) 청와대 정무수석이 YS의 뜻을 전하러 김재순을 찾아왔다. ‘축재(蓄財)’ 운운 하는 언론 보도가 난 다음이었다. 주 수석은 평기자 때부터 국회 출입기자를 해서 잘 아는 사이였다. 그가 우물쭈물하면서 말을 꺼내지 못했다. 김재순은 “공기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대충 알고 있으니 편안하게 YS가 시키는 대로 얘기하라”고 하는데도 주돈식은 난감한 표정으로 말문을 열지 않았다. 
    더 물어봤자 주 수석 입장만 난처해질 것 같아 “자네가 나와 영삼이를 가까이에서 봤으니 나와 영삼이 중 누가 더 청렴하고 정직하게 살아왔는지 누구보다 잘 알 거 아닌가. 내가 정계를 떠나겠으니 영삼이에게 그대로 전하라. 그만 가시게”라고 말해주었다.
     이튿날, ‘YS 대통령 만들기’에 진력(盡力)했던 김재순은 허망하게도 「정계를 떠나면서」라는 은퇴 선언서를 당(黨) 기자실에 배포해야했다. 거기에 적힌 문구, ‘정계를 떠남에 있어서 본인 개인으로는 토사구팽(兔死狗烹)의 감회가 없지 않으나…’로 인해 ‘토사구팽’이라는 말이 세간에 큰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젊은 시절부터 김재순은 정곡(正鵠)을 찌르는 표현법 구사에 능숙했다. 그가 정치에 발을 디딘 지 얼마 지나지 않은 1955년의 일이다. 그해 9월 시공관에서 민주당 창당대회가 열리고, 10월에 김재순은 민주당 선전부 차장(부장 曺在千)으로 임명되었다. 이듬해 5월 15일 치러진 정·부통령 선거를 앞두고 선전부에서 결정한  선거구호가 저 유명한 ‘못 살겠다 갈아보자’였다. 여러 아이디어가 나온 가운데 ‘못 살겠다 바꿔보자’가 그 중 가장 간명하고 괜찮아 보였는데, ‘바꿔보자’의 ‘꿔’가 된소리라 어감이 좋지 않다고 판단한 김재순이 ‘갈아보자’로 고치자는 제안을 하여 정해진 절묘한 구호였던 것이다.

     월간 <새벽>에서 <샘터>까지, 지식과 교양의 ‘샘물’을 긷다

    〈새벽〉은 1926년 5월 주요한(朱耀翰)이 편집·발행인으로 창간한 종합 월간지 〈동광(東光)〉을 뿌리로 하는 잡지였다. 1959년 10월 혁신호를 내면서 편집 진용을 개편하여 김재순이 주간(사장 張利郁)을 맡았다. 이후 김재순은 출판에 대한 열정을 품게 되었다. 그러다 한국기능올림픽 위원장이 되어 여러 기능공들을 만났고, 거의 다 가난한 그들에게 자긍심, 자신감, 자기애를 불어넣어 줄 방법이 없을까 궁리하다가 월간 〈샘터〉 발간을 결심했다. 창간호에 「젊음을 아끼자」는 특집을 마련한 것도 그런 이유에서였다. <샘터>의 창간호(1970년 4월호) 가격은 담뱃값을 넘지 않는다는 원칙을 세웠다. 당시 최고급 담배 ‘청자’가 100원이어서 <샘터>의 정가도 100원으로 정해졌다.
     〈샘터〉를 창간할 무렵 별명이 왕초였던 <한국일보> 장기영(張基榮) 사주가 “아니, 김 의원 돈 많소? 잡지는 돈 없이는 안 됩니다. 우리 <주간한국> 보십시오. 전부 벗겨야 됩니다. 요새 벗지 않으면 안 봅니다”고 했다. 김재순은 대뜸 “벗기는 건 왕초가 벗기시고 나는 입히렵니다”고 농담 반 진담 반으로 대답했다. 김재순이 ‘입힌다’고 한 뜻은 ‘지식을 입히고 정신적으로 자양을 자꾸 주는 것’이었다. 그렇게 ‘입히는 잡지’를 만들면서 반응이 절정에 달했던 1970년대 중반에는 매달 독자투고만 2천 통 이상, 광고를 안 내도 50만 부까지 찍었다. 
    이런 에피소드도 있었다. 긴 투병으로 심신이 지친 김재순의 뇌리에 어느 날 문득 성철 스님이 떠올랐다. 그는 성철 스님을 만나러 무작정 해인사를 찾아갔다. 스님이 머무는 백련암까지 한참 산길을 올라가 두 시간여 만에 간신히 당도했더니 “누가 나를 찾아왔다고?”하면서 스님이 고함을 지른 뒤, 예의 그 ‘3천 배(拜)’를 하라고 했다. 김재순은 “나는 성철 스님이 아니라 인간 이성철을 만나러 왔다”고 버텼다. 결국 스님의 허락이 내려져 두 시간여 이야기를 나누고 서울로 돌아와 해인사로 매달 〈샘터〉를 부쳤더니 성철 스님은 열반(涅槃)에 들기 전까지 꼬박꼬박 책값을 보내왔다고 한다. 

    저자약력

    김재순(金在淳)

    1926년 평안남도에서 태어나 서울대 상대를 졸업했다. 1955년 민주당에 입당하면서 정계에 진출, 1960년 민의원 선거(강원도 양구)에서 당선되었다. 이후 1963년 공화당 창당 작업에 참여한 뒤, 제6대에서 제8대까지 연거푸 국회의원 선거(강원도 철원·양구·화천)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 시기에 공화당 원내 대변인, 국회 상공위원장, 공화당 원내총무를 역임했다. 1973년 유정회 1기 의원에 뽑혔고, 1988년에는 민정당 후보로 제13대 국회의원 선거(강원도 철원·화천)에 당선되면서 제13대 국회의장으로 선출되었다. 
    1993년 한일의원연맹 회장을 마지막으로 정계를 은퇴한 후 초대 서울대학교 총동창회장을 맡았다. 또한 1970년 창간한 월간 <샘터>의 뒤표지에 오랜 경륜에서 우러나오는 ‘올바른 삶의 자세’와 ‘참된 행복의 의미’를 일깨우는 주옥같은 글을 써왔다.
    2016년 5월 17일 93세를 일기로 영면(永眠)에 들었다. 

    안병훈(安秉勳) 

    1938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대 법과대학을 졸업한 뒤 <조선일보> 정치부장, 사회부장, 편집국장, 편집인, 대표이사 부사장을 역임했다.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회장, LG상남언론재단 이사장, 방일영문화재단 이사장으로 일했고, 현재는 (財)통일과나눔 이사장과 서재필기념회 이사장, 도서출판 <기파랑> 대표를 맡고 있다.


    목차

    첫 번째 여행 1926. 11. 30
    자아를 발견하는 고뇌苦惱의 시간들

    평안남도 대동군 대동강면 토성리 28
    조만식 선생과의 만남 34
    평양상업학교 시절 47
    1945. 8. 15 63
    평양 신사神社를 불사르다 65

    두 번째 여행 1955. 8
    인연이 이끈 조우遭遇의 시간들

    흥사단과 장리욱 박사 86
    서울대 상대 시절 89
    갑작스런 폐결핵 발병 98
    6․25전쟁 발발과 학도의용대 입대 103
    전시연합대학 학생회장 113
    스웨덴 세계UN학생대회 참석 120
    부산 정치파동과 첫 투옥 130
    결혼 135
    정계 입문 138
    <새벽> 잡지 주간主幹148

    세 번째 여행 1970. 4
    정치와 함께한 생업生業의 시간들

    첫 당선 159
    5․16 그리고 강제 구금 169
    영화 제작 175
    김종필과의 만남 179
    공화당 입당 184
    전국기능올림픽대회 창설 198
    철원평야와 토교저수지 204
    박 대통령의 간청 210
    <샘터> 창간 217

    네 번째 여행 1988. 5
    인생이 던져준 희비喜悲의 시간들

    10․2 항명파동 244
    “박정희 그릇이 이것밖에 안 돼!” 253
    아내가 선물한 새로운 인생 262
    <엄마랑 아기랑> 창간 266
    대학로 <샘터> 사옥 273
    무소속 도전 279
    10·26과 여송연 283
    펜의 정치 289
    노태우와의 만남 296
    정계 복귀 301
    황금분할과 만세 삼창 303
    YS 대통령 만들기 315
    한일친선협회와 대만 사절단 318

    다섯 번째 여행 1993. 3. 29
    조국이 허락한 여생餘生의 시간들

    정계 은퇴와 토사구팽兎死狗烹337
    서울대 총동창회장 342
    박 대통령의 선물 351
    네 멋대로 살아라 356
    <샘터>에서 물을 긷다 362
    친구와 책과 영혼 370

    에필로그

    김재순 연보年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