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박·음식점 근로자는 5만 명 감소… "집단면역 때까지 고용 악화할 것, 거리 두기 대안 찾아야"
  • 지난 14일 오후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를 찾은 시민이 일자리 정보 게시판을 바라보고 있다. ⓒ뉴시스
    ▲ 지난 14일 오후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를 찾은 시민이 일자리 정보 게시판을 바라보고 있다. ⓒ뉴시스
    지난 6월 국내 사업체 종사자(근로자)가 32만 명 늘었다. 하지만 일자리가 불안정한 임시·일용직이 증가분의 75%를 차지해 고용의 질은 전혀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숙박·음식업 근로자는 5만1000명 줄어 17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6월은 4차 대유행이 본격화하기 전이라 7월 지표는 6월보다 더 악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다. 

    경제 전문가들은 "집단면역 형성 전까지 고용악화 추세가 이어질 것"이라며 "사회적 거리 두기의 대안을 찾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국내 근로자 수 지난 3월부터 증가세… "지난해 고용충격에 따른 기저효과"

    29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6월 사업체 노동력 조사' 결과에 따르면 6월 마지막 영업일 기준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 근로자는 1881만2000명으로 집계됐다. 전년 같은 달(1848만9000명)보다 1.7%(32만3000명) 증가한 수치다. 국내 근로자 수는 지난 3월 13개월 만에 증가한 이후 4개월 연속 오름세를 지속했다.

    정향숙 고용노동부 노동시장조사과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지난달 근로자 수가 증가한 것과 관련 "지난해 고용충격에 따른 기저효과도 작용했다"며 "기저효과를 감안하더라도 전체적으로는 증가세가 개선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확산세가 여전하지만 지난달 사회적 거리 두기가 완화하면서 일부 업종에서 경기 회복세가 나타났다는 분석이다. 방역당국은 지난달까지 수도권 2단계, 비수도권 1.5단계의 기존 거리 두기 조치를 유지했다.

    임시·일용직 전년 동월 대비 14.2% 증가

    하지만 늘어난 근로자 가운데 다수는 임시·일용직이 차지했다. 임시·일용직은 전년 같은 달보다 24만1000명이(14.2%) 늘었다. 6월 전체 근로자 증가폭의 75%에 달한다. 학습지교사·방문판매원 등 특수고용직과 같은 기타종사자 역시 1만7000명(1.5%) 증가했다.

    문제는 대면영업을 주로 하는 숙박·음식점 근로자가 5만1000명 줄었다는 점이다. 올해 숙박·음식점 근로자 수는 지난 1월 24만7000명 줄어든 이후 지난 4월 2만3000명이 감소하는 데 그쳤다가 다시 감소폭이 커진 것이다.

    정 과장은 "여전히 숙박·음식업 종사자가 감소하고 있는 측면에서는 어려움이 있다"면서도 "백신 접종 확대나 방역대응 등이 이뤄지고 있어 이들 업종의 고용이 나아질 수 있을 것으로 조심스럽게 전망한다"고 설명했다.

    고용노동부의 이 같은 설명과 달리 경제전문가들은 이번 달 고용전망은 더 어두울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30일 통화에서 "6월 근로자 수가 늘어난 것은 지난해의 경우 일자리가 워낙 줄었기 때문에 기저효과를 본 데다 정부가 사회적 거리 두기를 다소 완화한 점이 작용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6월 이후 고용전망 어두워… 거리 두기 대안 못 찾으면 악화 지속"

    강 교수 "7월의 경우 거리 두기가 전체적으로 상향되면서 국내 산업이 전반적으로 위축될 수밖에 없어 근로자 수가 증가세를 이어가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백신 접종을 통한 집단면역이 형성되기 전까지는 이런 분위기가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지난달 증가한 근로자 중 임시·일용직이 다수를 차지하는 것은 그만큼 국내 경기가 좋지 않다는 증거"라며 "한동안 상황이 나아지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성 교수는 "국내 경기가 호전되고 있다는 것은 수출 등으로 인한 것일 뿐"이라며 "거리 두기가 완화되지 않으면 근로자들이 갈 곳은 점점 줄어들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숙박·음식점 근로자가 줄어들었다는 것은 그만큼 대면영업이 힘들어졌다는 것"이라고 분석한 성 교수는 "거리 두기가 아닌 다른 방안을 찾지 않으면 집단면역 형성 전까지는 계속 이런 기조가 이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