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 2부제 참여율 1%, 평소보다 도로 교통량 0.3~1.7% 감소… "대표적 졸속행정" 손꼽혀
  • ▲ 박원순 서울시장이 2018년 3월 19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서울-베이징 통합위원회 3차 전체회의'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이날 회의는 미세먼지 문제 공동 대응을 위해 기획됐다. ⓒ뉴데일리 DB
    ▲ 박원순 서울시장이 2018년 3월 19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서울-베이징 통합위원회 3차 전체회의'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이날 회의는 미세먼지 문제 공동 대응을 위해 기획됐다. ⓒ뉴데일리 DB
    '미세먼지'로 인해 시민 불만이 치솟던 2017년 7월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은 '서울형 비상저감조치'를 단행했다. 서울 시내 고농도 미세먼지가 지속될 경우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시민참여형 차량 2부제 및 출·퇴근 대중교통요금 면제 등을 시행하는 내용이었다. 

    그러나 박원순표 미세먼지 저감대책은 3일 만에 150억원이라는 막대한 혈세만 낭비한 채 사라지고 말았다.

    박 전 시장이 2017년 7월1일 내놓은 '미세먼지 저감대책'은 당일(0~16시) 미세먼지(PM2.5) 평균농도가 50㎍/㎥ 초과하거나 익일 예보가 나쁨(50㎍/㎥ 초과) 이상일 경우 발령되는 조건이다. 단기적으로 미세먼지 농도 감축을 유도해 시민의 건강을 보호하겠다는 취지다.

    2018년 1월 3회 실시 후 폐기… "150억원 먼지처럼 사라져"

    시는 서울시민 및 서울지역으로 출퇴근하는 시·도민을 대상으로 이 대책을 시행했다. 출근시간(첫차~오전 9시)과 퇴근시간(오후 6시~오후 9시)에는 지하철·시내버스·마을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서울시 및 산하기관, 자치구, 서울소재 정부 행정·공공기관 등 789개소 주차장의 출입을 제한했고, 공용차량도 운행을 금지했다.

    이 조치는 2018년 1월15일, 17일, 18일 총 3회 시행됐다. 예산은 약 150억원(1회당 약 50억원)이 소요됐다. 

    당시 시민들은 정부 당국이 중국발 미세먼지를 두고 중국에 목소리를 내줄 것을 요구했지만, 시는 엉뚱하게 차량을 통제하는 등 내국인들의 삶을 규제하는 방식으로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자연히 불만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었다.

    그렇다면 이 같은 박 전 시장의 미세먼지 저감대책은 얼마나 효과를 봤을까. 국민의힘 서울시당에 따르면, 해당 조치 시행기간 도로 교통량은 평소보다 0.3~1.7% 감소하는 데 그쳤다. 지하철 이용객은 3.5~5.8%, 시내버스는 4.0~9.4% 증가했다. 실제로 차량운행 감소 효과는 적었으나, 대중교통 무료 운행으로 인해 불필요한 이동량이 증가했다는 것이다.

    결국 서울시의 미세먼지 저감대책은 효과를 전혀 보지 못하고 3회 실시 후 폐기됐다.
  • ▲ 미세먼지 주의보(나쁨,150㎍/㎥) 가 발령된 서울의 모습이다. ⓒ뉴데일리 정상윤
    ▲ 미세먼지 주의보(나쁨,150㎍/㎥) 가 발령된 서울의 모습이다. ⓒ뉴데일리 정상윤
    국민의힘 소속 성중기 서울시의원은 4일 통화에서 "박원순 전 시장의 미세먼지 저감대책으로 혈세 150억원이 먼지처럼 사라졌다"며 "졸속행정의 대표작이었다"고 비난했다.

    "150억원이면 서울시내 모든 초등학교 1학년 교실에 공기청정기 설치 가능"

    "환경부 통계를 보면 우리나라 연간 미세먼지 '나쁨' 수준 일수는 평균 50일이 넘고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라고 소개한 성 시의원은 "이 정책이 계속 시행됐을 경우 연간 대중교통 무료 이용을 위해 쓰이게 될 예산은 1000억원까지 증가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성 시의원은 "박 전 시장이 실질적 효과에 대한 면밀한 검토도 없이 대중교통 무료 정책을 성급하게 추진해 낭비한 150억원이면 서울 시내 초등학교 1학년 교실 전체에 공기청정기를 신규 설치, 교체할 수 있다"고 일갈했다. 

    2020년 기준 서울 시내 전체 초등학교 1학년 학급(2930여 개)에 대당 50만원짜리 공기청정기를 설치·교체한다는 가정에서다.

    "모티프 된 파리 정책 2017년 폐기… 朴 정책은 시대 역행"

    특히 "3회에 걸친 조치 시행 당시 운전자들의 2부제 참여율이 1% 내외에 불과했다"고 꼬집은 성 의원은 "우리나라 미세먼지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중국발 미세먼지와 난방발전 등에 대한 장기적 대책이 우선됐어야 한다"고 질타했다.

    성 시의원은 "박 전 시장이 '서울형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의 모티프로 삼은 프랑스 파리의 '대기오염 감소를 위한 대중교통 무료' 정책은 이미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2017년 폐기됐다"면서 "박 전 시장이 제대로 된, 실질적 미세먼지 대책을 고민조차 해보지 않았다는 것을 스스로 증명한 셈"이라고 비난했다. 

    "박 전 시장의 '서울 시내 도로 폭 줄이기'만 보더라도 도로 정체가 심해지면 배기가스가 서울 시내에 더 많이 배출되지 않겠느냐"고 반문한 성 시의원은 "박 전 시장의 미세먼지 저감대책은 되레 시대를 역행하는 정책이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