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국가채무 846조9000억원, GDP 대비 44%… 기재부 "주요국 대비 양호"… IMF 등 "韓 부채비율 급증할 것"
  • ▲ 세종정부종합청사 기획재정부. ⓒ뉴데일리 DB
    ▲ 세종정부종합청사 기획재정부. ⓒ뉴데일리 DB
    문재인 정부가 우한코로나(코로나19) 대응을 위한 확장적 재정정책 기조를 유지하면서 우리나라 정부가 갚아야 하는 '나랏빚' 규모가 계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지속가능한 재정을 운영하기 위해 '한국형 재정준칙'을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지만 정부의 법 개정안은 제출된 지 4개월째 방치되고 있다. 특단의 조치 없이는 우리나라 재정이 더욱 악화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진단.

    11일 국회와 정부에 따르면, 기획재정부가 지난해 12월 말 제출한 '한국형 재정준칙' 도입을 위한 국가재정법 개정안은 4개월째 국회 기획재정위에 계류된 상태다. 4개월째 제대로 된 심의 한 번 이뤄지지 못한 채 방치되고 있는 셈이다.

    지난해 국가채무, 전년보다 123조7000억원 증가

    '한국형 재정준칙'은 국가 채무의 빠른 증가 속도, 중장기 재정여건 등을 고려해 오는 2025년부터 매년 국가채무비율을 국내총생산(GDP) 대비 60% 이내, 통합재정수지는 GDP 대비 -3% 이내로 통제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그러나 여야는 코로나 위기 극복을 위한 재정의 적극적 역할을 위해 도입이 시기상조라는 입장과 정부 방식이 너무 느슨해 더욱 엄격한 준칙을 도입해야 한다는 입장이 대립하고 있다.

    기재위 수석전문위원 역시 법안 검토의견서에서 "재정건전화의 실효성을 제고할 수 있다"면서도 "인구구조 고령화 및 코로나 등으로 인한 경기침체 등 변화하는 상황에 따른 국가재정의 유연한 대처를 어렵게 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우리나라 재정 건전성은 점점 악화하는 모양새다. 기재부의 '2020회계년도 국가결산'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중앙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상환 의무를 지는 국가채무는 846조9000억원으로 GDP 대비 44.0% 수준에 달한다. 코로나 위기 극복을 위한 네 차례 추가경정예산 편성 등 적극적 재정 운용을 뒷받침하기 위한 국고채 발행, 부동산 거래 증가에 따른 국민주택채권 발행 등으로 국가채무는 1년 전보다 123조7000억원이 늘었다. 국가채무액을 지난해 통계청 추계인구인 5178만명로 나누면 1인당 국가채무는 1635만원이 된다.

    경제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재정이 더욱 악화될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박형수 K-정책플랫폼 원장은 국제통화기금(IMF)이 지난 7일 발표한 재정점검보고서(Fiscal Monitor Reports)를 근거로 우리나라 재정 전망이 어둡다고 분석했다.

    "특단 대책 없으면 재정 악화 더욱 심각해질 것"

    IMF는 해당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 GDP 대비 일반정부 부채 비율이 지난해 48.7%에서 2026년 69.7%로 급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렇게 되면 우리나라 일반정부 부채비율은 35개 선진국 가운데 지난해 24위에서 2026년 19위로 올라서게 된다.

    박 원장은 "다른 나라와 달리 우리나라는 코로나 대응 명목으로 기초연금 인상,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등 복지 지출을 크게 늘렸기 때문에 코로나 이후에도 재정 악화가 지속할 것"이라며 "특단의 재정 건전화 대책이 없으면 우리나라 재정 악화는 더 심각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연합뉴스에 말했다.

    염명배 충남대 명예교수는 "우리나라는 코로나 이전부터 매우 빠른 속도로 재정이 팽창해왔다"며 "사태가 끝난 후를 대비해 세계 각국이 코로나로 늘어난 부채를 감축하려는 재정정상화 계획을 세우고 있는데 비해 한국은 채무감축 계획이 없다"고 지적했다.

    한편 기재부는 "확장 재정으로 인한 국가채무 증가를 고려하더라도 우리나라 재정건전성은 주요국 대비 양호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2019년 기준 우리나라 일반정부 부채(국가채무 + 비영리공공기관 채무)의 GDP 대비 비율은 42.2%로, 미국(108.4%), 독일(68.1%) 및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110.0%)보다 낮다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