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7 부동산 악법저지 대책위원회' 등 피해자들, 방호복 입고 與 당사 앞 '부동산 정책 규탄 집회' 열어
  • ▲ 6.17 부동산 악법저지 대책위원회 대표 등 참석자들이 17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더불어민주당 중앙당사 앞에서 문재인 정권 부동산 정책 규탄 집회를 열었다. ⓒ박성원 기자
    ▲ 6.17 부동산 악법저지 대책위원회 대표 등 참석자들이 17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더불어민주당 중앙당사 앞에서 문재인 정권 부동산 정책 규탄 집회를 열었다. ⓒ박성원 기자
    "정부의 부동산 정책 때문에 삶의 모든 부분이 파괴되고 있다." 주말인 17일 오후 '문재인 정권 부동산 정책 규탄 집회'를 연 '6·17 부동산 악법저지 대책위원회' 관계자 A씨. 그는 집회 추진 배경을 묻자 격앙된 목소리로 이같이 말했다. 

    경남에서 올라왔다는 A씨는 서울과 지역 간 부동산 시장 격차가 벌어졌다고 토로했다. "당장 내 집이 날아가게 생겼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집회는 서울 영등포구 더불어민주당 당사 앞에서 2시간 가량 진행됐다. 50여명의 참석자들은 모두 방호복을 입었다.

    서울-지역 부동산 시장 격차 벌어져… "대출 원리금도 갚기 어려워졌다"   

    A씨가 처한 상황은 이랬다. 지역에서는 집값이 급락하면서, 기존 세입자들은 '더 싼 방을 찾기 위해' 나가겠다고 했다. 지역 경기 침체로 새 세입자를 구하기도 어려워졌다. 세입자들의 전세금 혹은 월세 자금으로 생활을 유지하던 임대인들은 자금난에 빠졌다. 이에 A씨는 집을 살 때 받은 대출의 원리금도 갚을 수 없게 됐다.  

    그는 "집값이 (문 정부 들어) 급등한 서울의 경우, 전셋값이 올라 새로 이사할 집을 못 구한, 홍남기 경제부총리와 같은 '전세 난민'들이 많다"며 "동시에 기존 세입자들은 이번 임대차 3법의 '계약갱신청구권'을 행사하며 (매물을 구하기 어려우니) 안 나가겠다고 버틴다"고 말했다. 자신이 거주하는 곳과 서울의 상황이 상반된다는 것이다. 

    정부 관료들의 '똘똘한 한채 지키기'가 지역에 잘못된 신호를 보냈다는 말도 보탰다. 노영민 청와대 비서실장이 지난 7월 초 서울 반포 아파트 대신 청주 아파트를 매각하겠다고 밝혔던 일화도 재차 거론됐다. 

    A씨는 "지역 유지 등 지도층들은 지역 집을 내놓고 서울 집을 사고 있다"며 "부동산 정책 여파로 부동산 거래도 이렇게 되니 지역 집값은 더 떨어지는 것"이라고 했다. 노 실장은 논란이 일자 서울 반포·청주 아파트를 모두 팔았다.
  • ▲ 17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더불어민주당 중앙당사 앞에서 열린 문재인 정권 부동산 정책 규탄 집회 현장. ⓒ박성원 기자
    ▲ 17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더불어민주당 중앙당사 앞에서 열린 문재인 정권 부동산 정책 규탄 집회 현장. ⓒ박성원 기자
    '악법저지 대책위' 등 단체들 "국민 하루도 밤잠 제대로 못 자"

    '6·17 부동산 악법저지 대책위원회' 등 이날 집회에 나선 다른 이들도 사정은 비슷했다. 이들은 "집값을 안정화시키겠다면서 집값을 급등시킨 23번의 쓰레기 정책과 셀 수 없을 정도로 입법을 경쟁하듯이 (정부·여당이) 내놓고 있다"며 "국민들은 하루도 밤잠 제대로 잘 수 없다"고 했다.

    피해자들은 "한국만의  집 렌탈 방식이자 내집 갖기의 사다리 제도인, 전 세계 유일한 전세 제도를 없애려고 '임대차 3법'을 냈다"며 "또 얼마 가지 않아 법안을 내놔 부동산 시장이 교란됐다"고 지적했다.

    '전세 난민' 홍남기 경제부총리와 관련해선 "특히 홍남기 부총리도 그 법에 갇혀 우왕좌왕해 기사가 쏟아지니, 부랴부랴 세입자가 말을 바꾸어 재계약갱신권을 사용하지못하게 하는 '홍남기법'을 이제서야 내놓는다고 한다"며 비꼬았다.

    다음 집회를 또 계획하고 있다는 A씨. 그는 "정당한 선거로 뽑혔고 다음 선거에서 또 이기고 싶은 의원들이라면 유권자 이야기를 들어야 하는 것 아닌가"라며 "그러나 현재 의원들은 마치 다음에 또 이길 것처럼 피해자들의 숱한 민원에도 꿈쩍하지 않는다"고 했다.

    '6·17 부동산 악법저지 대책위원회' 등은 지난 9월 28일 "(전월세신고제·전월세상한제·계약갱신청구권제 등 내용이 담긴) '임대차 3법' 등(정부 입법이)이 재산권을 침해해 위헌"이라며 헌법 소원을 제기한 단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