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선 명단'에 황교안·심재철 등 통합당 후보 13인 올려… "슬픔을 정치세력화" 비판
  • ▲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와 4월16일의약속국민연대가 황교안 대표를 비롯해 보수 정당 후보 17인에 대해 낙선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뉴시스
    ▲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와 4월16일의약속국민연대가 황교안 대표를 비롯해 보수 정당 후보 17인에 대해 낙선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뉴시스
    세월호 관련 단체들이 4·15총선에서 낙선 대상 후보 17인을 지목하고 낙선운동에 돌입했다. 낙선 대상에는 미래통합당을 비롯한 보수 성향의 정당 인사들로 채워졌다. 사고로 희생된 학생들의 추모와 처우개선에 집중해야 할 세월호 단체들이 특정 세력에 편향된 낙선 명단을 내놓으면서 순수성이 훼손됐다는 비판이 나온다. 

    낙선운동을 주도하는 단체는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세월호가족협의회)와 4월16일의약속국민연대(4·16연대) 등 세월호 관련 단체들이다. 이들 단체는 이번 총선에서 보수정당 후보 17인을 향한 낙선운동을 펼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낙선운동 명단 작성 기준으로 ▲세월호 침몰에 원인을 제공한 인물 ▲세월호 승객 구조·구난 방기에 책임 있는 인물 ▲세월호 참사의 수사와 조사를 방해하고 진실을 은폐하는 데 책임 있는 인물 ▲세월호 참사 피해자 가족과 민간인을 불법으로 사찰하는 데 책임 있는 인물 ▲세월호 참사의 진실을 왜곡하거나 피해자를 모욕·비방하는 데 관여한 인물 등 5부류를 들었다.
  • ▲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와 4월16일의약속국민연대가 만든 낙선운동 인증샷.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와 4월16일의약속국민연대 제공
    ▲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와 4월16일의약속국민연대가 만든 낙선운동 인증샷.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와 4월16일의약속국민연대 제공
    "황교안, 세월호 참사 원인 및 구조 방기에 관한 진상규명 방해"

    낙선운동 후보 명단에는 황교안 미래통합당 대표(서울 종로구)와 심재철 통합당 원내 대표(경기 안양 동안구을)를 포함해 13명의 통합당 후보들이 포함됐다. 

    황 대표의 경우 "2014년 7월 검찰 수사팀에 해경 123정장을 업무상과실치사죄에서 빼라고 지시했다"며 "세월호특조위 조기 불법 해산 결정과 박근혜 대통령 기록물 봉인 조치로 인해 세월호 참사 원인 및 구조 방기에 관한 진상규명을 방해했다"고 단체는 주장했다. 

    심 원내대표는 세월호 국정조사 당시 국정조사특위 위원장이었던 점을 들며 "기관보고 후 증인 채택 문제 등 쟁점으로 청문회 본회의 일정을 진행하지 못하고 무산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심 대표가 '안전사고로 죽은 사망자들을 국가유공자들보다 몇 배 더 좋은 대우를 해달라는 것이 세월호특별법' 등과 같은 문자를 당직자와 지인들에게 보냈다"며 "국조위 위원장이 해당 콘텐츠를 배포한 것은 매우 부적절한 처신"이 낙선운동 명단에 오른 이유다.

    "슬픔을 정치에 이용해 세력화…이제는 총선까지 개입"

    하지만 세월호 관련 단체들의 이 같은 처신이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낙선운동 대상 명단에 포함된 한 후보는 "이미 국가로부터 수많은 보상을 받고 진실을 인양하라며 계속적으로 정치적으로 움직여온 단체들이어서 (낙선운동을 하는 것이) 새삼스러운 일도 아니다"라며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지 3년이 지났는데 어떤 새로운 진실이 인양됐는지 오히려 묻고 싶다. 슬픔을 정치에 이용해 세력화를 이룬 시민단체가 이제 떨어진 가치를 올리기 위해 총선에 개입하면서 학생들의 죽음을 훼손시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 후보는 그러면서 "모호한 자신들만의 기준으로 통합당 대표와 원내대표를 끼워 넣은 것 자체가 스스로 순수성을 잃었다는 것을 증명하는 일이며 매우 부적절한 처신"이라고 지적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변호사는 "세월호 관련 사건은 지난해 검찰에서 특별수사단을 꾸리고 조사하는 사안"이라며 "관련 단체들이 진실규명보다 정치적 목소리를 내는 것에 더욱 힘을 쏟는 것은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우려했다.

    한편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는 지난해 11월 "세월호 참사 책임자"라며 122명을 고소·고발했다. 이 명단에는 황 대표를 포함해 박근혜 전 대통령, 김기춘 전 대통령비서실장 등이 포함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