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여대·UNIST, 1학기 전면 확대… 시험·성적평가 방식도 변화… 등록금 환불 요구 여전
  • ▲ 우한 코로나(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초·중·고교가 '온라인 개학'을 결정하면서 대학가도 잇따라 온라인 강의를 연장하고 있다. ⓒ권창회 기자
    ▲ 우한 코로나(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초·중·고교가 '온라인 개학'을 결정하면서 대학가도 잇따라 온라인 강의를 연장하고 있다. ⓒ권창회 기자
    우한코로나 사태 장기화로 대학들이 잇따라 온라인 강의 연장을 결정하면서 학생들의 불만이 쏟아진다. 안전을 위한 부득이한 조치라는 점에는 이견이 없지만, 학교 시설을 이용하지 못하는 데다 온라인 강의도 '저급한 수준'이라는 불만이 대부분이다. 온라인 강의가 지속될수록 등록금 환불을 요구하는 학생들의 목소리도 더욱 커질 전망이다.

    2일 대학가에 따르면, 서울대는 이날 "우한코로나 여파로 국내에 사회적 거리 두기 기간이 유지됨에 따라 비대면수업 실시 기간 연장이 불가피하게 됐다"며 "대면 전환이 결정될 때까지 비대면수업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이화여대는 우한코로나 확산 방지를 위해 1학기 수업 전체를 온라인으로 실시하기로 했다. 연세대는 5월12일, 고려대는 5월2일까지 온라인 강의를 연장했다. 광운대·중앙대 등 다른 대학들도 조만간 온라인 강의 기간 연장을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대학가, 온라인 강의 전면확대… 절대평가 도입

    앞서 울산과학기술원(UNIST)도 지난달 19일 국내 대학 중 처음으로 1학기 온라인 강의를 전면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성균관대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우한코로나 사태가 안정화될 때까지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기로 했다.

    하지만 온라인 강의로 대체가 어려운 실험·실습 과목은 개인위생 관리가 가능한 경우에 한해 대면수업을 시행한다는 게 대학들의 방침이다. 이들 과목은 일정한 실습시간을 확보해야 졸업이 인정되기 때문이다.

    서울대는 실험·실습만 제한적으로 대면강의를 허용했다. 필요할 경우 기말고사가 끝난 뒤에도 보충수업 기간을 활용해 보강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화여대는 대면수업이 불가피한 과목에 한해 방역대책 시행 후 5월4일부터 강의실수업을 진행한다. 중앙대는 부족한 수업일수를 채우기 위해 실험·실습 과목 종강일을 오는 7월10일로 약 한 달 연장했다.

    온라인 수업에 맞춰 성적평가 방식도 바뀐다. 일부 대학은 중간고사를 재택시험이나 과제물 제출 등 교수 재량에 따라 운영할 수 있도록 자율권을 부여하기로 했다. 아예 중간고사를 시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성적 평가는 많은 대학이 비대면 환경을 고려해 절대평가를 적용하겠다는 방침이다.

    한편 대학들이 속속 온라인 강의 연장에 나서자 등록금 환불을 요구하는 학생들의 목소리도 높아진다. 학교 시설을 이용하지 못할 뿐더러 수업의 질 저하로 온라인 강의에 불만이 크기 때문이다. 최근 고려대의 한 교수는 2004년 한 사설 교육업체에 올린 강의를 그대로 전공수업 영상으로 재사용해 논란이 되기도 했다.

    학생들 '등록금 환불' 요구… "주요 대학들 나서면 논의 가능"

    대학생단체 '코로나 대학생119'는 지난 1일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 사무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우한코로나로 학습권을 침해받은 만큼 대학은 책임지고 입학금과 등록금을 환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학들은 여전히 '등록금 환불 불가' 방침을 고수하지만, 일각에서는 주요 대학들이 먼저 환불에 나설 경우 논의가 가능할 수 있다는 견해를 내비쳤다.

    중앙대 박상규 총장은 "등록금 환불 요구에 귀를 기울이고 무겁게 받아들인다"면서도 "비대면 온라인 수업으로 인해 등록금 환불을 시행하기는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서울 소재 한 대학 관계자는 "서울대, 연·고대 등 큰 규모의 대학들이 먼저 등록금을 일부 반환하겠다고 하면 다른 대학들도 자연스럽게 따라가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대학 재정이 어려운 상황이지만, 학생들의 요구를 마냥 외면할 수도 없는 노릇"이라고 말했다.

    수도권 4년제 대학의 한 관계자는 "한 두 대학만 등록금을 일부 환불한다고 해서 모든 대학이 나서지는 않을 것"이라며 "그래도 영향력 있는 대학들이 학생들의 요구를 듣겠다고 하면 나머지 대학들도 점차 등록금 문제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