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EMP 탑재 가능한 전술탄도미사일 또는 순항미사일"…文 '톱다운 외교'에 제동
  •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뉴시스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뉴시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신형 전술유도무기 발사시험을 지도하고, 군수 생산 정상화 목표 등을 제시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8일 보도했다. 최근 노동당 회의와 최고인민회의를 통해 '2기 내각'의 진용을 갖춘 김 위원장이 평양을 방어하는 공군부대를 시찰한 데 이어 이틀 연속 군사행보를 보인 것이다. 

    국내 전문가들은 김정은이 발사시험을 참관한 신형 전술유도무기가 북한판 이스칸다르(Iskander)로 알려진 신형 단거리 전술탄도미사일 또는 신형 순항미사일일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아스칸다르는 러시아가 개발한 사거리 500km 미만의 전술탄도미사일로, 미국의 미사일방어체계(MD)를 뚫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미사일은 핵탄두와 EMP탄 탑재가 가능하다. 

    이 같은 김정은의 행동은 '탄탄탄(투르크메니스탄·우즈베키스탄·카자흐스탄)' 순방에 나선 문재인 대통령의 뒤통수를 때린 격이다. 문 대통령은 한미 정상회담에 다녀온 뒤, 지난 15일 수석·보좌관회의를 통해 남북 정상회담 추진계획을 공식화하고 곧바로 중앙아시아 3개국 순방을 떠났다.  

    김정은 "인민군대 전투력 강화에 매우 큰 의미"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김정은 동지께서 17일 국방과학원이 진행한 신형 전술유도무기 사격시험을 참관하시고 지도하시였다"고 보도했다. 

    이날 전술유도무기 발사시험에는 김평해·오수용 당 부위원장, 조용원·리병철 당 제1부부장, 김정식 당 군수공업부 부부장 등 당 중앙위원회 간부들과 김수길 군 총정치국장, 리영길 군 총참모장, 노광철 인민무력상, 박정천 북한군 포병국장 등 인민군 지휘부가 참가했다. 

    김 위원장은 신형 전술유도무기에 대한 설명을 듣고 "이 무기체계의 개발 완성은 인민군대의 전투력 강화에서 매우 커다란 의미를 가지는 사변으로 된다"고 평가했다. 

    이어 "국방과학부문에서 제8차 군수공업대회에서 당이 제시한 핵심 연구목표들을 점령하기 위한 투쟁을 강하게 벌려 4대 요소가 구현된 우리 식의 무기체계 개발사업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것은 대단히 좋은 일"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또 직접 감시소에 올라 신형 전술유도무기 발사시험 계획을 지도한 뒤 "각이한 목표에 따르는 여러 가지 사격 방식으로 진행한 사격시험에서 전술유도무기의 설계상 지표들이 완벽하게 검증되였다"고 밝혔다. 

    조선중앙통신은 김 위원장이 이날 사격시험 결과에 대만족을 표시했으며 "군수 생산을 정상화하고 국방과학기술을 최첨단 수준으로 계속 끌어올리는 데서 나서는 단계적 목표와 전략적 목표들을 제시하시고, 이를 관철하기 위한 구체적인 과업과 방도들을 밝히시였다"고 전했다. 

    김 위원장은 전날인 16일에도 평양을 방어하는 공군부대를 찾아 최신형 전투기의 비행훈련을 지도했다. 
  • ▲ 투르크메니스탄을 국빈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 ⓒ청와대
    ▲ 투르크메니스탄을 국빈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 ⓒ청와대
    트럼프 방한도 불투명... 청와대 '충격'

    앞서 지난주 미국 워싱턴D.C.에서 한미 정상회담을 하고 돌아온 문 대통령은 15일 첫 수보회의를 주재하고 "남북 정상회담을 본격적으로 준비하고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남북 정상회담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과 기대를 표명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문 대통령의 구상과 달리 북한이 연이어 군사행보를 보이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 여부도 불투명하다는 워싱턴발 전망이 이어졌다. 특히 문 대통령이 북한 비핵화 해법으로 강조한 '톱다운' 방식의 외교에도 제동이 걸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1일 한미회담에서 문 대통령에게 "3차 미·북 정상회담에서는 딜을 끝내야 한다"며 "세 번째 만났을 때는 사인을 해야 할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미·북 실무진 간 협상이 성공해야 3차 정상회담에 나서겠다는 의미로 해석됐다. 

    앞서 김 위원장은 12일 한미회담에서 빈손으로 돌아온 문 대통령을 향해 "오지랖 넓은 '중재자' '촉진자' 행세를 할 것이 아니라 민족의 이익을 옹호하는 당사자가 되어야 한다"고 비난한 바 있다. 

    미·북 간 '중재자' '촉진자'를 자처한 문 대통령이 미국과 북한으로부터 모두 퇴짜를 맞은 것이다. 청와대도 상당한 충격을 받은 분위기다. 한미 정상회담 이후 예상과 정반대로 흘러가는 북핵문제를 풀 해법이 마땅치 않아 고심을 거듭한다는 후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