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측, 작년 7월 이후 '공동 행사 계획' 줄곧 강조… 북 "시기적으로 어렵다" 답해 와
  • ▲ 2017년 3.1절 행사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017년 3.1절 행사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문재인 대통령이 누차 강조했던 ‘3·1절 100주년 기념 남북 공동행사’ 계획이 북측의 거절로 물거품이 됐다. 문 대통령은 ‘3·1절 및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를 만든 지난해 7월부터 9월 평양 남북정상회담, 그리고 2019년 들어서까지 ‘3·1절 100주년 기념 남북 공동행사’를 열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통일부는 그러나 지난 21일에 이어 22일에도 북한이 ‘3·1절 남북 공동행사’를 거절했다고 확인했다.

    통일부는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어제 남북고위급회담 단장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 명의로 조명균 통일부장관에게 전통문을 보내 3월1일 남북 공동 기념행사 개최가 어렵다는 입장을 표명했다”고 밝혔다. 통일부에 따르면, 북한은 “시기적으로 공동행사를 준비해 개최하는 게 어렵겠다”는 이유를 내세웠다.

    기자들의 입에서 “평양 남북공동선언이 이행되지 않은 것 아니냐”는 질문이 나왔다. 문 대통령과 김정은이 지난해 9월 평양 공동선언에 ‘3·1절 100주년 공동 기념행사 추진’을 넣었는데 지켜지지 않았다는 지적이었다. 실제로 통일부는 지난해 12월부터 북한 측에 3·1절 남북 공동행사의 개최장소, 규모 등이 담긴 계획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자들의 질문에 통일부는 “평양 남북공동선언을 보면 남과 북은 3·1 운동 100주년을 공동으로 기념하기로 하고 그를 위한 실무협의를 해나가기로 합의한 것은 맞다”면서도 “3·1운동 100주년과 관련한 기념행사 전체가 무산된 것으로는 보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통일부는 “3·1절 당일 남북 공동행사가 열리지 않는 것은 아쉽지만, 남북은 3·1절 100주년을 기념하는, 의미 있는 남북 공동행사를 추후 협의를 통해 추진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 ▲ 2015년 3.1절을 맞아 서울 시청에 내걸린 유관순 열사의 사진. 북한 주민들은 유관순 열사가 누군지 모른다.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015년 3.1절을 맞아 서울 시청에 내걸린 유관순 열사의 사진. 북한 주민들은 유관순 열사가 누군지 모른다.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유관순’ 모르는 북한과 3·1절 공동 행사라니…

    북한이 3·1절 100주년 남북 공동행사를 거절한 것을 두고 여러 가지 분석이 나왔다. 그중 가장 많은 의견은 한국과 북한의 3·1절과 독립운동의 의미가 전혀 다르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북한주민들은 ‘유관순’이 누구인지, '독립선언문'을 낭독한 33인이 누구인지 모른다. 북한 정권은 김일성의 부친 김형직이 전국의 3·1운동을 조직하고 이끌었다고 가르친다. 당시 여섯 살이었던 김일성도 ‘만세’를 부르며 동네사람들을 이끌고 3·1운동에 참가했다고 주장한다.

    상해임시정부를 보는 시각도 천양지차다. 문 대통령은 상해임시정부가 독립운동과 항일투쟁에서 핵심 역할을 했다고 본다. 반면 북한은 항일투쟁을 김일성 혼자 한 것처럼 가르친다. 북한 역사서가 상해임시정부를 다루는 표현 또한 비난 일색인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의 한 역사책은 상해임시정부를 “이곳의 사대 매국노들이 한 일이란 이른바 정부를 차려놓고 애국동포들로부터 운동자금이나 걷어 탕진하며 강대국들에 대한 청원운동이나 하고 서로 물고 뜯고 하는 파벌싸움이나 일삼았다”고 폄하했다. 다른 책에서는 “상해임시정부는 그 어떤 대중적 지지기반도 못 가진 정부이자 그 누구에게도 인정받지 못한 망명집단”이라며 “임시정부 요인들은 자치파니 독립파니 하는 파벌을 이루고 서로 주도권을 차지하려 추악한 파벌싸움과 내각 개편 놀음을 끊임없이 벌였다”고 비난했다.

    북한은 상해임시정부가 자유민주주의에 입각한 민주적 정부 수립을 목표로 한 헌법을 채택해 자신들과 이념적으로 맞지 않기 때문에 이를 비난하고 폄하한다는 게 탈북자들의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