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2차 미북회담 통해 한반도 비핵화 획기적 진전"… 브룩스 "한미공조 필요성" 강조
  • ▲ 문재인 대통령이 5일 주한미군의 주요 지휘관을 청와대로 불러 차담회를 하면서 격려하는 모습. ⓒ청와대 제공
    ▲ 문재인 대통령이 5일 주한미군의 주요 지휘관을 청와대로 불러 차담회를 하면서 격려하는 모습. ⓒ청와대 제공
    5일 문재인 대통령이 주한 미군의 주요 지휘관을 청와대로 불러 차담회를 하면서 격려했다. 표면적으로는 양측 간 덕담이 오갔으나 정작 내용적인 측면을 살펴보면 같은 언급을 한 부분은 많지 않았다.

    문재인 대통령은 5일 청와대 본관 인왕실에서 빈센트 브룩스 연합사·주한미군사령관, 케네스 윌즈바흐 주한미군 부사령관, 해리 해리스 주한미국 대사 등을 격려차 만났다. 브룩스 사령관이 오는 8일 이임식을 하고 물러나는 시기와 맞물려 그간의 소회에 대한 덕담이 오갔다.

    문 대통령은 "오늘 자리를 마련한 목적은 임기를 마치고 귀국하는 브룩스 사령관께서 그동안 보여준 헌신과 노고, 그리고 한국에 대한 아주 깊은 애정에 대해 대통령과 한국민들의 감사한 마음을 전하는 것"이라며 "그리고 그와 함께한 한미동맹을 위해 헌신하고 계시는 여러분들의 노고를 치하한다"고 말했다.

    이어 "브룩스 사령관께서 합참 잡지에 올 가을호에 특별기고 하신 것을 봤다"며 "동주공제(同舟共濟·같은 배를 타고 강을 건넌다는 뜻으로 이해와 환란을 같이 한다는 뜻)의 정신으로 함께 가자는 제목의 글이었는데 동주공제는 한배를 타고 같이 강을 건넌다는 뜻"이라며 "저는 우리 한미동맹의 정신, 지금 가고 있는 길에 대해 그보다 적합한 표현은 없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북한은 작년 11월 이후 일체 추가 핵과 미사일 도발을 하지 않고 있고 몇 가지 비핵화를 위한 실천적 조치를 취했다"며 "나는 제2차 미북 정상회담을 통해 한반도의 비핵화가 획기적 진전을 이룰 것이라 기대한다"고 했다.

    나아가 "우리 한미 동맹은 전쟁의 포화 속에서 피로 맺어졌지만 거기서 멈추지 않고 한반도의 평화를 만들어내는 동맹, 그리고 한국과 미국의 안보와 번영을 이끌어내는 동맹, 더 나아가서는 동북아 전체의 평화와 안정을 이끌어내는 위대한 동맹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브룩스 사령관, 강력한 대북 준비태세 강조

    이에 대해 브룩스 사령관은 "대통령 말씀대로 우리는 함께 많은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지난 30개월간 유엔사와 연합사, 주한미군 사령관으로 지낼 수 있어서 영광이었다"며 "북한의 도발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함께 잘 대응함으로써 대통령님이 말씀하셨듯이 영구적 평화를 달성하기 위한 여건 조성 차원에서 많은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고 화답했다.

    하지만 브룩스 사령관은 이후 발언부터는 강력한 대북 준비태세를 강조했다. 브룩스 사령관은 "특히 작년 11월 29일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가 있었을 때 대통령님을 포함한 청와대에서 우리 한미 대응 방안을 적절히 검토해 주고, 또 결심 내려주셨기에 우리 한국군 전력의 준비태세 강력함을 보여줬을 뿐만이 아니라 유엔사, 그리고 미군 전력이 또 얼마만큼 준비가 돼 있는지를 실현할 수 있었다"고 했다.

    또한 한미 공조의 필요성도 재차 강조했다. 브룩스 사령관은 "제가 봤을 때 우리는 하나의 산과 언덕을 정복해 그 언덕의 정상에 와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누구보다 잘 알겠지만 대한민국에는 산이 참 많다"며 "그만큼 우리가 극복해야 할 언덕들과 또 도전 과제들이 많이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브룩스 사령관은 "(여러 도전 과제들을) 우리가 다 함께 경주함으로써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여건을 마련하고, 또 완전한 평화를 위한 여건을 마련하는 가운데, 현재 북한 지역에 위치하고 있지만 아직 모국으로 귀환하지 못한 우리 유해들을 다 발굴할 때까지 교류하겠다"는 말도 남겼다.

    양측의 이런 입장 차이는 남북관계의 속도 진전에 관한 견해차 때문으로 보인다. 미국 재무부와 대사관 등은 최근 국내 은행과 방북 기업들을 접촉해 대북 사업에 대해 사실상 경고 메시지를 전했다. 한미 정부는 최근 북핵 문제와 관련해 한미 간 소통을 강화하는 워킹그룹을 만들기로 했다. 이를 두고도 정치권 안팎에서는 미국의 '제어장치가 아니냐'는 말이 나온 상황이다. 다만 청와대는 이같은 해석에 선을 긋고 있다. 좀 더 긴밀한 소통을 위해 워킹그룹을 구성했을 뿐이라는 것이 청와대의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