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FA 소식통들 “최하층 출신성분인 ‘적대계층’ 분류…당국의 감시·통제 우려”
  • ▲ 2015년 10월 금강산에서 열린 남북 이산가족 상봉 행사 당시 모습.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015년 10월 금강산에서 열린 남북 이산가족 상봉 행사 당시 모습.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 정부는 8월 15일 이산가족 상봉행사 개최를 위해 지금도 열심히 뛰고 있다. 국내에서는 이산가족들이 북쪽 가족들을 만나기를 간절히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에서는 이산가족 상봉을 그리 반기지 않는다고 한다. 이산가족 2세 가운데 이런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많다고 한다.

    ‘자유아시아방송(RFA)’은 16일 “남북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바라보는 북한 주민들의 시선은 남한 주민들과는 크게 다른 것으로 알려졌다”면서 북한 소식통들의 이야기를 전했다. 이에 따르면 북한에서는 이산가족이라고 하면 출신성분이 최하위로 분류돼 생활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상봉 행사 등을 원치 않는다고 한다.

    ‘자유아시아방송’과 접촉한 함경남도 소식통은 “남한에 이산가족을 둔 사람은 물론 그 자녀들까지도 북한에서는 출신 성분이 최하위인 ‘적대계층’으로 분류돼 있다”면서 “이산가족 상봉 행사에 참여하는 것 자체가 당국의 감시와 통제를 불러오는 것이라 반기지 않는다”고 전했다고 한다.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에서는 이산가족이 아닌 주민이 상봉 행사에 관심을 보이면 보위부에 연행돼 조사를 받을 수도 있다고 한다. 북한 당국은 대외적으로는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인도적인 일이라고 하나 내부적으로는 매우 민감한 정치적 행사로 취급한다는 설명이었다. 소식통은 “북한 내부가 이렇기 때문에 살 날이 얼마 남지 않은 이산가족 1세대는 남한에 있는 형제, 자녀를 만나고 싶은 소망이 간절하지만 그 자녀들은 대부분 (부모가) 상봉 행사에 참여하는 것을 탐탁지 않게 여긴다”고 설명했다.

    북한에서는 이산가족 상봉 행사에 참여를 결정한 순간부터 고생이 시작된다는 게 소식통의 이야기였다. 일단 행사에 참여하려면 옷가지 등을 준비해야 하고 집단으로 강도 높은 사상 교육도 받아야 한다. 상봉 행사가 끝나면 남한의 가족들과 만나서 한 이야기에 대해 조사를 받고 작은 문제라도 발견되면 처벌을 받을 수도 있다고 한다. 이산가족 상봉 행사에 참석한 사실이 알려지면 북한 사회에서는 ‘적대계층’에 속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본인은 물론 자녀나 친척들까지도 이웃들로부터 외면을 당할 수도 있다고 한다.

    ‘자유아시아방송’과 만난 평양 출신 탈북자 이 모 씨는 “지금까지 열린 남북 이산가족 상봉 행사는 모두 남한이 강력히 요청해서 이뤄진 것이지 북측이 원해서 열린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북한 입장에서 이산가족 상봉 행사는 정말 하고 싶지 않은 정치행사”라면서 “북한 당국이 정치적 부담에도 불구하고 이 행사를 여는 것은 남한 측으로부터 대규모 경제협력을 얻어내야 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북한 주민들 또한 당국의 목적을 다 알고 있다는 게 그의 주장이었다.

    소식통은 “북한에서는 남한에 8촌 이내 친인척이 있거나 일본·중국에 6촌 이내 친인척이 있는 사람들은 노동당 입당을 금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노동당원이 아니면 사회생활에서 승진이나 책임자 자리를 맡지 못하는 북한 사회라는 점을 떠올리면 이산가족이 겪는 고통을 짐작할 수 있다.